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홍콩 세븐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콩 세븐스는 1976년 시작된 럭비 유니온 세븐스 토너먼트이다. 아시아 및 태평양 지역 클럽 팀에서 시작하여 국가 대표팀이 참가하는 대회로 발전했다. 홍콩 세븐스는 럭비 유니온의 현대화에 기여했으며, 1997년과 2005년에는 럭비 월드컵 세븐스를 개최했다. 대회는 24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를 거쳐 토너먼트로 진행되며, 우승팀에게는 10만 달러의 상금이 주어진다. 또한, 2013년부터는 월드 시리즈 예선을 통해 다음 시즌 월드 시리즈 핵심 팀을 결정한다. 홍콩 세븐스는 축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며, 럭비 커뮤니티 전체가 참여하는 행사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7인제 럭비 - 7인제 럭비 월드컵
    7인제 럭비 월드컵은 국제 럭비 연맹 주관으로 여러 국가에서 순환 개최되는 럭비 유니온의 7인제 변형 경기 국제 대회이며, 럭비의 올림픽 종목 채택과 럭비 세븐스 인기에 기여했다.
  • 1976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동계 패럴림픽
    동계 패럴림픽은 제2차 세계 대전 부상 군인 재활을 위해 시작되어 장애인 동계 스포츠 대회로 발전했으며, 1976년 첫 대회가 개최된 이후 하계 올림픽과 연계되어 진행되고, 다양한 종목과 장애 유형별 등급으로 경기가 진행되며, 노르웨이가 역대 메달 순위 1위를 기록했다.
  • 1976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유럽 태권도 선수권 대회
    유럽 태권도 선수권 대회는 유럽 태권도 연맹이 주관하는 유럽 최대 규모의 태권도 선수권 대회로, 1976년 첫 개최 이후 격년으로 유럽 각국을 순회하며 올림픽 랭킹 포인트가 걸린 겨루기 및 품새 종목의 주요 대회이며 U21 선수권 대회도 별도로 개최된다.
  • 홍콩 - 홍콩 국제공항
    홍콩 국제공항은 란타우섬에 위치한 세계적인 허브 공항으로, 카이탁 공항을 대체하여 개항한 이래 지속적인 시설 확장을 통해 수천만 명의 여객과 수백만 톤의 화물을 처리하며 홍콩 공항공사가 운영하고 홍콩 공항철도 등으로 시내와 연결된다.
  • 홍콩 - 영국령 홍콩
    영국령 홍콩은 1841년부터 1997년까지 영국의 지배를 받았던 홍콩으로, 아편 전쟁을 거치며 홍콩섬과 주룽반도가 할양되고 신제 지역이 조차되어 영토가 확장되었으며, 일본 점령기를 제외하고 무역항이자 금융 중심지로 발전하다가 1997년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되어 특별행정구가 되었다.
홍콩 세븐스
기본 정보
대회 명칭홍콩 세븐스
중국어 (번체)香港國際七人欖球賽
중국어 (간체)香港国际七人榄球赛
광둥어hoeng1 gong2 gwok3 zai3 cat1 jan4 laam5*2 kau4 coi3
표준 중국어Xiānggǎng Guójì Qī Rén Lǎnqiúsài
스포츠럭비 세븐스
창립1976년
참가 팀 수30개 (2024년 이후)
개최 장소카이탁 스포츠 파크, 구룡,
참가 국가 수16개국
마지막 시즌2024 홍콩 세븐스
최다 우승팀(19회 우승)
최근 우승팀(13회 우승)
웹사이트홍콩 세븐스 공식 웹사이트
기타
취소 및 연기2020년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연기, 2021년 재차 취소, 2022년 4월 복귀

2. 역사

홍콩 세븐스는 1976년 로드니 벤담-우드와 로스만 동남아시아 지사장의 아이디어로 시작되었다.[5] 초기에는 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의 클럽 팀들이 주로 참가했으나, 점차 국가 대표팀들이 참가하는 대회로 성장했다. 1982년에는 더 많은 관중을 수용하기 위해 홍콩 스타디움으로 경기장을 옮겼다.

