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미니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콩 미니버스는 1960년대 신계 지역에서 시작된 소규모 대중교통 시스템으로, 1967년 홍콩 폭동으로 인한 버스 및 트램 운행 중단 시기에 급증했다. 초기에는 흑백 체커무늬의 9인승 밴으로 시작하여 '얼룩말차'로 불렸으며, 이후 좌석 수와 디자인이 변화하며 녹색 미니버스(정해진 노선, 요금)와 빨간색 미니버스(자유로운 노선, 요금)의 두 종류로 발전했다. 현재는 19석 규모의 차량이 주로 운행되며, 승객들은 길가에서 손짓하여 탑승하고, 하차 시에는 운전기사에게 목적지를 알려주는 방식으로 이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콩의 버스 교통 - 2018년 홍콩 버스 사고
2018년 2월 10일 홍콩에서 발생한 버스 전복 사고로 19명이 사망하고 60명 이상이 부상했으며, 과속, 운전 부주의, 열악한 근무 환경 및 안전 관리 부실 등이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홍콩 미니버스 | |
---|---|
개요 | |
유형 | 미니버스 |
서비스 지역 | 홍콩 |
특징 | |
다른 이름 | (Van-ette 또는 Van child) |
종류 | 녹색 미니버스 (GMB) 적색 미니버스 (RMB) |
운영 | |
운영자 | 독립 운영자 |
규제 기관 | 교통부 |
기술 사양 | |
좌석 수 | 19석 |
2. 역사
홍콩의 공공 미니버스 서비스는 1960년대 이전 신계 지역에서 비공식적으로 운행되던 현지 미니버스(黑牌車|Hāakpáai chē중국어)에서 시작되었다. 1967년 홍콩 1967년 좌익 폭동으로 주요 버스 회사들이 파업에 들어가자, 이 미니버스들이 교통 공백을 메우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이후 도심 운행이 허용되었다.[5][7] 초기에는 주로 신계 외곽 지역 주민들을 위한 교통 수단으로 이용되었으나[6], 1969년 정부가 약 5,000개의 면허를 발급하면서 합법적인 대중교통 수단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5]
초창기 9인승 '얼룩말차'(斑馬車|Bāanmáh chē중국어) 디자인에서 시작하여[7][8], 시대가 흐르면서 좌석 수가 14석, 16석, 그리고 현재의 19석까지 점차 늘어났다.[7] 1977년에는 목적지 표지판이 도입되었고, 에어컨 설치가 보편화되는 등 편의성도 지속적으로 개선되었다.[7]
2. 1. 초기 역사 (1960년대 이전 ~ 1969년)
공공 미니버스 서비스의 기원은 1960년대 이전 신계에서 운행되던 비공식 미니버스, 이른바 '흑패차'(黑牌車|Hāakpáai chē중국어)에서 찾을 수 있다. 1967년 홍콩 1967년 좌익 폭동이 발생했을 때, 주요 버스 회사인 중국 모터 버스와 구룡 모터 버스 노동자들이 파업에 참여하면서 버스와 트램 운행이 중단되자 이 비공식 미니버스들이 그 자리를 메웠다.[5] 당시 운행 노선 중 하나는 조던 로드 페리 부두에서 위엔롱까지였는데, 이는 신계 최초의 미니버스 노선으로 여겨진다.[6] 1967년 폭동 이후, 정부는 시민들의 교통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이 미니버스들이 홍콩 도심 지역에서도 운행하는 것을 허용했다.[7]당시 미니밴 소유자들은 적은 요금을 받고 승객들에게 교통편을 제공했다. 이 미니밴들은 주로 위엔롱, 셩수이, 판링 같은 신계 외곽 지역에서 운행하며 농촌 주민들을 위한 셔틀버스 역할을 했다.[6] 정부는 이러한 운행이 정식 여객 서비스 면허 없이 승객을 태우는 불법 행위임에도 불구하고 한동안 이를 눈감아 주었다. 그러나 1969년, 정부는 약 5,000개의 면허를 발급하여 이 서비스를 합법화했다. 이 조치는 불법적인 운행으로 이득을 본 사람들에게 정부가 면허를 부여하는 것이 옳지 않다는 비판을 받으며 논란이 되기도 했다.[5]
