맨위로가기

호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굉은 남송 시대의 학자이다. 어려서 가학을 익히고 정호, 정이 형제의 학설에 심취했으며, 평생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 정진했다. 형산에서 강학하며 호상학파 형성에 기여했고, 도학 진흥을 위해 노력했다. 그의 사상은 주희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주요 저서로는 《지언》, 《황왕대기》, 《오봉집》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릉 호씨 - 호안국
    호안국은 북송과 남송 시대의 학자이자 관료로, 이정의 문인이며 호굉과 함께 호상학파를 창시했고, 경학 연구에 매진하여 《춘추전》을 저술했으며, 채경의 모함으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고종의 신임을 받아 요직을 역임했다.
  • 1105년 출생 - 알폰소 7세
    알폰소 7세는 레온과 카스티야를 통합하고 "스페인 황제"를 자처하며 레콩키스타를 추진, 알모라비드 왕조와의 전쟁에서 승리했으나, 알모하드 왕조의 부상과 왕국 분할 상속으로 내분을 겪고 레콩키스타 진전이 주춤하는 결과를 낳았다.
  • 1105년 출생 - 교황 알렉산데르 3세
    알렉산데르 3세는 1159년 선출된 로마 가톨릭 교황으로, 프리드리히 1세가 지지하는 대립 교황들과의 갈등 속에서 재위 기간을 보냈지만 베네치아 조약으로 지위를 확고히 했으며, 북방 선교와 교회 개혁, 여러 국가와의 관계 설정에 기여했다.
  • 송나라의 유학자 - 포증
    포증은 북송 시대의 청렴하고 강직한 정치가이자 관료로, '포청천'이라고도 불리며 부패 척결과 공정한 판결로 명성을 얻어 백성들의 존경을 받았고 사후에는 청백리의 상징이 되었다.
  • 송나라의 유학자 - 주희
    주희는 송나라의 유학자로서 성리학을 집대성하여 동아시아 철학 및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기론, 심성론, 거경궁리론 등을 정립하고 사서집주를 저술하여 유교 경전 해석의 표준을 제시했다.
호굉
기본 정보
한자胡宏
출생1106년
사망1161년
인중(仁仲)
시호문정(文定)
작위안정현개국자(安定縣開國子)
시대남송
학문
주요 관심사성리학
영향 받은 인물정호
정이
장재
영향을 준 인물장식
가족
아버지호안국(胡安國)
아들호병(胡柄)

2. 생애

어려서 집안의 가르침을 받았고, 청년 시절에는 여러 곳을 돌아다니며 공부하다가 정호, 정이 형제(이정(二程))의 학설에 마음을 기울였다. 스무 살이 되어 수도에 들어가 이정의 제자인 양시를 스승으로 모셨고, 이정의 다른 제자 후사성에게 배웠다. 평생 벼슬길에 나가지 않았다. 당시 재상 진회가 벼슬을 주려 했으나, 호굉은 거절했다. 형산에서 20여 년 동안 강학하여, 호상학파의 형성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호상학파는 이후 주희에게 커다란 영향을 끼친다.[4]

호굉의 시대에 도학은 여전히 압제를 받았으나, 호굉은 그에 굴하지 않았다. 그는 도학을 진흥시키는 일을 자신의 임무로 삼았으며, 독립적인 사상 체계를 수립했다. 호굉은 “도학이 쇠미해져서 교화가 크게 어그러졌으니, 우리들은 마땅히 죽음으로써 자임해야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도학이 북송에서 남송으로 발전해 가는 과정에서 호굉은 중요한 연결 고리 역할을 했다.[5]

건녕부 숭안현 출신으로, 어릴 때부터 개봉으로 상경하여 양시(귀산)에게 배우고, 형문으로 가서 사성후 중량에게 사사했다. 후에 아버지의 학문을 이어받아 형산으로 유학했고, 만년에는 장식(남헌)에게 사사받았다. 소흥 연간에 아버지의 덕으로 우승무랑에 임명되었지만, 진회가 국정을 마음대로 하는 것을 싫어하여 취임하지 않았다. 진회가 죽은 후에도 병을 이유로 관직을 사임하고 그대로 집에서 사망했다.

과거에 고종에게 상소를 올려 금이 일으킨 정강의 변에 복수할 것을 진언한 것은 『송사』 본전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3. 사상 및 학문

호굉은 도학이 억압받던 시대에도 도학 진흥을 자신의 임무로 여겼다. 그는 "도학이 쇠미해져 교화가 크게 어그러졌으니, 우리들은 마땅히 죽음으로써 자임해야 할 것이다"라고 말하며 독립적인 사상 체계를 구축했다.[5] 그는 북송에서 남송으로 도학이 발전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연결 고리 역할을 했다.[5]

호굉은 유학의 도를 근본으로 삼아 사회 모든 영역에서 실학 정신을 구현하고자 했다. 그는 "성인의 도를 배워 그 체(體)를 얻으면 반드시 그 용(用)을 얻는다. 체가 있으면서 용이 없다면 이단과 어떤 분별이 있겠는가? 정전(井田), 봉건(封建), 학교(學校), 군제(軍制)는 모두 성인이 마음을 다해 쓸 것을 생각한 것 중의 큰 것이다"라고 주장하며 경세치용(經世致用)을 강조했다.[6]

그의 주요 저작으로는 《지언(知言)》이 있다.[6]

3. 1. 호상학파(湖湘學派)

호굉과 그의 아버지 호안국복건에서 호남 형산(衡山)으로 거처를 옮기고, 벽천서원과 문정서원을 세워 이학을 연구하고 인재를 모아 강학하였다. 이렇게 이학을 적극적으로 전파하면서 호상학파(湖湘學派)를 형성했다.[6] 이들 부자가 창시한 호상학은 현실 극복 문제에 관심을 두었던 경세치용의 학문이다.[6] 호굉은 “성인의 도를 배워 그 체(體)를 얻으면 반드시 그 용(用)을 얻는다. 체가 있으면서 용이 없다면 이단과 어떤 분별이 있겠는가? 정전, 봉건, 학교, 군제는 모두 성인이 마음을 다해 쓸 것을 생각한 것 중의 큰 것이다.”라 하여 유학의 도를 근본으로 하여 사회의 모든 영역에 실학 정신을 체현하고자 하였다.[6]

4. 저작

知言|즈옌중국어: 호굉의 주요 저작으로, 유학 사상을 담고 있다. 장식과 여조겸이 칭찬했으며, 주희는 이에 대해 반박하는 글을 썼다.[4]

『황왕대기(皇王大紀)』 80권: 상고시대부터 (周)나라 말기까지 제왕들의 역사를 기록한 책이다.

『오봉집(五峰集)』: 호굉의 시문집으로, 막내 아들 호대시(胡大時)가 편집했다. 시 106수, 서(書) 78권, 잡문 44수가 수록되어 있다.

참조

[1] 서적 The Encyclopedia of Confucianism: 2-volume Set Routledge
[2] 서적 송명 성리학 예문서원 2017-11-07
[3] 웹인용 호굉 https://www.doopedia[...] 두산 2017-11-08
[4] 서적 송명 성리학 예문서원 2017-11-07
[5] 서적 송명 성리학 예문서원 2017-11-07
[6] 간행물 청말 호남성 지식인과 湖湘學 繼承 2017-1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