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박의 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박의 길은 신석기 시대부터 발트해 연안의 호박 산지에서 유럽, 중동, 극동 지역의 소비지를 연결했던 무역로를 지칭한다. 고대에는 시칠리아를 중심으로 호박 무역이 시작되었으며, 이후 발트해 호박이 지중해로 운송되었다. 로마 제국 시대에는 발트 해안에서 아드리아 해까지 주요 노선이 형성되었고, 중세 시대를 거쳐 다양한 경로로 발전했다. 현대에는 발트해 연안을 따라 관광 루트가 조성되었으며, 폴란드의 A1 고속도로가 호박 고속도로로 명명되고, 자전거 도로와 교통 회랑도 이 길을 따라 연결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박 (화석) - 정전기
    정전기는 물체 표면의 전하 불균형으로 발생하는 현상으로, 마찰, 압력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지만, 화재, 폭발, 전자 부품 손상 등 여러 문제를 야기하여 방지 및 제거 대책이 중요하다.
  • 폴란드의 선사시대 - 루사티아 문화
    루사티아 문화는 청동기 시대 중기 트슈치니에츠 문화에서 기원하여 철기 시대 유럽 사회 정치적 네트워크에 통합되었으며, 폴란드, 독일, 체코 등 중앙 유럽에 걸쳐 화장 매장, 요새화된 정착지 건설, 경작 농업 등의 특징을 보인다.
호박의 길
개요
유형역사적 교역로
지역유럽
사용 기간고대 ~ 중세
주요 상품호박, 소금, 금속, 직물, 노예
경로
주요 경로발트해 연안
비스와 강
오데르 강
도나우 강
모라비아 문
이탈리아
흑해 연안
상세 경로삼비아 반도
그단스크
브로츠와프
칼리시
부다페스트
베네치아
아퀼레이아
트리에스테
엠포리온
마시리아
오데사
콘스탄티노폴리스
역사
기원기원전
로마 제국로마 제국 시대 번성
쇠퇴중세 시대 쇠퇴
문화적 중요성
영향유럽 문화 교류 촉진
유산고고학적 유적지
역사적 기록
현대 도로망

2. 명칭

언어명칭
체코어Jantarová stezka
독일어Bernsteinstraße
헝가리어Borostyánút
이탈리아어Via dell'Ambra
라트비아어Dzintara Ceļš
리투아니아어Gintaro kelias
폴란드어Szlak Bursztynowy 또는 Jantarowy Szlak
러시아어Янтарный путь
슬로바키아어Jantárová cesta
슬로베니아어Jantarjeva pot


3. 역사

호박 무역은 신석기 시대부터 시작되었으며, 청동기 시대에 이르러 발트해 연안의 호박이 지중해 지역으로 널리 퍼져나갔다.[2][3] 기원전 16세기경부터 북유럽에서 지중해 지역으로 본격적으로 운송되기 시작했다.[2][3] 이집트 투탕카멘의 가슴 장식에는 큰 발트 호박 구슬이 사용되었으며,[4][5][6] 분광 분석 조사를 통해 미케네에서도 발트 호박 구슬이 발견되었다.[7]

로마 제국 시대에 호박의 길은 발트 해안에서 남쪽으로 이어졌다. 로마는 호박과 함께 모피, 가죽, 꿀, 왁스 등을 수출했고, 로마 유리, 놋쇠, , 주석, 구리와 같은 비철금속을 발트 지역으로 수입했다.[9] 이 도로는 발트 해와 지중해를 연결하는 무역로였기 때문에, 로마 군사 요새가 노선을 따라 건설되었다.[10]

발트해 연안의 구프러시아 도시 카우프(Kaup)과 트루소(Truso)는 호박의 길이 남쪽으로 향하는 시작점이었다.[11][12] 스칸디나비아에서 호박 길은 북유럽 청동기 시대 문화 발전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13] 칼리닌그라드주는 러시아어로 "호박 지방"을 뜻하는 Янтарный крайru로 불리기도 한다.[14]

3. 1. 고대

호박 무역은 신석기 시대부터 시작되었으며, 청동기 시대에 이르러 발트해 연안의 호박이 지중해 지역으로 널리 퍼져나갔다.[2][3] 시칠리아 섬은 초기의 주요 호박 무역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이곳의 호박은 그리스, 북아프리카, 스페인 등으로 전해졌다. 하인리히 슐리만미케네 유적지에서 시칠리아 호박을 발견했으며, 스페인 남부와 포르투갈 유적지에서도 시칠리아 호박이 발견되었다.