홍콩 세븐스는 럭비 유니온의 현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76년 캐세이퍼시픽이 대회를 후원하면서 주요 스폰서십을 유치한 최초의 럭비 유니온 토너먼트 중 하나가 되었으며,[6] 1987년 첫 럭비 월드컵 이전에는 국제적인 경쟁의 장을 제공했다.[7] 1986년에는 홍콩 세븐스가 다른 국가들에게 긍정적인 본보기로 여겨질 정도였다. 빌 맥클라렌은 그의 자서전에서 홍콩 세븐스를 "럭비 유니온의 올림픽 경기"라고 묘사하며, 훌륭한 조직, 스포츠맨십, 국제적인 교류, 그리고 신흥 럭비 국가들이 강호들과 경쟁할 기회를 제공하는 대회라고 평가했다.[8]

1994년에는 경기장이 4만 석 규모로 재건축되어 현재의 홍콩 스타디움이 되었다. 1990년대 중반에는 에릭 러시와 조나 로무를 앞세운 뉴질랜드가 3년 연속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1997년과 2005년에는 홍콩 세븐스 대신 럭비 월드컵 세븐스가 홍콩에서 개최되었으며, 두 번 모두 피지가 우승했다.

1998년 홍콩 반환 이후에도 대회는 계속해서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당시 파산한 스폰서 문제에도 불구하고, "금요일 밤은 파티 밤"이라는 슬로건을 내건 마케팅 전략과 크레딧 스위스 퍼스트 보스톤의 긴급 스폰서십 유치를 통해 위기를 극복했다.[10]

3. 대회 방식

홍콩 세븐스는 세계 럭비 세븐스 시리즈의 일환으로 개최되는 럭비 세븐스 대회이다. 전통적으로 24개 팀이 참가하여 4개 팀씩 6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진행한다. 각 조 상위 2개 팀과 전체 3위 팀 중 상위 2개 팀이 컵/플레이트 8강에 진출한다. 컵 8강전에서 패한 팀은 플레이트 준결승으로 진출하며, 이전에는 홍콩에서 수여되지 않았던 4단계 쉴드 트로피가 2010년 대회부터 도입되었다.

각 조에서는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2점, 패배 시 1점이 부여된다. 1차 동률 해결 방식은 동률 팀 간의 상대 전적이며, 그 다음은 토너먼트 기간 동안 득점 차이이다.[12]

3. 1. 월드 시리즈 예선

월드럭비가 2012-13 시즌부터 핵심 팀(모든 시리즈 대회에 출전이 보장된 팀)에 대한 공식적인 승강제를 도입하기로 결정하면서, 2013년 대회에 중대한 변화가 있었다.[11]

2013년 대회부터는 대회 참가 팀 수가 24개에서 28개로 증가했지만, 시리즈 포인트를 놓고 경쟁하는 팀은 16개 팀뿐이었다. 15개의 핵심 팀에 HSBC 아시아 세븐스 시리즈 최근 우승팀이 본선에 합류했다. 나머지 12개 팀은 IRB의 6개 지역 구역 각각에서 2개 팀씩 예선을 거쳐 선발되어 월드 시리즈 예선에 참가했다. 본선과 마찬가지로 예선에서는 참가 팀들을 4개 팀씩 조별로 나누었다. 각 조의 상위 2개 팀과 상위 2개 3위 팀이 8강전에 진출하여, 4경기의 승자와 아시아 세븐스 시리즈 우승팀이 런던 세븐스에서 열리는 월드 시리즈 핵심 팀 예선에 진출했다.[11]

2013-14 시즌 IRB 세븐스 월드 시리즈를 앞두고 예선은 핵심 팀 예선에 통합되었고, 12개 팀이 그 시즌 홍콩 세븐스의 승격 자리를 놓고 경쟁한다.[11]

4. 대한민국 럭비 국가대표팀의 홍콩 세븐스

대한민국 럭비 국가대표팀은 홍콩 세븐스에 참가하여 국제 럭비 경험을 쌓고 경기력을 향상시켰다. 특히, 1982년과 1983년 대회에서 플레이트 2회 우승은 한국 럭비의 국제 경쟁력을 입증하는 계기가 되었다.[13] 이후 1991년 (보울 우승), 1994년, 1998년 플레이트 우승을 차지하며 아시아 럭비 강국으로 자리매김했다.

4. 1. 대한민국 대표팀의 역대 성적

대한민국 대표팀의 역대 성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성적
1982년플레이트 우승
1983년플레이트 우승
1991년보울 우승
1994년플레이트 우승
1998년플레이트 우승


4. 2. 한국 럭비에 미친 영향

대한민국은 홍콩 세븐스에 참가하여 국제 럭비 경험을 쌓고 경기력을 향상시켰다. 특히, 1980년대 초반 1982년과 1983년 대회에서 플레이트 2회 우승은 한국 럭비의 국제 경쟁력을 입증하는 계기가 되었다.[13] 이후 1991년, 1994년, 1998년에도 플레이트 우승을 차지하며 아시아 럭비 강국으로 자리매김했다. 홍콩 세븐스는 한국 럭비가 아시아를 넘어 세계 무대로 나아가는 중요한 발판 역할을 했다.