초창기 미니버스는 9명의 승객을 태울 수 있는 밴 형태였다. 차체에는 흑백 체크무늬 줄무늬가 그려져 있어 흔히 '''얼룩말차'''(斑馬車|Bāanmáh chē중국어)라고 불렸다. 이 체크무늬 디자인은 현재 리온 NT 택시 회사(利安的士公司)가 택시에 사용하고 있다.[7][8]
2. 2. 합법화 및 발전 (1969년 ~ 현재)
공공 미니버스 서비스의 시작은 1960년대 이전 신계에서 운행되던 비공식적인 현지 미니버스 시스템(黑牌車|Hāakpáai chē중국어)에서 찾을 수 있다. 홍콩 1967년 좌익 폭동 당시, 주요 공영 버스 회사인 중국 모터 버스와 구룡 모터 버스 노동자들이 파업에 들어가 버스와 트램 운행이 중단되자, 이 미니버스들이 그 공백을 메우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5] 당시 운행 노선 중 하나였던 조던 로드 페리 부두와 위엔롱 구간은 신계 최초의 미니버스 노선으로 여겨진다.[6] 1967년 이후, 정부는 통근자들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미니버스가 홍콩 도심 지역에서도 운행하는 것을 허용했다.[7]초기에 미니밴 소유주들은 적은 요금을 받고 승객들에게 교통 서비스를 제공했다. 이 미니밴들은 주로 위엔롱, 셩수이, 판링 등 신계 외곽 지역을 중심으로 운행하며 농촌 주민들의 발이 되어주었다.[6] 당시 이러한 운행은 여객 서비스 면허 없이 승객을 운송하는 불법 행위였지만, 정부는 이를 사실상 묵인하고 있었다. 결국 1969년, 정부는 법률을 제정하여 약 5,000명의 운전자에게 면허를 발급하며 미니버스 서비스를 합법화했다. 그러나 이는 불법 운행으로 이익을 얻던 이들에게 정부가 면허를 발급해주는 것이라는 비판을 받으며 논란이 되기도 했다.[5]
초창기 미니버스는 9인승 밴 형태였으며, 흑백 체크무늬 도색 때문에 '얼룩말차'(斑馬車|Bāanmáh chē중국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이 체크무늬 디자인은 현재 리온 NT 택시 회사(利安的士公司중국어)가 택시에 사용하고 있다.[7][8] 이후 디자인은 빨간색 줄무늬가 있는 밴 형태로 바뀌었고, 이는 '빨간 버스' 또는 '14인승'이라는 별칭으로 불렸다. 좌석 수도 시대에 따라 점차 늘어나 9석에서 시작하여 14석, 16석을 거쳐 현재의 19석까지 증가했다.[7] 1977년에는 미니버스 전면 상단에 목적지를 표시하는 표지판이 처음 도입되었고, 에어컨 설치가 일반화되면서 기존의 뒷좌석 벤치 형태는 사라지게 되었다.[7]
3. 종류
홍콩의 미니버스는 면허 종류에 따라 녹색 미니버스(Green Minibus, GMB)와 빨간색 미니버스(Red Minibus, RMB) 두 가지로 나뉜다.[1] GMB는 정해진 노선과 고정된 요금으로 운행하는 반면, RMB는 노선이나 요금에 대한 규제 없이 비교적 자유롭게 운행할 수 있다. 두 종류 모두 크림색 차체를 공통으로 사용하지만, GMB는 지붕이 녹색, RMB는 지붕이 빨간색으로 칠해져 있어 외관상 구분이 가능하다.[1]
2014년 기준으로 홍콩에는 총 4,350대의 공공 미니버스가 운행 중이며, 이 중 약 3,150대가 GMB, 1,200대가 RMB였다. 이들 미니버스의 운행은 여객 서비스 면허(PSL)에 따라 홍콩 교통부 장관이 부과하는 조건에 의해 규제된다.[3]
