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홍천우체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천우체국은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에 위치한 우체국이다. 1905년 홍천임시우체소 설치를 시작으로, 1953년 홍천읍 신장대리에 홍천우체국이 주사국으로 개국하였다. 현재 내촌, 반곡, 북방, 서석, 성산, 양덕원, 영귀미, 자은, 창촌, 홍천연봉우체국과 홍천갈마곡우편취급국을 관할하며, 경영지도실, 영업과, 우편물류과로 조직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5년 설치 - 영월군
    영월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에 둘러싸여 동강과 서강이 흐르고, 단종 유배지와 장릉, 김삿갓 유적지 등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지가 있는 고생대 지층의 카르스트 지형과 지하자원이 풍부한 지역이었으나 석탄 산업 쇠퇴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 1905년 설치 - 오산우체국
    오산우체국은 1905년 오산우편소로 시작하여 오산우편국으로 변경, 사무관국으로 승격, 현재 청사 준공을 거쳐 오산시의 우편 및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오산시 전 지역의 우편 서비스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 홍천군 소재의 관공서 - 제11기동사단
    제11기동사단은 1950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 참전 및 대간첩 작전을 수행했으며, 기계화보병사단으로 개편된 후 현재는 3개의 기계화보병여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홍천군 소재의 관공서 - 홍천소방서
    홍천소방서는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을 관할하는 소방서로, 소방행정과, 방호구조과, 현장대응과로 구성되어 4개의 119안전센터와 1개의 구조대를 산하에 두고 있으며, 2012년 인제소방서가 분리 신설되었다.
  • 강원특별자치도 소재의 우체국 - 삼척우체국
    1895년 삼척임시우체소로 시작하여 1949년 삼척우체국으로 개칭된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소재의 우체국으로, 우편물류, 금융, 경영지도 업무를 수행하며 2015년 서기관국으로 승격되었다.
  • 강원특별자치도 소재의 우체국 - 철원우체국
    철원우체국은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에 위치하며 1897년 철원우체사 개소를 시작으로 우편 업무를 시작했고, 현재 6개의 우체국을 관할하며 우편물류과, 영업과, 경영지도실로 구성되어 있다.
홍천우체국 - [지명]에 관한 문서
우체국 정보
이름홍천우체국
종류우체국
위치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홍천읍 홍천로 368
관할 지역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일원
홈페이지홍천우체국

