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 지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성 지진은 1978년 10월 7일 충청남도 홍성읍 일대에서 발생한 규모 5.0의 지진이다. 얕은 진원과 지진파의 집중으로 인해 홍성읍 일대에 큰 피해가 발생했으며, 2명의 부상자와 118동의 건물 파손, 홍주성 90m 붕괴 등의 피해가 있었다. 홍성 지진 이후 홍성 단층에 대한 지질학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내진 설계 도입과 국내 지진 연구 확충의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청남도의 재난 - 충청남도의 코로나19 범유행
충청남도의 코로나19 범유행은 2020년 2월 계룡시에서 시작되어 2022년 10월 누적 확진자 100만 명을 넘어서는 등 확진자 수가 급증했으며, 2023년까지 총 1,602명이 사망했다. - 10월 7일 - 고양 저유소 유증기 폭발 사고
고양 저유소 유증기 폭발 사고는 2018년 10월 7일에 발생하여 휘발유 탱크 폭발 및 화재로 약 43억 5천만 원의 재산 피해를 냈으며, 유독 가스로 인해 수도권 일대에 대기 오염을 유발했다. - 10월 7일 - 묵주 기도의 성모
묵주 기도의 성모는 가톨릭교회에서 묵주 기도를 통해 신자들을 보호하는 성모 마리아를 지칭하며, 성 도미니코의 묵주 기원 전승과 레판토 해전 승리 이후 묵주 기도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여러 지역의 수호성인으로 공경받고 이를 기념하는 성당들이 존재한다.
홍성 지진 | |
---|---|
지진 정보 | |
이름 | 홍성 지진 |
현지일 | 1978년 10월 7일 |
현지 시간 | 오후 6시 19분 52.2초 (KST) |
위치 | 36.60 |
규모 종류 | 리히터 규모 |
규모 | 5.0 |
깊이 | 10 |
진도 종류 |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
진도 | 5 |
진도 지점 | 충청남도 홍성군 |
피해 지역 | 충청남도 |
사상자 | 2명 부상 |
피해액 | 4억 원 |
2. 발생
1978년 10월 7일 오후 6시 21분경(UTC+9) 약 3분 9초 동안 충청남도 서북부에서 진도 V(5)의 지진이 발생하여, 홍성군 홍성읍 일대에 큰 피해를 입혔다.[1]
이 지진은 일반적인 규모 5.0의 지진 피해보다 컸는데, 진원 깊이가 10km 이내로 얕았고 지진파 에너지가 진앙 부근에 집중되었기 때문이다. 일본의 지진 관측소에서는 뚜렷하게 기록되지 않았다.[1]
이후 1978년 10월 10일, 11월 24일, 1979년 1월 1일, 2월 8일(2차례), 2월 24일, 3월 12일에 총 7차례의 여진이 발생했는데, 모두 사람이 느낄 수 있는 지진이었다.[1]
2. 1. 지진 발생
1978년 10월 7일 오후 6시 21분경(UTC+9) 약 3분 9초 동안 충청남도 서북부에서 진도 V(5)강의 지진이 발생하여, 홍성군 홍성읍 일대는 큰 피해를 입었다.[1]2. 2. 특징과 여진
홍성읍에서 진도 V(5)에 해당하는 피해가 발생했는데, 이는 일반적인 규모 5.0의 지진 피해보다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홍성 지진의 진원 깊이가 10km 이내로 얕았고, 지진파의 에너지가 진앙 부근으로 매우 집중되었다는 점이 피해가 커진 이유로 지적되었다. 한반도에서 가까운 일본의 지진 관측소에서는 뚜렷하게 기록되지 않았다.[1]1978년 10월 10일, 11월 24일, 1979년 1월 1일, 2월 8일(2차례), 2월 24일, 3월 12일에는 총 7차례의 여진이 발생하였는데, 모두 사람이 느낄 수 있는 유감 지진이었다.[1]
3. 원인