차량은 대부분 토요타 코스터 모델이 사용되지만, 최근에는 환경 규제 강화와 서비스 개선 노력의 일환으로 이베코 데일리와 같은 친환경 모델도 도입되고 있다. 연료는 주로 오토가스(액화 석유 가스, LPG)를 사용하며, 이는 비용 절감과 미세먼지 배출 감소 효과가 있다. 홍콩 교통 당국은 배출가스를 더욱 줄이기 위해 운전자들에게 전기자동차로 전환하도록 장려하는 정책도 펴고 있다.[2]
일부 미니버스 운전사들의 과속 운전 행태는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어 '죽음의 미니버스'(亡命小巴중국어)라는 비판적인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2년부터 모든 공공 미니버스에는 시속 80km 이상 주행 시 경보음이 울리는 속도 제한 장치와, 승객들이 현재 속도를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속도계 설치가 의무화되었다.[4]
3. 1. 녹색 미니버스 (專線小巴)

녹색 미니버스(Green Minibuses, GMB)[1]는 정해진 노선과 고정된 요금으로 운행되는 정기 서비스를 제공한다. 차량 외부 지붕이 녹색이며 크림색 차체를 가진다.[1]
현재 약 280개의 GMB 노선이 노선 번호와 함께 운영되고 있다. 요금은 정해져 있으며, 정확한 금액을 현금으로 내거나 옥토퍼스 카드로 결제할 수 있다. 일부 노선에서는 승객이 노선의 일부 구간만 이용할 경우, 전체 요금보다 저렴한 구간 요금을 낼 수 있다. 구간은 보통 터널이나 교량 통과 같은 뚜렷한 지점을 기준으로 나뉜다.[1]
대부분의 미니버스는 토요타 코스터 차종이지만, 최근에는 버스 품질 향상 계획의 일환으로 친환경적인 이베코 데일리 그린 미니버스도 도입되었다. 대부분의 버스는 오토가스(액화 석유 가스, LPG)로 운행되는데, 이는 연료비가 저렴하고 미립자 배출이 적기 때문이다. 홍콩 교통 위원회는 배출량 감축을 위해 운전자가 더 효율적인 전기 자동차로 전환하도록 장려하고 있다.[2]
2014년 기준으로 홍콩에는 총 4,350대의 공공 미니버스 중 3,150대가 GMB였다. GMB 운영은 여객 서비스 면허(PSL)에 따라 교통부 장관이 부과하는 조건에 의해 규제된다.[3]
미니버스 운전사들은 회사 소속이 아닌 개별적으로 수입을 얻는 경우가 많아, 더 많은 운행을 통해 수입을 늘리려 과속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죽음의 미니버스'(亡命小巴)라는 비판도 받는다. 이러한 우려에 따라 2012년부터 모든 공공 미니버스에는 시속 80km에서 작동하는 속도 경보 장치 설치가 의무화되었다. 또한, 승객이 현재 속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운전석 옆 천장에 대형 디지털 속도계가 설치되어 있다.[4]
3. 2. 빨간색 미니버스 (紅色小巴)
빨간색 미니버스(Red Minibus, RMB)[1]는 녹색 미니버스(GMB)와 달리 고정된 노선이나 정액 요금 없이 운행할 수 있는 면허를 가진다. 차량 지붕 색깔이 빨간색인 점으로 구별되며, 차체는 GMB와 동일하게 크림색이다. RMB는 합승 택시와 유사하게 비정기적으로 운행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사실상 노선이 고정되는 경우도 있다.[1] 특별히 금지된 구역이 아니라면 어디든 운행할 수 있으며, 노선이나 요금에 대한 정부의 통제를 받지 않는다. 이는 시장 수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2014년 기준으로 홍콩에는 1,200대의 RMB가 운행 중이었다.[3]일부 RMB 노선은 타이포-몽콕, 추엔완-쿤통, 쿤통-몽콕, 위엔롱-조던 로드 구간처럼 24시간 운행하기도 한다. 반면, 위엔롱-코즈웨이 베이 노선처럼 심야 시간대에만 운행하며, 운행이 중단된 대형 버스나 지하철 노선을 대체하는 역할도 한다.