연도우승
1982년플레이트
1983년플레이트
1991년플레이트
1994년플레이트
1998년플레이트


5. 분위기

홍콩 세븐스는 단순한 럭비 경기를 넘어선 축제 분위기로 유명하다. 특히 남쪽 스탠드는 화려한 의상을 입은 팬들의 열정적인 응원으로 유명하다. 2009년 남쪽 스탠드에서는 이러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2009년 홍콩 세븐스 남쪽 스탠드에서 바라본 경기장


빌 맥클라렌(Bill McLaren)은 그의 자서전 "Talking of Rugby"에서 홍콩 세븐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자세히 언급했다.[8]

:"남태평양 섬 출신의 한 거구의 선수가 홍콩 세븐스는 럭비 유니온의 올림픽 경기라고 말하는 것을 기억합니다. 확실히 홍콩 대회는 럭비가 제공하는 모든 좋은 점들을 보여줍니다. 훌륭한 조직, 멋진 스포츠맨십, 보편적인 동지애, 훌륭한 경기장 매너, 가장 즐거운 관중 참여, 신흥 럭비 국가들이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피지, 웨일스, 스코틀랜드, 바바리안스와 같은 강호들과 맞붙을 기회 말입니다. 또한, 럭비가 본래 추구해야 할 멋진 달리기와 핸들링 기술도 있습니다."

6. 역대 결과

201522–19
201624–14
201712–7
201819–14
201928–7



'''남자'''

연도개최지플레이트실드
우승점수준우승우승우승우승
1976홍콩 풋볼 클럽 경기장Canterburians|캔터브리안스영어24-8Wallaroos|왈라루스영어
1977홍콩 풋볼 클럽 경기장28-18Marlborough|말보로우영어
1978홍콩 풋볼 클럽 경기장14-10Manawatu|마나와투영어
1979홍콩 풋볼 클럽 경기장39-3
1980홍콩 풋볼 클럽 경기장12-8Co-optimists|코옵티미스트즈영어
1981홍콩 풋볼 클럽 경기장바바리안 FC12-10
1982홍콩 스타디움18-14Scottish Border Club|스코티시 보더 클럽영어
1983홍콩 스타디움14-4
1984홍콩 스타디움26-0
1985홍콩 스타디움24-10퍼블릭 스쿨 원더러스
1986홍콩 스타디움32-12French Barbarians|프렌치 바바리안스영어
1987홍콩 스타디움12-6French Barbarians|프렌치 바바리안스영어
1988홍콩 스타디움13-12ROC|중화 타이베이중국어
1989홍콩 스타디움22-10
1990홍콩 스타디움22-10FRG|서독de
1991홍콩 스타디움18-14
1992홍콩 스타디움22-6
1993홍콩 스타디움14-12
1994홍콩 스타디움32-20
1995홍콩 스타디움35-17
1996홍콩 스타디움19-17
1997홍콩 스타디움24-21
1998홍콩 스타디움28-19MAR|모로코영어
1999홍콩 스타디움21-12
2000홍콩 스타디움31-5IRE|아일랜드|럭비영어
2001홍콩 스타디움29-5
2002홍콩 스타디움33-20MAR|모로코영어
2003홍콩 스타디움22-17
2004홍콩 스타디움22-12COK|쿡 제도영어
2005홍콩 스타디움29-19ITA|이탈리아it
2006홍콩 스타디움26-24CHN|중국중국어
2007홍콩 스타디움27-22
2008홍콩 스타디움26-12
2009홍콩 스타디움26-24
2010홍콩 스타디움24-21
2011홍콩 스타디움29-17
2012홍콩 스타디움35-28
2013홍콩 스타디움26-19
2014홍콩 스타디움26-7
2015홍콩 스타디움33-19
2016홍콩 스타디움21-7
2017홍콩 스타디움22-0
2018홍콩 스타디움24-12
2019홍콩 스타디움21-7
COVID-19 범유행의 영향으로 2020년[23]과 2021년[24]에는 남자팀의 홍콩 월드 시리즈 토너먼트가 취소되었다.
2022홍콩 스타디움20-17
2023홍콩 스타디움24-19
2024홍콩 스타디움10-7