기원전 16세기경부터 호박은 북유럽에서 지중해 지역으로 본격적으로 운송되기 시작했다.[2][3] 이집트 파라오 투탕카멘(기원전 1333년경~1324년경)의 가슴 장식에는 큰 발트 호박 구슬이 들어 있었으며,[4][5][6] 이는 호박 무역의 광범위한 범위를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다. 슐리만은 분광 분석 조사를 통해 미케네에서 발트 호박 구슬을 발견했다.[7] 시리아 캇나의 왕릉에 있는 호박의 양은 기원전 2천년기 레반트고대 근동 유적지 중 독보적이다.[8]

고대 그리스에서는 호박이 델포이아폴론 신전에 바쳐지기도 했다. 흑해를 경유하여 실크로드를 통해 아시아 지역으로 호박 무역이 이어졌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3. 2. 로마 시대

로마 제국 시대에 호박의 길은 발트 해안(현대 리투아니아)에서 남쪽으로, 현대 폴란드의 북쪽에서 남쪽까지 전 지역(아마도 철기 시대 정착지인 비스쿠핀(Biskupin)을 통해), 보이족(Boii)(현대 체코슬로바키아)의 땅을 지나 아드리아 해(아퀼레이아(Aquileia), 현대 베네치아 만)까지 이어졌다.[9] 로마는 호박과 함께 모피와 가죽, 꿀, 왁스 등을 수출했고, 로마 유리, 놋쇠, , 주석, 구리와 같은 비철금속을 발트 지역으로 수입했다.[9] 이 도로는 발트 해와 지중해를 연결하는 수익성 있는 무역로였기 때문에, 로마 군사 요새가 게르만족의 습격으로부터 상인들을 보호하기 위해 노선을 따라 건설되었다.[10]

발트해 연안의 구프러시아 도시 카우프(Kaup)과 트루소(Truso)는 호박의 길이 남쪽으로 향하는 시작점이었다.[11][12] 스칸디나비아에서 호박 길은 북유럽 청동기 시대 문화 발전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되며, 지중해의 영향을 유럽 최북단 국가로 가져왔다.[13]

칼리닌그라드주는 러시아어로 "호박 지방"을 뜻하는 Янтарный крайru로 불리기도 한다(칼리닌그라드 지역 호박 박물관 참조).[14]

4. 주요 경로

호박의 길은 발트해 연안의 호박 산지에서 유럽, 중동, 극동 지역의 소비지를 연결했다. 유럽 지역에서 호박이 발견된 지역을 연결하면 호박의 길이 나타나는데, 지중해 지역에서 동유럽으로 연결되어 있다.

기원전 16세기부터 최소한 호박은 북유럽에서 지중해 지역으로 이동되었다.[2][3] 투탕카멘 (기원전 1333년경~1324년경)의 가슴 장식에는 큰 발트 호박 구슬이 들어 있었다.[4][5][6] 하인리히 슐리만은 분광 분석(Spectroscopy) 조사를 통해 미케네에서 발트 호박 구슬을 발견했다.[7] 시리아 캇나(Qatna)의 왕릉에 있는 호박의 양은 알려진 기원전 2천년기 레반트고대 근동 유적지 중 독보적이다.[8] 호박은 북해에서 델포이아폴론 신전으로 제물로 보내졌다. 흑해를 통해 실크로드라는 또 다른 고대 무역로를 따라 아시아로 무역이 계속될 수 있었다.

