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리병벌아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리병벌아과는 말벌과의 아과로, 겹눈의 안쪽 가장자리가 파여 있고 앞날개가 세로로 접히는 등의 특징을 갖는다. 둥지를 짓는 방식에 따라 굴착형, 차용형(통주형), 축조형으로 나뉘며, 대부분의 종은 단독 생활을 한다. 암컷은 흙이나 식물 재료를 사용하여 둥지를 짓고, 사냥한 곤충을 마비시켜 먹이로 사용하며, 일부 종은 공생 진드기를 수용하는 공간을 갖기도 한다. 호리병벌아과는 말벌과 내에서 가장 다양한 아과이며, 한국에는 굴뚝벌, 큰두줄무늬벌 등 여러 종이 분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호리병벌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다양성 | 약 200 속, 3000 종 |
학문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절지동물문 |
강 | 곤충강 |
목 | 벌목 |
아목 | 세요아목 |
상과 | 말벌상과 |
과 | 말벌과 |
아과 | 도롱이벌아과 |
영어 이름 | 포터 와스프 |
2. 형태
호리병벌아과는 다른 말벌류와 구별되는 몇 가지 뚜렷한 형태적 특징을 가진다. 몸길이는 일본산 종의 경우 1.5-2.5cm 정도이다. 말벌아과와 마찬가지로 겹눈의 안쪽 가장자리가 깊게 파여 있고, 쉴 때 앞날개는 세로로 접힌다. 가운뎃가슴등판 양쪽에 옆날개받침이라는 작은 돌기가 있다. 다리 부절의 발톱 끝이 두 갈래로 갈라진다. 뒷다리 넓적다리에는 세로 방향의 용골이나 접힘이 있다. 앞날개에 3개의 부가장실이 있다. 큰턱은 길고 가늘다. 일부 열대 종 수컷은 크고 발달된 큰턱이나 머리방패에 뿔 모양 돌기를 가지기도 한다. 암컷 성충의 몸에는 공생 진드기를 수용하는 공간(진드기 포켓)이 있는 종도 있다.[1]
호리병벌아과는 둥지를 짓는 방식에 따라 굴착형, 차용형(통주형), 축조형으로 나뉜다.[5] 대부분 단독 생활을 하며, 암컷은 진흙이나 씹은 식물 재료로 둥지를 짓고, 사냥한 먹이와 함께 알을 낳는다.[2] 일부 종은 애벌레가 부화한 후에도 계속 먹이를 주는 아사회성을 보이기도 한다.
3. 생태
둥지는 보통 애벌레 한 마리당 하나의 작은 방(육방)으로 구성된다. 축조형 둥지는 항아리 모양이며, 흙(마른 흙을 물과 섞어 반죽)이나 씹어서 으깬 잎을 재료로 사용한다.[5][7] 통주형 종은 대나무 통 등 기존 구멍에 일렬로 육방을 만든다.[5] 알은 짧은 실로 둥지 내벽에 매달거나 수직 벽면에 붙인다.[5] 유충은 나비목이나 잎벌 유충 등을 먹고 자란다.
수컷은 암컷을 얻기 위해 꿀을 빨거나 둥지를 짓는 장소에서 순찰하거나 잠복한다.[9]
3. 1. 천적 및 공생
호리병벌 성충에는 말벌꼬임벌레가 기생한다.[10] 둥지에는 말벌살이파리, 검정납작맵시벌, 꼬리털파리, 맵시벌, 무문꽃등에, 씨벌레류가 포식기생[11] 또는 노동기생[12]하며, 어느 경우든 기생된 말벌의 유충이나 번데기는 죽는다.[13]
마른 나뭇가지의 속을 파서 둥지를 만드는 아토보시키타말벌은 암컷 성충의 몸(가슴과 배)에 공생진드기를 수용하는 공간(진드기 포켓 = 아카리나리움)을 가지고 있으며, 거기에 다수의 진드기가 숨어 있다. 벌이 육방에 먹이를 저장하고 봉할 때 진드기가 육방으로 옮겨가, 아무 일도 없으면 그대로 먹이인 나방의 유충이나 말벌의 유충의 체액을 빨아 증식하지만[14], 납작맵시벌에 기생당한 경우에는 침입해온 맵시벌을 죽여 말벌의 새끼를 보호하는 것이 밝혀졌다.[15]
4. 분류
말벌과에서 가장 다양한 아과로, 거의 200개의 속을 포함하며, 과 내 전체 종의 대다수(전체 과에서 약 4,500종 중 거의 3,000종)를 차지한다. 항아리벌 종의 압도적인 형태적 다양성은 이들을 더 관리하기 쉬운 그룹으로 묶기 위해 설명된 속의 증가에 반영된다.[4] Zethinae아과는 이전에 여기에 포함되었지만, Eumeninae를 측계통군으로 만든다는 것이 인식되면서 제거되었다.
