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동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동면은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으로, 이소리, 선교리, 판곡리, 어산리, 신촌리, 반곡리, 보미리, 양지리, 평산리 등 9개의 법정리를 관할한다. 역대 면장 목록이 있으며, 11대 강건형과 12대 김봉기는 이승만 대통령의 측근으로 활동하며 독재 권력 강화에 기여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주시의 행정 구역 - 내서면
상주시 내서면은 경상북도 상주시에 위치한 면으로, 과거 상주군 서쪽 지역의 18개 법정리에서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9개 법정리로 구성되었으며, 곶감 생산지로 유명하다. - 상주시의 행정 구역 - 이안면
경상북도 상주시에 위치한 이안면은 양범리를 포함한 12개의 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행정복지센터와 이안초등학교가 있고 36명의 면장이 역임했다. - 경상북도의 읍·면 - 풍기읍
경상북도 영주시에 위치한 풍기읍은 고려 문종의 태를 묻은 것에서 유래한 풍기군의 중심지로, 풍기인삼과 온천, 희방사 등의 명소, 그리고 다양한 교육 및 교통 시설을 갖춘 읍이다. - 경상북도의 읍·면 - 내남면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내남면은 1906년 경주군 내남면으로 시작하여 1995년 경주시 내남면으로 확정되었으며, 경주 남산을 포함하고 반구대로 등의 도로가 지나간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화동면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화동면 |
한자 표기 | 化東面 |
영문 표기 | Hwadong-myeon |
면사무소 | 상주시 화동면 이소 1길 42-5 |
홈페이지 | 화동면행정복지센터 |
행정 구역 | |
광역시도 | 경상북도 |
시군구 | 상주시 |
법정리 | 9 |
행정리 | 16 |
반 | 58 |
통계 | |
면적 | 56.15 |
세대 | 1,042 |
세대 조사 | 2018.12 |
인구 | 1932 |
인구 조사 | 2022년 3월 |
2. 행정 구역
화동면에는 이소리, 선교리, 판곡리, 어산리, 신촌리, 반곡리, 보미리, 양지리, 평산리 등 9개의 법정리가 있다.
2. 1. 법정리 목록
법정리명 | 한자 | 비고 |
---|---|---|
이소리 | 伊所里 | |
선교리 | 仙橋里 | |
판곡리 | 板谷里 | |
어산리 | 於山里 | |
신촌리 | 新村里 | |
반곡리 | 盤谷里 | |
보미리 | 洑美里 | |
양지리 | 陽地里 | |
평산리 | 坪山里 |
화동면의 역대 면장은 다음과 같다.
3. 역대 면장
대수 이름 재임 기간 1 김순익 미상 ~ 미상 2 성익호 미상 ~ 미상 3 이장규 미상 ~ 미상 4 권중희 미상 ~ 미상 5 서재식 미상 ~ 미상 6 이세식 미상 ~ 미상 7 정강화 미상 ~ 미상 8 서성근 미상 ~ 미상 9 조동규 미상 ~ 미상 10 정종운 미상 ~ 미상
1946년 이후 역대 면장 목록은 해당 문단을 참조하라.
3. 1. 역대 면장 목록 (1946년 이후)
대수 | 이름 | 재임 기간 |
---|---|---|
11 | 강건형 | 1946.2.15 ~ 1947.11.14 |
12 | 김봉기 | 1947.11.15 ~ 1948.2.21 |
13 | 조갑연 | 1948.2.25 ~ 1948.12.9 |
14 | 정태화 | 1948.12.10 ~ 1949.10.13 |
15 | 서윤식 | 1949.10.15 ~ 1950.3.24 |
16 | 이중구 | 1950.3.25 ~ 1952.5.2 |
17 | 김기현 | 1952.5.5 ~ 1952.10.20 |
18 | 김억수 | 1952.10.22 ~ 1956.10.12 |
19 | 서무열 | 1956.10.13 ~ 1957.6.10 |
20 | 김창걸 | 1957.6.13 ~ 1960.12.20 |
21 | 김창걸 | 1960.12.27 ~ 1961.6.23 |
22 | 이한성 | 1961.7.9 ~ 1962.5.23 |
23 | 노범구 | 1962.5.24 ~ 1964.5.9 |
24 | 김창걸 | 1964.5.10 ~ 1968.3.31 |
25 | 김이수 | 1968.4.1 ~ 1969.12.19 |
26 | 김태식 | 1969.12.20 ~ 1970.12.27 |
27 | 이희영 | 1970.12.30 ~ 1971.2.2 |
28 | 권윤석 | 1971.2.3 ~ 1971.10.9 |
29 | 김근식 | 1971.10.10 ~ 1972.12.22 |
30 | 우휘종 | 1972.12.23 ~ 1974.3.15 |
31 | 손길상 | 1974.3.16 ~ 1976.1.13 |
32 | 이석덕 | 1976.1.14 ~ 1977.2.18 |
33 | 조장원 | 1977.2.19 ~ 1978.1.4 |
34 | 이수섭 | 1978.1.5 ~ 1978.8.17 |
35 | 조돈희 | 1978.8.18 ~ 1980.4.6 |
36 | 김영배 | 1980.4.7 ~ 1981.5.26 |
37 | 권윤석 | 1981.5.27 ~ 1983.2.16 |
38 | 장재도 | 1983.2.7 ~ 1988.3.4 |
39 | 김상면 | 1983.3.5 ~ 1993.6.20 |
40 | 임정철 | 1993.7.1 ~ 1996.7.11 |
41 | 김인훈 | 1996.7.12 ~ 2000.7.23 |
42 | 이철우 | 2000.8.25 ~ 2003.8.24 |
43 | 윤종수 | 2003.8.25 ~ 2005.9.4 |
44 | 황원모 | 2005.9.5 ~ 2006.9.5 |
45 | 김상묵 | 2006.9.6 ~ 2007.12.26 |
46 | 최영숙 | 2008.2.28 ~ 2009.4.12 |
47 | 채홍묵 | 2009.4.13 ~ 2010.8.15 |
48 | 채한욱 | 2010.8.16 ~ 2011.7.19 |
49 | 김정기 | 2012.7.9 ~ 2012.7.8 |
50 | 채홍묵 | 2012.7.9 ~ 2014.2.28 |
51 | 전홍근 | 2014.7.14 ~ 2015.6.30 |
52 | 장세철 | 2015.7.13 ~ 2017.6.30 |
53 | 김병구 | 2017.7.1 ~ 2019.6.30 |
54 | 권도희 | 2019.7.1 ~ 2020.6.30 |
55 | 서해욱 | 2020.7.1 ~ 2022.1.5 |
56 | 김진철 | 2022.1.6 ~ 2022.12.31 |
57 | 함희중 | 2023.1.1 ~ 2023.12.31 |
58 | 공형석 | 2024.1.1 ~ 현재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