로마 제국 시대에 주요 노선은 발트 해안(현대 리투아니아)에서 남쪽으로, 현대 폴란드의 북쪽에서 남쪽까지 전 지역(아마도 철기 시대 정착지인 비스쿠핀(Biskupin)을 통해), 보이족(현대 체코슬로바키아)의 땅을 지나 아드리아 해의 머리 부분(아퀼레이아(Aquileia), 현대 베네치아 만)까지 이어졌다. 호박과 함께 모피와 가죽, 꿀, 왁스 등이 로마로 수출되었고, 대신 로마 유리, 놋쇠, , 그리고 초기 발트 지역으로 수입된 주석구리와 같은 비철금속이 교환되었다.[9] 이 도로는 발트 해와 지중해를 연결하는 수익성 있는 무역로였기 때문에, 로마 군사 요새가 상인들을 게르만족의 습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노선을 따라 건설되었다.[10]

발트해 연안의 구프러시아 도시 카우프(Kaup)과 트루소(Truso)는 남쪽으로 향하는 길의 시작점이었다.[11][12] 스칸디나비아에서 호박 길은 아마도 번영하는 북유럽 청동기 시대 문화를 낳았을 것이며, 지중해의 영향을 유럽 최북단 국가로 가져왔다.[13]

칼리닌그라드주는 러시아어로 때때로 Янтарный крайru로 언급되는데, 이는 "호박 지방"을 의미한다(칼리닌그라드 지역 호박 박물관 참조).[14]

4. 1. 발트해 연안 국가



발트해 연안, 특히 폴란드 북부 해안과 발트 3국 서해안 지역은 주요 호박 산지였다.[14] 현재도 전 세계 호박 생산량의 약 90%가 이 지역에서 나온다. 에스토니아에서는 옛 해안 호박길 루트가 파르누마아 남부 해이데메에스테 키우에서 E67 고속도로를 따라 이어지며, 란나메츠와 이클라 마을 사이에서는 331번 지방도로로 계속된다.

리투아니아와 폴란드에서는 발트해 연안에서 비스쿠핀(Biskupin), 밀리치, 브로츠와프, 클워츠코 계곡 등을 거쳐 모라비아 관문을 통과하는 경로가 가장 짧고 오래된 경로로 여겨진다. 폴란드 비엘코폴스카 지역의 칼리시고대 로마프톨레마이오스가 칼리시아라고 기록한 도시로, 호박의 길의 중요한 중계지였다.

4. 2. 중부 유럽

모라비아 관문을 통과한 호박의 길은 모라바 강을 따라 오스트리아로 이어졌다. 오스트리아 카르눈툼(오스트리아에 있는 고대 로마의 군사 기지) 근처에서 다뉴브 강을 건너 아드리아 해 연안의 아퀼레이아로 남하했다.[11][12]

4. 3. 독일

여러 갈래의 길이 북해(Nordsee)와 발트해(Ostsee)를 지나갔으나, 특히 함부르크(Ambur)에서 브레너 고개를 통과해 브린디시(브룬디시움)와 암브라키아(Ambracia, 그리스)를 향하는 루트가 잘 알려져 있다.[2]

4. 4. 스위스

스위스 지역은 수많은 알프스 산악 도로를 가리키며, 수도 베른 주변에 집중되어 있고 아마도 론강라인강 유역에서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4. 5.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는 바른, 바르네벨트, 아머스포르트, 아메롱헌을 포함한 작은 지역에서 라인강 하류와 북해를 연결하는 경로가 있었다.

4. 6. 벨기에

벨기에에서는 앤트워프와 브뤼헤에서 남쪽으로 이어지는 작은 구간이 있었다. 이 구간은 원래 '브레니아-브렌나(Brennia-Brenna)'라는 이름을 가진 브랭르알뢰(Braine-l'Alleud)와 브랭르콩트(Braine-le-Comte) 마을로 향했다.[15] 이 경로는 뫼즈 강을 따라 스위스의 베른으로 이어졌다.