'''여자'''

경기장플레이트
우승결승 스코어준우승우승결승 스코어준우승우승준우승
1997홍콩 스타디움
뉴질랜드 와일드 덕스
43–0????
1999홍콩 스타디움
뉴질랜드 와일드 덕스
29–0??N/AN/A
2000홍콩 스타디움36–10???
2001홍콩 스타디움22–10???
2002홍콩 스타디움
아오테아로아 마오리
14–7아라비아 걸프???
2003홍콩 스타디움27–0????
2004홍콩 스타디움10–0????
2005홍콩 스타디움19–12????
2006홍콩 스타디움19–12????
2007홍콩 스타디움10–0????
2008홍콩 스타디움21–7????
2009홍콩 스타디움24–7???
2010홍콩 스타디움28–0???
2011홍콩 스타디움28–14???
2012홍콩 스타디움15–10???
2013홍콩 스타디움29–0????
2014홍콩 스타디움24–0????
2015홍콩 스타디움19–12???
2016홍콩 스타디움RSA|남아프리카 공화국 VII영어14–7FRA|프랑스 VII영어???
COVID-19 범유행의 영향으로 2020년[23]과 2021년에는 여자팀의 홍콩 월드 시리즈 토너먼트가 취소되었습니다.
2017소 콘 포 레크리에이션 그라운드22–10????
2018소 콘 포 레크리에이션 그라운드31–14????
2019소 콘 포 레크리에이션 그라운드28–19????
2023홍콩 스타디움26–17????
2024홍콩 스타디움36–7????



'''국가별 역대 성적'''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90%; width: 100%; text-align: center;"

|-

! rowspan=2 | 국가

! colspan=4 | 컵

! rowspan=2 | 플레이트
1위

! rowspan=2 | 볼
1위

! rowspan=2 | 실드
1위

|-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 피지

| 19 || 10 || 2 || 0 || 0 || 0 || 0

|-

| 뉴질랜드

| 12 || 11 || 1 || 1 || 0 || 0 || 0

|-

| 오스트레일리아

| 5 || 3 || 3 || 0 || 1 || 0 || 0

|-

| 잉글랜드

| 4 || 2 || 2 || 0 || 0 || 0 || 0

|-

| 사모아

| 2 || 2 || 2 || 0 || 0 || 0 || 0

|-

| 프랑스

| 0 || 2 || 3 || 1 || 2 || 0 || 0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0 || 3 || 3 || 0 || 0 || 0 || 0

|-

| 아르헨티나

| 0 || 0 || 6 || 1 || 2 || 0 || 0

|-

| 웨일스

| 0 || 1 || 2 || 0 || 0 || 0 || 1

|-

| 케냐

| 0 || 1 || 0 || 0 || 1 || 3 || 0

|-

| 통가

| 0 || 0 || 0 || 0 || 5 || 0 || 0

|-

| 스코틀랜드

| 0 || 0 || 0 || 0 || 4 || 0 || 0

|-

| 홍콩

| 0 || 0 || 0 || 0 || 3 || 4 || 3

|-

| 캐나다

| 0 || 0 || 0 || 0 || 3 || 1 || 0

|-

| 미국

| 0 || 0 || 0 || 0 || 3 || 1 || 0

|-

| 대한민국

| 0 || 0 || 0 || 0 || 3 || 0 || 0

|-

| 일본

| 0 || 0 || 0 || 0 || 1 || 0 || 1

|-

| 러시아

| 0 || 0 || 0 || 0 || 0 || 2 || 1

|-

| 프렌치 바바리안스

| 0 || 0 || 0 || 0 || 1 || 0 || 0

|-

| 파푸아뉴기니

| 0 || 0 || 0 || 0 || 1 || 0 || 0

|-

| 포르투갈

| 0 || 0 || 0 || 0 || 1 || 0 || 0

6. 1. 남자



홍콩 세븐스는 세계 럭비 세븐스 시리즈의 일환으로 개최되는 럭비 세븐스 대회로, 이 스포츠에서 가장 권위 있는 연례 대회 중 하나이다. 역사적으로 24개 팀이 참가하여 다른 월드 시리즈 토너먼트(2012-13 시즌까지 16개 팀 참가)와 차별화되었다. 팀들은 4개 팀씩 6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렀다.