대부분의 RMB에서는 승객이 하차하기 직전에 요금을 지불한다. 현금으로 지불할 경우 잔돈을 받을 수 있지만, 기사가 편의를 위해 소액을 제하고 거슬러 줄 수도 있다. 일부 차량만이 옥토퍼스 카드 결제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요금과 시간표는 정부의 규제를 받지 않기 때문에, RMB가 GMB보다 요금이 더 비싼 경우도 있다.
RMB 차량에 표시된 목적지는 과거 코즈웨이 베이에 있었던 다이마루(大丸중국어)처럼 이미 사라진 오래된 랜드마크인 경우도 있다. 또한, 차량에 표시된 노선 번호는 1973년 이전에 신계 지역에서 대형 면허 버스 회사들이 사용하던 번호 체계의 흔적이다.
홍콩의 미니버스는 대부분 토요타 코스터 차종이지만, 최근에는 친환경 정책의 일환으로 이베코 데일리 그린 미니버스도 도입되었다. 연료는 주로 오토가스(액화 석유 가스)를 사용하는데, 이는 비용이 저렴하고 미립자 배출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2] 미니버스 운전사들은 회사 소속이 아니라 개별적으로 수입을 얻는 경우가 많아, 더 많은 운행을 통해 수입을 늘리려고 과속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죽음의 미니버스'(亡命小巴중국어)라는 비판적인 별명이 붙기도 했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여 2012년부터 모든 공공 미니버스에는 80km/h에서 작동하는 속도 경보 장치 설치가 의무화되었으며, 승객이 현재 속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운전석 옆 천장에 대형 디지털 속도계를 설치해야 한다.[4]
4. 차량
홍콩의 미니버스는 녹색 미니버스(GMB)와 빨간색 미니버스(RMB) 두 종류로 나뉜다. 녹색 미니버스는 정해진 노선과 고정된 요금으로 운행되지만, 빨간색 미니버스는 이러한 제한이 없다.[1] 두 종류 모두 크림색 차체를 사용하며, 차량 지붕 색깔(녹색 또는 빨간색)로 구분된다. 과거에는 차체 중간의 줄무늬 색상으로 구별하기도 했다.
현재 운행되는 미니버스의 대부분은 토요타 코스터 모델이다. 홍콩 정부는 버스 품질 개선과 환경 보호를 위해 새로운 친환경 차량 도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베코 데일리 그린 미니버스 등이 도입되었다. 연료는 주로 오토가스(액화 석유 가스, LPG)를 사용하는데, 이는 연료비가 저렴하고 미세먼지 배출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교통 위원회는 배출가스를 더욱 줄이기 위해 운전자들이 전기 미니버스로 전환하도록 장려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2]
2014년 기준으로 홍콩에는 총 4,350대의 공공 미니버스가 운행 중이며, 이 중 3,150대는 녹색 미니버스, 1,200대는 빨간색 미니버스이다. 미니버스 운행은 여객 서비스 면허(PSL)에 따라 교통부 장관이 정한 조건에 의해 규제된다.[3]
미니버스 운전사들은 회사 소속이 아닌 개별적으로 수입을 얻는 경우가 많아, 더 많은 운행 횟수를 통해 수입을 늘리려 과속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죽음의 미니버스"(亡命小巴중국어)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2012년부터 모든 공공 미니버스에는 시속 80km를 넘으면 경보음이 울리는 속도 제한 장치 설치가 의무화되었다. 또한, 승객들이 현재 속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운전석 옆 천장에 대형 디지털 속도계를 설치해야 한다.[4]
4. 1. 주요 차종

초기 공공 소형 버스는 대부분 영국 차량을 사용했으며, 주로 버스로 개조된 밴 형태여서 승객을 적게 수송했다. 일부 비 영국계 유럽 버스도 있었지만, 1969년 일본 미니버스가 등장하면서 점차 판도가 바뀌어 1980년대에는 일본 차량이 대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주요 차종은 다음과 같다.