4. 7. 프랑스

프랑스에서는 루아르 강 어귀의 브렌느(Brenne)에서 브레스와 베른을 거쳐 알프스를 넘어 스위스이탈리아로 향하는 세 개의 경로가 알려져 있다.[1]

4. 8. 남프랑스와 스페인

교역로는 보르도 근처 암바르에서 베른(Béarn)과 피레네 산맥으로 이어졌는데, 암바르는 호박과 연관된 이름이다.[14] 스페인 북부와 피레네 산맥에는 지중해로 향하는 무역로가 있는 호박 발견지가 있었다.

4. 9. 몽골

고고학적 발견에 따르면, 요나라 시대에 몽골이 동유럽과 연결되는 경로가 있었을 가능성도 있다.[16]

5. 현대

발트해 연안을 따라 칼리닌그라드에서 라트비아까지 이어지는 관광 루트를 "호박의 길"이라고 부른다.[17]

"호박의 길"에 있는 주요 장소는 다음과 같다.

장소설명
니다미즈기리스 호박 갤러리 박물관
유오드크란테호박 만
리투아니아소수 민족 역사 박물관, 카르클레의 호박 수집 장소
팔랑가팔랑가 호박 박물관, 호박 공방
그단스크호박 박물관
스벤토이사모기티아 알카
브로츠와프파르티니체 호박 매장지 (기원전 1세기, 세계 최대 규모의 고고학적 호박 발견지, 브로츠와프 고고학 박물관 소장)



폴란드에서는 남북 고속도로 A1이 공식적으로 호박 고속도로(Amber Highway)로 명명되었다.[18]

EV9 호박 루트는 폴란드 그단스크와 크로아티아 풀라를 잇는 장거리 자전거 도로로, 호박의 길을 따라 이어진다.

현대의 발트해-아드리아 해 회랑은 호박의 길을 대략적으로 따라가는 경로를 따라 두 바다를 연결한다.

참조

[1] 논문 Graciela Gestoso Singer, "Amber in the Ancient Near East", ''i-Medjat'' No. 2 (December 2008). Papyrus Electronique des Ankou https://www.academia[...]
[2] 학술지 Prehistoric routes between northern Europe and Italy defined by the amber trade 1925-12-01
[3] 서적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Prehistoric Europe https://books.google[...] Oxford U. Press
[4] 서적 The Complete Tutankhamun: The king, the tomb, the royal treasure Thames & Hudson
[5] 서적 Ancient Egyptian Materials and Techn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학회발표 Amber in Egypt Czech Academy of Sciences
[7] 학술지 Analysis and provenience of Minoan and Mycenaean amber, {{grey|[part]}} IV Mycenae http://grbs.library.[...] 2023-08-04
[8] 학술지 The Qatna lion: Scientific confirmation of Baltic amber in late Bronze Age Syria http://archiv.ub.uni[...]
[9] 학술지 The Balts and amber https://etalpykla.li[...]
[10] 학술지 The coin finds from the survey and the excavation in Strebersdorf (Burgenland, Austria) on the Amber Road (2008–2017) https://hrcak.srce.h[...] 2023-08-04
[11] 웹사이트 Latitude: 54°.2667N, Longitude: 19°.2636E https://latitude.to/[...] 2020-09-13
[12] 서적 A History of the Vikings Oxford University Press
[13] 학술지 Connected Histories: The dynamics of Bronze Age interaction and trade 1500–1100 BC
[14] 잡지 Follow the ancient Amber Road https://www.smithson[...] 2020-09-13
[15]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Trade: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Routledge 2015
[16] 학술지 International fifting and the Kitan world, 907–1125
[17] 웹사이트 Amber Road Objects Amber found at the Baltic Sea https://web.archive.[...] 2014-12-02
[18] 웹사이트 Autostrada Bursztynowa A1 https://web.archive.[...] 2015-0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