토너먼트 우승팀은 월드 시리즈 순위에서 일반적인 22점 대신 30점을 획득하고, 준우승팀은 19점 대신 25점을 획득했다. 2008-09 월드 시리즈까지 홍콩 세븐스는 준우승팀에게 24점을 수여했고, 16개 팀 대회는 우승팀에게 20점, 준우승팀에게 16점만 제공했다.

2010년 대회에서는 이전에는 홍콩에서 수여되지 않았던 4단계 쉴드 트로피가 도입되는 등 토너먼트 방식에 몇 가지 중요한 변화가 있었다. 컵과 플레이트는 이제 다른 대회와 같은 방식으로 경쟁하며, 컵 8강전에서 패한 팀들이 플레이트 준결승전으로 진출한다.

역대 대회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기장플레이트쉴드
우승결승 스코어준우승1위1위1위
1976홍콩 풋볼 클럽 경기장Canterburians|캔터브리안스영어24-8Wallaroos|왈라루스영어19-16
1977홍콩 풋볼 클럽 경기장28-18Marlborough|말보로우영어20-4
1978홍콩 풋볼 클럽 경기장14-10Manawatu|마나와투영어10-0
1979홍콩 풋볼 클럽 경기장39-313-10
1980홍콩 풋볼 클럽 경기장12-8Co-optimists|코옵티미스트즈영어44-0
1981홍콩 풋볼 클럽 경기장바바리안 FC12-1022-18
1982홍콩 스타디움18-14Scottish Border Club|스코티시 보더 클럽영어32-6
1983홍콩 스타디움14-430-6
1984홍콩 스타디움26-0
1985홍콩 스타디움24-10퍼블릭 스쿨 원더러스
1986홍콩 스타디움32-12French Barbarians|프렌치 바바리안스영어
1987홍콩 스타디움12-6French Barbarians|프렌치 바바리안스영어
1988홍콩 스타디움13-12ROC|중화 타이베이중국어
1989홍콩 스타디움22-10
1990홍콩 스타디움22-10FRG|서독de
1991홍콩 스타디움18-14
1992홍콩 스타디움22-6
1993홍콩 스타디움14-12
1994홍콩 스타디움32-20
1995홍콩 스타디움35-17
1996홍콩 스타디움19-17
1997홍콩 스타디움24-21
1998홍콩 스타디움28-19MAR|모로코영어
1999홍콩 스타디움21-12
2000홍콩 스타디움31-5IRE|아일랜드|럭비영어
2001홍콩 스타디움29-5
2002홍콩 스타디움33-20MAR|모로코영어
2003홍콩 스타디움22-17
2004홍콩 스타디움22-12COK|쿡 제도영어
2005홍콩 스타디움29-19ITA|이탈리아it
2006홍콩 스타디움26-24CHN|중국중국어
2007홍콩 스타디움27-22
2008홍콩 스타디움26-12
2009홍콩 스타디움26-24
2010홍콩 스타디움24-21
2011홍콩 스타디움29-17
2012홍콩 스타디움35-28
2013홍콩 스타디움26-19
2014홍콩 스타디움26-7
2015홍콩 스타디움33-19
2016홍콩 스타디움21-7
2017홍콩 스타디움22-0
2018홍콩 스타디움24-12
2019홍콩 스타디움21-7
COVID-19 범유행의 영향으로 2020년[23]과 2021년[24]에는 남자팀의 홍콩 월드 시리즈 토너먼트가 취소되었습니다.
2022홍콩 스타디움20-17
2023홍콩 스타디움24-19
2024홍콩 스타디움10-7


6. 1. 1. 1976 ~ 1983년

연도개최지컵 우승팀점수컵 준우승팀플레이트 우승팀점수플레이트 준우승팀
1976홍콩 풋볼 클럽 경기장Canterburians|캔터브리안스영어24-8Wallaroos|왈루스영어19-16
1977홍콩 풋볼 클럽 경기장28-18Marlborough|말보로우영어20-4
1978홍콩 풋볼 클럽 경기장14-10Manawatu|마나와투영어10-0
1979홍콩 풋볼 클럽 경기장39-313-10
1980홍콩 풋볼 클럽 경기장12-8Co-optimists|코옵티미스트즈영어44-0
1981홍콩 풋볼 클럽 경기장바바리안 FC12-1022-18
1982홍콩 대구장18-14Scottish Border Club|스코티시 보더 클럽영어32-6
1983홍콩 대구장14-430-6