2. 연혁


  • 1905년 6월 13일: 홍천임시우체소 설치
  • 1923년 3월 25일 : 홍천우편국 폐지[1]
  • 1923년 3월 26일 : 홍천우편소 설치[2]
  • 1932년 3월 26일 : 성산우편소 설치[3]
  • 1934년 3월 21일 : 서석우편소 설치[4]
  • 1936년 3월 26일 : 자은우편취급소 설치[5]
  • 1938년 3월 15일 : 자은우편취급소 폐지[6]
  • 1938년 3월 16일 : 자은우편소, 창촌우편소 설치[7]
  • 1940년 3월 16일 : 내촌우편소 설치
  • 1941년 2월 1일 : 홍천우편소를 홍천우편국으로, 서석우편소를 서석우편국으로, 성산우편소를 성산우편국으로, 자은우편소를 자은우편국으로, 창촌우편소를 창촌우편국으로 개칭[8]
  • 1942년 3월 26일 : 내촌우편소가 내촌우편국으로 승격[9]
  • 1944년 2월 1일 : 양덕원우편국 설치[10]
  • 1949년 8월 13일 : 홍천우편국을 홍천우체국으로, 내촌우편국을 내촌우체국으로, 서석우편국을 서석우체국으로, 성산우편국을 성산우체국으로, 양덕원우편국을 양덕원우체국으로, 자은우편국을 자은우체국으로, 창촌우편국을 창촌우체국으로 명칭 변경[11]
  • 1950년 6월 25일 : 성산우체국 업무 일시 중지 (6.25 전쟁 발발과 관련)
  • 1950년 6월 30일 : 자은우체국 업무 일시 중지
  • 1950년 9월 22일 : 제101군사우체국 개국
  • 1950년 10월 10일 : 성산우체국 업무 재개
  • 1952년 1월 1일 : 내촌우체국 업무 재개
  • 1953년 10월 31일: 홍천군 홍천읍 신장대리 7-4에서 개국(주사국)
  • 1955년 3월 25일 : 양덕원우체국을 남면 양덕원리 192-1로 이전
  • 1960년 2월 1일 : 반곡우체국 개국[12]
  • 1963년 8월 12일 : 북방우체국 별정우체국 개국[13]
  • 1964년 3월 26일 : 제101군사우체국 개국[14]
  • 1964년 9월 20일 : 동면우체국 별정우체국 개국[15]
  • 1965년 8월 20일 : 반곡우체국 모곡분국 개국[16]
  • 1966년 6월 1일: 사무관국으로 승격(서무계, 우편계, 전신전화계)
  • 1967년 6월 12일 : 동면우체국을 홍천동면우체국으로 명칭 변경[17]
  • 1968년 6월 20일 : 제81군사우체국 개국[18]
  • 1971년 12월 28일: 청사 준공 이전 (홍천읍 신장대리 55-13)
  • 1973년 11월 18일 : 양덕원우체국을 남면 양덕원리 142-17로 이전
  • 1978년 8월 28일 : 양덕원우체국 시동분국 신설[19]
  • 1985년 12월 30일 : 홍천삼마치우편취급소 신설[20]
  • 1986년 8월 25일 : 내촌우체국 개축청사 준공
  • 1987년 12월 7일 : 시동분국이 홍천시동우체국으로 명칭 변경[21]
  • 1988년 1월 5일 : 모곡분국이 홍천모곡우체국으로 명칭 변경[22]
  • 1990년 1월 10일 : 홍천연봉우편취급소 신설[23]
  • 1990년 12월 3일 : 북방우체국이 현 위치로 이전
  • 1992년 1월 26일 : 홍천갈마곡우편취급소 신설
  • 1994년 12월 9일 : 양덕원우체국을 남면 양덕원리 182-2로 이전
  • 1994년 12월 15일 : 홍천갈마곡우편취급소 재신설[24]
  • 1997년 7월 1일: 5급 관서 편제 개편 신설(영업과, 업무관리과, 지도실), 내촌우체국이 6급국에서 7급국으로 격하[25]
  • 1999년 12월 1일 : 홍천연봉우체국 개국[26]
  • 2001년 5월 1일: 관리기능 광역화 확대 실시에 따른 편제 개편(우편물류과, 영업과, 마케팅지원실)
  • 2003년 1월 23일 : 내촌우체국이 7급국에서 6급국으로 승격
  • 2004년 1월 1일: 편제 개편(영업과, 우편물류과, 지원과, 경영지도실)
  • 2004년 12월 31일 : 홍천모곡우체국 폐국[27]
  • 2005년 2월 1일 : 제81군사우체국이 홍천우체국 제81군사우편출장소로 변경
  • 2005년 2월 3일 : 제81군사우체국 폐국[28]
  • 2007년 6월 22일: 홍천군 남면 우편구역을 홍천우체국에서 양덕원우체국으로 변경[29]
  • 2008년 5월 6일 : 홍천갈마곡우편취급소를 홍천갈마곡우편취급국으로 명칭 변경
  • 2010년 7월 1일: 홍천읍 상오안리 우편구역을 양덕원우체국에서 홍천우체국으로 변경[30]
  • 2012년 8월 14일: 홍천모곡우편취급국 폐국[31]
  • 2014년 12월 31일 : 홍천시동우체국 폐국[32]
  • 2021년 7월 5일 : 홍천동면우체국을 영귀미우체국으로 명칭 변경[33][34] (영귀미면 행정구역 명칭 변경에 따름)

3. 관할 우체국

홍천우체국은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지역의 우편 업무를 총괄하며, 여러 우체국과 우편취급국을 관할하고 있다.