- 모리스 J 타입 12인승 (1960년대)
- 베드포드 CA (1960년대)
- 포드 트랜짓 Mk I (1965–1978) 9인승 및 12인승 (1970년대)
- 닛산 에코 (모두 퇴역, 1980년대에 시빌리언으로 대체)
- 미쓰비시 후소 로사 (현재는 녹색 미니버스만 운행)
- 토요타 코스터 (LPG 및 디젤)
- 닛산 시빌리언 (모두 1990년대에 퇴역)
- 메르세데스-벤츠 스프린터 311 (모두 퇴역)
- 메르세데스-벤츠 스프린터 516CDi
- 이베코 데일리 (2004년 도입, 현재 퇴역)
- GMI 제미니 (GMI Geminieng) (디젤-전기)
- 골든 드래곤 XML6701J18 (Golden Dragon XML6701J18eng)
- 옵타레 솔로 SR
- 피아트 두카토
- 멜러 오리온 (Mellor Orioneng)
- MAN TGE 5.180
4. 2. 신규 차량 도입 논의
일부 녹색 미니버스 조합은 정부에 현재의 19인승보다 1명 더 많은 최대 2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신규 차량 도입을 요구했다. 이들은 이를 통해 출퇴근 시간의 교통 혼잡을 완화하고 요금 인상을 억제하여 수익성을 개선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현재 몇 대의 신규 차량이 운행 중이지만, 법적으로는 미니버스에 최대 16명의 승객만 탑승할 수 있어 늘어난 공간은 짐칸으로 활용되고 있다. 정부는 2017년 또는 2018년 완료 예정인 대중교통 전략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증차의 영향을 신중하게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9]5. 운영 방식 및 특징
홍콩의 미니버스는 면허 종류에 따라 녹색 미니버스(Green Minibus, GMB)와 빨간색 미니버스(Red Minibus, RMB)로 나뉜다.[1] GMB는 요금이 정액이고 정해진 노선만 운행해야 하는 반면, RMB는 이러한 제한이 없다. 두 미니버스는 차량 외부 지붕 색깔(녹색 또는 빨간색)로 구분되지만, 과거에는 차량 중간 줄무늬 색으로 구별했다. 외관상으로는 지붕 색을 제외하면 크림색 차체를 사용하는 등 거의 동일하다.
대부분의 미니버스는 토요타 코스터 차종이지만, 최근 홍콩 정부의 버스 품질 개선 계획에 따라 친환경적인 이베코 데일리 그린 미니버스도 도입되었다. 연료는 주로 오토가스(액화 석유 가스)를 사용하는데, 이는 연료비가 저렴하고 미세먼지 배출이 적기 때문이다. 홍콩 교통 위원회는 배출가스를 더 줄이기 위해 운전기사들이 더 효율적인 전기 자동차로 전환하도록 장려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2]
2014년 기준으로 홍콩에는 총 4,350대의 공공 미니버스가 운행 중이며, 이 중 3,150대는 GMB, 1,200대는 RMB였다. 두 유형의 미니버스 운영은 여객 서비스 면허(PSL)에 따라 교통부 장관이 정한 조건에 의해 규제된다.[3]
미니버스 운전사들은 회사 소속이 아닌 개인 사업자 형태로 수입을 얻는 경우가 많아, 더 많은 운행 횟수를 통해 수입을 늘리려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과속 운전이 매우 흔하며, 이는 "죽음의 미니버스"(亡命小巴중국어)라는 비판적인 별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커지자, 2012년부터 모든 공공 미니버스에는 시속 80km 이상 주행 시 경보음이 울리는 장치와, 승객이 현재 속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운전석 옆 천장에 대형 디지털 속도계를 의무적으로 설치하게 되었다.[4]
승객은 택시처럼 길가에서 손을 흔들어 미니버스를 세워 탈 수 있다. 미니버스는 교통 법규상 허용되는 노선상의 어느 지점에서나 정차할 수 있지만, 특정 버스 정류장이 지정된 경우도 있다. 하차 시에는 보통 내리고 싶은 지점을 운전기사에게 외치면, 운전기사가 손을 들어 알았다는 표시를 한다. 이 방식은 현지 지리에 익숙하고 광둥어를 구사해야 하므로 관광객에게는 다소 어려울 수 있다. 승객들은 랜드마크, 교차로 이름, 특정 구역(예: 통행 금지 구역 직전 또는 직후) 등을 외쳐 하차 지점을 알린다. GMB 중 일부는 고정된 정류장이 있거나, 대형 버스처럼 하차 벨이 설치되어 있어 벨을 눌러 다음 정류장에서 내릴 의사를 표시할 수도 있다. 하지만 여전히 운전기사에게 직접 외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된다.