6. 1. 2. 1984 ~ 2009년

연도개최지컵 우승팀점수컵 준우승팀플레이트 우승팀보울 우승팀
1984홍콩 대구장FIJ|피지영어26-0NZL|뉴질랜드영어AUS|오스트레일리아영어SRI|스리랑카영어
1985홍콩 대구장AUS|오스트레일리아영어24-10GBR|영국영어 퍼블릭 스쿨 원더러스TON|통가영어HKG|1959|홍콩한국어
1986홍콩 대구장NZL|뉴질랜드영어32-12FRA|프랑스영어 프렌치 바바리안스USA|미국영어PNG|파푸아뉴기니영어
1987홍콩 대구장NZL|뉴질랜드영어12-6FIJ|피지영어FRA|프랑스영어 프렌치 바바리안스HKG|1959|홍콩한국어
1988홍콩 대구장AUS|오스트레일리아영어13-12NZL|뉴질랜드영어USA|미국영어ROC|중화 타이베이중국어
1989홍콩 대구장NZL|뉴질랜드영어22-10AUS|오스트레일리아영어TON|통가영어NED|네덜란드영어
1990홍콩 대구장FIJ|피지영어22-10NZL|뉴질랜드영어HKG|1959|홍콩한국어FRG|서독de
1991홍콩 대구장FIJ|피지영어18-14NZL|뉴질랜드영어ARG|아르헨티나영어KOR|1949|대한민국한국어
1992홍콩 대구장FIJ|피지영어22-6NZL|뉴질랜드영어HKG|1959|홍콩한국어ROM|루마니아ro
1993홍콩 대구장SAM|서사모아영어14-12FIJ|피지영어TON|통가영어ROM|루마니아ro
1994홍콩 대구장NZL|뉴질랜드영어32-20AUS|오스트레일리아영어KOR|1949|대한민국한국어HKG|1959|홍콩한국어
1995홍콩 대구장NZL|뉴질랜드영어35-17FIJ|피지영어CAN|캐나다영어HKG|1959|홍콩한국어
1996홍콩 대구장NZL|뉴질랜드영어19-17FIJ|피지영어FRA|프랑스영어JPN|1870|일본일본어
1997홍콩 대구장FIJ|피지영어24-21ZAF|남아프리카 공화국영어TON|통가영어USA|미국영어
1998홍콩 대구장FIJ|피지영어28-19SAM|서사모아영어KOR|대한민국한국어MAR|모로코영어
1999홍콩 대구장FIJ|피지영어21-12NZL|뉴질랜드영어JPN|일본일본어HKG|홍콩한국어
2000홍콩 대구장NZL|뉴질랜드영어31-5FIJ|피지영어FRA|프랑스영어IRE|아일랜드|럭비영어
2001홍콩 대구장NZL|뉴질랜드영어29-5FIJ|피지영어USA|미국영어HKG|홍콩한국어
2002홍콩 대구장ENG|잉글랜드영어33-20FIJ|피지영어ZAF|남아프리카 공화국영어MAR|모로코영어
2003홍콩 대구장ENG|잉글랜드영어22-17NZL|뉴질랜드영어CAN|캐나다영어USA|미국영어
2004홍콩 대구장ENG|잉글랜드영어22-12ARG|아르헨티나영어SCO|스코틀랜드영어COK|쿡 제도영어
2005홍콩 대구장FIJ|피지영어29-19NZL|뉴질랜드영어POR|포르투갈영어ITA|이탈리아it
2006홍콩 대구장ENG|잉글랜드영어26-24FIJ|피지영어WAL|웨일스영어CHN|중국중국어
2007홍콩 대구장SAM|서사모아영어27-22FIJ|피지영어WAL|웨일스영어RUS|러시아ru
2008홍콩 대구장NZL|뉴질랜드영어26-12ZAF|남아프리카 공화국영어FRA|프랑스영어RUS|러시아ru
2009홍콩 대구장FIJ|피지영어26-24ZAF|남아프리카 공화국영어TON|통가영어POR|포르투갈영어


6. 1. 3. 2010년 ~ 현재

연도개최지플레이트보울실드
우승점수준우승우승우승우승
2010홍콩 대구장24-21
2011홍콩 대구장29-17
2012홍콩 대구장35-28
2013홍콩 대구장26-19
2014홍콩 대구장26-7
2015홍콩 대구장33-19
2016홍콩 대구장21-7
2017홍콩 대구장22-0
2018홍콩 대구장24-12
2019홍콩 대구장21-7
COVID-19 범유행의 영향으로 2020년[23]과 2021년[24]에는 남자팀의 홍콩 월드 시리즈 토너먼트가 취소되었습니다.
2022홍콩 대구장20-17
2023홍콩 대구장24-19
2024홍콩 대구장10-7