3. 1. 현존 우체국

wikitext

우체국명주소비고
내촌우체국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촌면 아홉사리로 1141
반곡우체국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면 팔봉산로 624
북방우체국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북방면 영서로 2678별정우체국
서석우체국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석면 구룡령로 2518
성산우체국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화촌면 성산로 139
양덕원우체국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남면 양덕원로 88
영귀미우체국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동면 공작산로 510별정우체국
2021년 7월 5일 홍천동면우체국에서 명칭 변경
자은우체국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두촌면 자은로 341
창촌우체국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면 창촌로 45-5
홍천갈마곡우편취급국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홍천읍 희망로 921994년 12월 15일 신설
홍천연봉우체국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홍천읍 연봉중앙로 541999년 12월 1일 신설


3. 2. 현존 우편취급국

wikitext

우체국명사진주소비고
홍천갈마곡우편취급국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홍천읍 희망로 921994년 12월 15일 신설


3. 3. 폐국/통폐합된 우체국/우편취급소

wikitext

우체국명주소비고
홍천모곡우체국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면 모곡리2004년 12월 31일 폐국
홍천모곡우편취급국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면 모곡리 167-172012년 8월 14일 폐국
홍천삼마치우편취급소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홍천읍 삼마치리폐지 (날짜 미상)
홍천시동우체국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남면 시동안로 2292014년 12월 31일 폐국


4. 조직


  • 경영지도실
  • 영업과
  • 우편물류과

5. 기본 정보

참조

[1]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71 1923-03-23
[2]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70 1923-03-23
[3]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150 1931-03-24
[4]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116 1934-03-19
[5]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173 1936-03-23
[6]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202 1938-03-14
[7]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200 1938-03-14
[8]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109 1941-01-31
[9]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383 1942-03-20
[10]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69 1944-01-21
[11] 법률 법률 제47호 1949-08-13
[12] 고시 서울지방체신청고시 제1134호
[13] 고시 체신부고시 제1950호 1963-08-20
[14] 법령 체신부령 제252호 1964-03-26
[15] 고시 체신부고시 제2152호 1964-12-09
[16] 고시 체신부고시 제2269호 1965-08-19
[17] 문서 서울지방체신청문서 1611.2-12863호
[18] 문서 서울지방체신청문서 1611.3-14981호
[19] 공고 강원지방체신청공고 제2호 1978-08-28
[20] 고시 체신부고시 제189호 1985-12-18
[21] 공고 강원지방체신청공고 제14호 1988-01-05
[22] 공고 강원지방체신청공고 제14호 1988-01-05
[23] 고시 체신부고시 제113호 1989-12-14
[24] 고시 체신부고시 제1994-90호 1994-12-10
[25] 문서 홍천군 12230-2255호 문서
[26] 공고 홍천우체국공고 제1999-1호 1999-11-25
[27] 공고 홍천우체국공고 제2005-1호 2005-02-17
[28] 공고 홍천우체국공고 제2005-1호 2005-02-17
[29] 고시 강원체신청고시 제2007-13호 http://gwanbo.mois.g[...] 2007-06-22
[30] 고시 강원체신청고시 제2010-17호 http://gwanbo.mois.g[...] 2010-07-05
[31] 고시 강원지방우정청고시 제2012-59호 http://gwanbo.mois.g[...] 2012-07-31
[32] 공고 홍천우체국공고 제2015-1호 2015-02-04
[33] 고시 강원지방우정청고시 제2021-39호 https://gwanbo.go.kr[...] 2021-05-20
[34] 고시 강원지방우정청고시 제2021-6호 https://gwanbo.go.kr[...] 2021-06-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