홍성 지진의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지진 발생 이후 홍성 지역에 대한 지질학적, 지구물리학적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특히, 홍성군 홍성읍 일대에서 실시된 중력 탐사, 자기 조사, 전기 비저항 탐사 등의 결과는 홍성읍을 통과하는 동북동 주향의 홍성 단층이 존재하며, 이 단층이 활성 단층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3. 1. 홍성 단층
홍성 지진이 발생한 이후 홍성 지역을 대상으로 지질학적, 지구물리학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기화와 장태우(1985)는 홍성군 홍성읍 일대에서 중력 탐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홍성읍을 통과하는 동북동 주향의 단층이 발견되었다. 중력 이상은 단층과 같은 방향으로 향하며 단층 지역의 쇄설성 퇴적물은 40m 깊이까지 연장된다.[2] 이기화(1986)는 홍성 지진의 깊이는 10km 미만, 규모는 5.2로 추정하였으며 자기 조사 결과 이 지역에서 북동 68° 주향의 단층이 존재하고, 중력 및 자력 탐사 결과 이 구조선 남쪽 500m 지점에 주 단층 파쇄면이 구조선과 거의 평행하게 위치하며 단층 북측이 남측에 비해 30m 정도 낙하하였고, 방사선 조사 결과 단층 부근에서 감마선의 강도가 급격히 증가함을 보여 이 단층이 지진학적으로 활발함을 나타낸다고 설명하였다.[3]2003년 수행된 홍성 단층대에서의 전기, 전자 탐사 연구에서 전기 비저항 탐사 결과 또한 홍성 단층이 활성 단층일 수 있다고 시사했다. 전기 비저항 탐사(Dipole-Dipole Array Geoelectric Survey)는 지표에서 발견되지 않는 단층 및 파쇄대를 조사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파쇄대 및 단층대는 점토 광물 및 지하수 등의 유체(流體)가 많이 함유되어 있고, 또 이렇게 존재하는 공극(孔隙)들은 서로 연결 상태가 좋기 때문에 전기를 잘 통하게 하는 전도체 역할을 하여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전기 비저항이 낮다.[4] 전기 비저항 탐사 결과 홍성군 내의 예상 단층 지역을 따라 뚜렷한 저(低)비저항대가 있음이 밝혀졌고, 이러한 결과는 홍성 단층이 과거의 큰 지진을 비롯해 최근까지도 지진을 일으킬 수 있는 활동 중인 단층이라는 추정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 주는 것이다. 단층이 지속적으로 활동하고 있으면 단층대를 따라 유체의 흐름이 더욱 활발히 일어나게 되고 이것으로부터 전기 비저항이 낮은 곳이 존재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홍성 지역의 단층대에서 낮은 전기 비저항 분포를 보이는 부분이 수직으로 잘 발달해 있다는 것은 최근에 두 차례의 지진이 발생한 것처럼 이 지역 단층이 활동 중인 단층이라는 사실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5]
홍성 단층은 2012년의 활성단층지도 보고서에서 보고된 단층으로, 기존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5만 지질도폭에서는 그 존재가 언급된 적이 없지만, 1:25만 대전도폭 등에서는 홍성읍을 관통하는 단층으로 표시하였다. 단층의 노두상에서 확인된 바 없는 선형구조로 단층의 존재가 희미하지만 이 단층이 홍성읍을 지난다고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이 단층과 홍성 지진과의 연관성을 배제할 수 없다.