6. 2. 여자

경기장플레이트
우승결승 스코어준우승우승결승 스코어준우승우승준우승
1997홍콩 스타디움24-21?
1998홍콩 스타디움28-19?
1999홍콩 스타디움21-12?
2000홍콩 스타디움31-5?
2001홍콩 스타디움29-5?
2002홍콩 스타디움33-20?
2003홍콩 스타디움22-17?
2004홍콩 스타디움22-12?
2005홍콩 스타디움29-19?
2006홍콩 스타디움26-24?
2007홍콩 스타디움27-22?
2008홍콩 스타디움26-12?
2009홍콩 스타디움26-24?
2010홍콩 스타디움24-21?
2011홍콩 스타디움29-17?
2012홍콩 스타디움35-28?
2013홍콩 스타디움26-19?
2014홍콩 스타디움26-7?
2015홍콩 스타디움33-19?
2016홍콩 스타디움21-7?
2017홍콩 스타디움22-0?
2018홍콩 스타디움24-12?
2019홍콩 스타디움21-7?
COVID-19 범유행의 영향으로 2020년[23]과 2021년[24]에는 남자팀의 홍콩 월드 시리즈 토너먼트가 취소되었습니다.
2022홍콩 스타디움20–17?
2023홍콩 스타디움24-19?
2024홍콩 스타디움10–7?



년도개최지컵 결승전순위
 style="border-left:0px;" |우승스코어준우승플레이트
1997홍콩 스타디움뉴질랜드 와일드 덕스43–0
1999홍콩 스타디움뉴질랜드 와일드 덕스29–0N/A
2000홍콩 스타디움36–10
2001홍콩 스타디움22–10
2002홍콩 스타디움아오테아로아 마오리14–7아라비아 걸프
2003홍콩 스타디움27–0
2004홍콩 스타디움10–0
2005홍콩 스타디움19–12
2006홍콩 스타디움19–12
2007홍콩 스타디움10–0
2008홍콩 스타디움21–7
2009홍콩 스타디움24–7
2010홍콩 스타디움28–0
2011홍콩 스타디움28–14
2012홍콩 스타디움15–10
2013홍콩 스타디움29–0
2014홍콩 스타디움24–0
2015홍콩 스타디움19–12
2016홍콩 스타디움14–7
style="padding-right:0; border-right:0;"|세계 시리즈 예선우승스코어준우승준결승진출팀
2017소 콘 포 레크리에이션 그라운드22–10
2018소 콘 포 레크리에이션 그라운드31–14
2019소 콘 포 레크리에이션 그라운드28–19
COVID-19 팬데믹의 영향으로 2020년[23]과 2021년 홍콩 여자 럭비 세븐스 세계 시리즈 토너먼트가 취소되었습니다.
style="padding-right:0; border-right:0;" |세계 세븐스 시리즈우승스코어준우승준결승진출팀
2023홍콩 스타디움26–17
2024홍콩 스타디움36–7


6. 3. 국가별 역대 성적

국가플레이트
1위

1위
실드
1위
우승준우승3위4위
피지191020000
뉴질랜드121111000
오스트레일리아5330100
잉글랜드4220000
사모아2220000
프랑스0231200
남아프리카 공화국0330000
아르헨티나0061200
웨일스0120001
케냐0100130
통가0000500
스코틀랜드0000400
홍콩0000343
캐나다0000310
미국0000310
대한민국0000300
일본0000101
러시아0000021
프렌치 바바리안스0000100
파푸아뉴기니0000100
포르투갈0000100
아일랜드0000010
루마니아0000010
모로코0000010
바바리안스1000000
캔터베리언스1000000
왈라루스0100000
말보로0100000
마나와투0100000
코-옵티미스트0100000
스코티시 보더 클럽0100000
퍼블릭 스쿨 원더러스0100000
우루과이0000001
스페인0000001
중국0000001
쿡 제도0000001
서독0000001
네덜란드0000001
중화 타이베이0000001
스리랑카0000001
인도네시아0000001
바레인0000001
싱가포르0000001
하와이0000001
이탈리아0000001

[23][24]