빨간색 미니버스(RMB)[1]는 합승 택시와 유사한 형태로 운영된다. 정해진 노선 없이 비정기적으로 운행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특정 노선이 사실상 고정되기도 한다. RMB는 특별히 금지된 구역이 아니라면 어디든 운행할 수 있으며, 노선이나 요금에 대한 정부의 통제를 받지 않는다. 이는 시장 수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일부 RMB 노선은 타이포-몽콕, 추엔완-쿤통, 쿤통-몽콕, 위엔롱-조던 로드 구간처럼 24시간 운행되기도 한다. 위엔롱-코즈웨이 베이 노선처럼 심야 시간에만 운행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대형 버스나 지하철 운행이 중단된 시간대의 교통 수요를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RMB에서는 하차 직전에 요금을 지불한다. 현금으로 낼 경우 잔돈을 받을 수 있지만, 운전기사가 편의상 소액을 거슬러주지 않을 수도 있다. 일부 RMB 차량에만 옥토퍼스 카드 결제 단말기가 설치되어 있다. 요금과 운행 시간표는 정부 규제를 받지 않으므로, RMB가 GMB보다 요금이 비쌀 때도 있다.
RMB의 행선지 표지판에는 과거 코즈웨이 베이에 있었던 다이마루(大丸중국어) 백화점처럼 지금은 사라진 오래된 랜드마크 이름이 그대로 쓰여 있는 경우도 있다. 표기된 노선 번호는 1973년 이전에 신계 지역에서 사용되던 번호 체계의 흔적으로, 당시 대형 버스 회사들이 사용했던 번호와 동일하다.
6. 문화적 영향
영화 ''실화''에서 장백지는 빨간색 미니버스 운전사 역할을 맡아 제23회 홍콩 영화상에서 최우수 여우상을 수상했다.
참조
[1]
웹사이트
Minibuses
https://www.td.gov.h[...]
2023-07-10
[2]
웹사이트
EPD - Problems & Solutions
https://www.epd.gov.[...]
2021-11-12
[3]
웹사이트
Transport Department – Minibuses
http://www.td.gov.hk[...]
[4]
웹사이트
Transport Department - Relevant Regulations of Public Light Bus
https://www.td.gov.h[...]
2021-11-12
[5]
뉴스
''Riots in 1967 sparked service by van owners''
http://www.scmp.com/[...]
2008-10-17
[6]
서적
搭紅VAN : 從水牌說起 : 小巴的流金歲月
非凡出版
[7]
방송
'Since 1967: That Was Then (由1967開始) 1968-1969'
[8]
웹사이트
舊式新界的士 - 香港文匯報
http://paper.wenweip[...]
2015-04-10
[9]
웹사이트
TAC welcomes Government's plan to commence Public Transport Strategy Study
http://www.info.go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