여기서는 호리병벌아과를 Zethini족을 포함하는 단일 계통군으로 설명했지만, Zethini족(일본산 종으로는 두 줄 호리병벌만이 포함)의 취급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종래 형태 및 단독성 사냥벌이라는 습성이 유사하다는 점에서 1960년대 이후에는 Zethinae아과로서 호리병벌과에[16], 1980년대부터는 Zethini족으로서 호리병벌아과에 포함되어 왔다.[17]
2000년대에 들어 DNA 분석이 이루어지면서 Zethini족은 다른 호리병벌아과보다 말벌아과 + 맵시벌아과에 근연이라는 결과가 얻어져, 이로부터 Zethini족을 호리병벌아과에서 분리하여 독립된 아과 Zethinae, 혹은 Zethinae와 Raphiglossinae의 2아과로 해야 한다는 견해가 나왔다.[18][19] 한편 종래의 Zethini족을 포함하는 호리병벌아과를 단일 계통으로 지지하는 DNA 분석 결과를 포함한 연구도 있어[20], 아직 분류는 유동적이다.
5. 인간과의 관계
호리병벌은 둥지 트랩(대나무 통 트랩)을 이용하여 조사할 수 있다. 관생성 벌류는 종에 따라 선호하는 구멍 크기가 다르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다른 구경의 통을 사용함으로써 다른 종의 관생성 벌류를 관찰할 수 있다.[5] 인공물의 구멍에 둥지를 짓는 경우가 있어, 때로는 사고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5]
참조
[1]
웹사이트
Potter Wasp and Mud Pot Nest
http://www.cirrusima[...]
Cirrus Digital
[2]
서적
Animal Architecture
https://archive.org/[...]
Harcourt Brace Jovanovich
1974
[3]
논문
A native Hymenopteran predator of Agonopterix alstroemeriana (Lepidoptera: Oecophoridae) in east-central Illinois.
Michigan Entomological Society
2001
[4]
간행물
Phylogenomic Evidence Overturns Current Conceptions of Social Evolution in Wasps (Vespidae)
2018
[5]
논문
Observations of ''Xenorhynchium nitidulum'' (Fabricius) (Hymenoptera, Eumeninae) a primitively social wasp
[6]
논문
Behavior of the primitively social wasp ''Montezumia cortesioides'' Willink (Vespidae Eumeninae) and the origins of vespid sociality
[7]
서적
本能の進化 蜂の比較習性学的研究
真野書店
[8]
논문
Taxonomy of the Indo-Malayan presocial potter wasp genus ''Calligaster'' de Saussure (Hymenoptera, Vespidae, Eumeninae)
[9]
논문
Sibling Matings in a Hunting Wasp: Adaptive Inbreeding?
[10]
논문
スズバチネジレバネに関する生態学的知見 : (I) その生態および生活史について
[11]
문서
宿主を食い殺してしまう寄生方法。寄生昆虫のほとんどは捕食寄生性である。
[12]
문서
宿主の貯えた獲物を横取りする寄生。
[13]
웹사이트
日本竹筒ハチ図鑑
https://db.ffpri.go.[...]
国立研究開発法人森林研究・整備機構
2023-10-25
[14]
문서
ドロバチの幼虫の成長は妨げない本来の寄生。
[15]
논문
Parasitic mites as part-time bodyguards of a host wasp
[16]
서적
A revisional study of the Masarid wasps (Hymenoptera, Vespoidea)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17]
논문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natural classification of the Vespoidea (Hymenoptera)
[18]
논문
Phylogeny reveals eusociality evolved twice in vespid wasps
[19]
논문
Transcriptome and target DNA enrichment sequence data provide new insights into the phylogeny of vespid wasps (Hymenoptera: Aculeata: Vespidae)
[20]
논문
Simultaneous Analysis and the Origin of Eusociality in the Vespidae (Insecta: Hymenopter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