6. 4. 예선 결과

201522–19
201624–14
201712–7
201819–14
201928–7


7. 최우수 선수

1980년부터 홍콩 세븐스에서 매년 "럭비 세븐스에 필요한 정신과 기술을 가장 잘 보여준 선수"에게 '레슬리 윌리엄스 최우수 선수상'이 수여된다.[19] 이 상은 1955년부터 1971년까지 홍콩에서 거주하며 홍콩 풋볼 클럽과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했던 레슬리 윌리엄스를 기리기 위해 제정되었다. 1997년과 2005년 럭비 월드컵 세븐스 대회에서는 다른 개별 시상이 있어 제외되었지만, 1980년 이후 매년 시상되었다.[19] 와이살레 세레비는 이 트로피를 세 차례 수상한 유일한 선수이다.

7. 1. 유망주

홍콩 세븐스는 15인제 럭비에서 스타가 된 젊은 선수들을 육성하는 대회로 알려져 있다.[20]

뉴질랜드에서는 조나 로무[21], 크리스티안 컬렌, 진잔 브룩, 존 슈스터, 로드니 소오이알로, 조 로코코코, 밀스 멀라이나, 리코 기어가 홍콩 세븐스를 통해 처음으로 세븐스 국제 경기에 참가했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전 주장 조지 그레건과 조 로프, 벤 튜니가 홍콩 세븐스에서 처음으로 그들의 능력을 선보였다. 웨일스에서는 제이미 로버츠와 제임스 후크가 홍콩 세븐스에서 활약한 후 15인제 국가대표팀에 진출했다.[22]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장 드 빌리어스, 브라이언 하바나, 리키 야누아리, 브렌트 러셀, 카밤바 플로어스가 이 대회에서 다양한 기술을 선보였다.

참조

[1] 웹사이트 Coronavirus forces Hong Kong Sevens to be postponed, with October date the target https://www.scmp.com[...] 2020-02-12
[2] 웹사이트 New Zealand crowned men's and women's Sevens champions after season cancelled https://www.independ[...] 2021-12-16
[3] 웹사이트 Hong Kong Sevens cancelled again, to return in April 2022 https://www.scmp.com[...] 2022-11-06
[4] 웹사이트 Exclusive: Hong Kong Sevens is back, officials at 'highest levels' give go ahead https://www.scmp.com[...] 2022-11-06
[5] 웹사이트 Tokkie Smith and the Colour of Rugby https://tokkiesmith.[...] 2023-03-28
[6] 서적 Starmer-Smith
[7] 서적 Starmer-Smith
[8] 서적 Talking of Rugby Stanley Paul 1991
[9] 서적 Starmer-Smith
[10] 뉴스 Bank reluctantly takes its final bow as a major Sevens sponsor South China Morning Post 2011-03-28
[11] 웹사이트 Cathay Pacific/Credit Suisse Hong Kong Sevens 2011, General Info Fact Sheet Information http://www.hksevens.[...]
[12] 웹사이트 Rules: 16-Team Tournament http://www.irbsevens[...] International Rugby Board 2009-07-14
[13] 웹사이트 Rules http://www.irbsevens[...] International Rugby Board 2010-12-04
[14] 웹사이트 Hong Kong Sevens http://ur7s.com/tour[...]
[15] 웹사이트 Canada win Hong Kong women's title http://www.hksevens.[...] 2011-03-25
[16] 뉴스 The buzz South China Morning Post 2011-03-24
[17] 웹사이트 New Zealand awarded titles as HSBC World Rugby Sevens Series 2020 concluded https://www.world.ru[...] 2020-06-30
[18] 뉴스 World Rugby Sevens Series legs in Hong Kong and Paris cancelled Inside the Games 2021-08-05
[19] 간행물 Hong Kong Sevens 2010 event brochure
[20] 웹사이트 History of Hong Kong Sevens http://www.hksevens.[...]
[21] 웹사이트 Lomu: A giant on any stage http://www.rwcsevens[...] 2006-07-22
[22] 웹사이트 Welsh Rugby Union: Wales Squad for Hong Kong Sevens 2006 http://www.wru.co.uk[...]
[23] 웹사이트 New Zealand awarded titles as HSBC World Rugby Sevens Series 2020 concluded https://www.world.ru[...] 2020-06-30
[24] 뉴스 World Rugby Sevens Series legs in Hong Kong and Paris cancelled Inside the Games 2021-08-05
[25] 웹사이트 FIRA-AER – Rugby Europe http://www.fira-aer-[...] 2011-06-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