4. 피해
홍성군청을 중심으로 반경 500m 내 지역에 피해가 집중되었다. 지진 발생 당시 쾅하는 굉음과 함께 홍성읍내에 진동이 느껴졌다는 제보가 있었다. 지진으로 부상자 2명이 발생했고, 118동의 건물이 파손, 1,100여 동의 건물에 균열이 발생했다. 홍성군청 등 12개 공공기관의 유리창 500여 장이 파손되었고, 문화재로 지정된 사적 제231호 홍주 성곽 90m가 무너졌다. 가재도구와 담장 등 부속 구조물 파손도 670여 건이 신고되었다. 일시적인 정전과 전화 불통 현상이 있었고, 지면에는 폭 약 1cm, 길이 약 5m~10m의 균열도 발견되었다. 당시 총 피해액은 약 2억원, 복구 소요 비용은 약 4억원으로 보도되었다. 이 지진은 홍성군에서 내진설계를 도입하는 계기가 되었다.[1]
서울, 대전, 광주에서는 일부 민감한 사람만이 약간의 진동을 느낄 수 있었다.[1]
홍성 지진으로 서울에 있던 지진계가 파손되어 잠시 동안 대한민국에는 광주의 지진계만 있었다. 이 지진으로 국내 지진계 확충 필요성이 커져 한국의 지진 연구가 늘어나는 계기가 되었다.[6] 홍성읍에서는 지진으로 2,840여 동의 건물에 균열이 발생했다. 문화재로 지정된 사적 제234호 홍주성이 붕괴되었고, 홍성군청 등 12곳의 공공기관 창유리 500장이 파손되는 등 피해가 심각했다. 추정 피해액은 3억원(당시)에 달했다.
5. 영향
1978년 홍성 지진은 대한민국 사회에 지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이 지진으로 서울에 있던 지진계가 파손되어 대한민국에는 광주의 지진계만 남게 되었고, 국내 지진계 확충 필요성이 제기되어 한국의 지진 연구가 늘어나는 계기가 되었다.[6]
5. 1. 사회적 영향
홍성 지진은 대한민국 사회에 지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지진 발생 당시 쾅하는 굉음과 함께 홍성읍내에 진동이 느껴졌다는 제보가 전해졌다. 이 지진으로 부상자 2명이 발생했고, 118동의 건물이 파손되었으며 1,100여 동 이상의 건물에 균열이 생겼다. 사적 231호 홍주 성곽 90m가 무너지고, 가재도구와 담장 등 부속 구조물 파손이 670여 건 신고되었다. 일시적인 정전과 전화 불통 현상도 발생했고, 지면에는 폭 약 1cm, 길이 약 5~10m의 균열도 발견되었다.[1]총 피해액은 약 2억원, 복구 비용은 약 4억원으로 보도되었다. 이 지진은 홍성군에서 내진 설계를 도입하는 계기가 되었다.[1]
한편, 서울, 대전, 광주에서는 일부 민감한 사람만이 약간의 진동을 느낄 수 있을 정도로 지진의 여파가 약했다.[1]
홍성 지진으로 서울에 있던 지진계가 파손되어 잠시 동안 대한민국에는 광주의 지진계 단 하나만 있었다. 이 지진으로 국내 지진계 확충 필요성이 늘어나 한국의 지진 연구가 늘어나는 계기가 되었다.[6]
5. 2. 학술적 영향
1978년 홍성 지진으로 서울에 있던 지진계가 파손되어 잠시 동안 대한민국에는 광주에 있는 지진계만 남아 있었다. 이 지진으로 국내 지진계 확충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는 한국의 지진 연구 발전에 기여하였다.[6]참조
[1]
보도자료
1978-2000 지진관측보고
http://www.kma.go.kr[...]
대한민국 기상청
2001-03
[2]
저널
A Gravity Survey of the Hongsung Area 洪城一帶의 重力探査)
https://www.dbpia.co[...]
1985-09
[3]
저널
Seismicity of the Korean Peninsula (I) : Seismicity of the Hongsung Area (韓半島의 地震活動(I) : 洪城一帶의 地震活動)
https://www.dbpia.co[...]
1986-06
[4]
웹인용
전기비저항 탐사법을 이용한 지하 천부 파쇄대 조사 (Dipole-Dipole Array Geoelectric Survey for Gracture Zone Detection)
https://www.dbpia.co[...]
1999
[5]
웹인용
홍성 단층대에서의 전기, 전자 탐사 연구 (Electric and Electromagnetic Surveys of the Hongseong Fault Zone)
https://scienceon.ki[...]
2003
[6]
서적
모든 사람을 위한 지진 이야기
사이언스북스
2015-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