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실은 서양 미술에서 15세기부터 발전해 온 작업 공간으로, 특히 사실주의 화가들이 정확한 묘사를 위해 사용한 사이트-사이즈 기법이 특징이다. 사이트-사이즈 기법은 대상과 그림을 1:1 비율로 일치시켜 그리는 방법으로, 비교 측정, 환영 기법 등과 함께 회화 교육에 활용되었다. 현대에는 건축 설계 사무소, 디자인 분야의 소규모 사업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창작 활동을 위한 공간을 의미하며, 갤러리 역할을 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술 교육 - 마사키 나오히코
마사키 나오히코는 일본의 교육자이자 미술 행정가로, 도쿄미술학교 교장 재임 동안 문부성 미술전람회 개최와 박람회 및 미술관 건설 등 미술 행정에 기여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리는 기념관이 세워졌다. - 회화 기법 - 소실점
소실점은 원근법에서 평행선들이 관찰자 시점에서 무한히 멀리 떨어진 곳에서 만나는 점으로 표현되어 원근감을 나타내며, 투시법과 영상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회화 기법 - 템페라
템페라는 안료를 고착시키는 고착제 또는 회화 기법으로, 전통적으로 달걀이 사용되었으며 고대부터 르네상스 시대까지 사용되다 유화 등장 후 쇠퇴, 20세기에 재조명받고 있고 달걀, 카제인, 교 템페라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화실 | |
---|---|
일반 정보 | |
정의 | 미술 또는 공예 분야의 전문 예술가의 작업장 또는 스튜디오 |
프랑스어 발음 | /atəlje/ |
관련 정보 | |
관련 서적 | ISBN 0-245-54692-8 |
2. 역사와 방법
15세기 이후, 사회적으로 성공한 화가나 조각가들은 많은 주문을 처리하기 위해 제자들과 함께 작업하는 큰 화실을 마련했다. 대작을 제작하려면 넓은 작업 공간, 재료 및 도구 보관소, 작품 보관소, 그리고 빛이 잘 들어오는 큰 창문이 필요했다.[1]
오늘날에도 미술가의 아틀리에는 장비와 재료를 보관하고 큰 작품을 제작하기 위해 넓고 천장이 높은 밝은 공간이 필요하다. 그러나 자금력이 부족한 젊은 화가들은 대도시 중심부에서 큰 방을 빌리기 어려워, 폐공장이나 창고의 로프트를 저렴하게 임대하거나, 농촌 지역의 헛간 등을 활용하기도 한다. 아틀리에를 구하기 쉬운 지역은 미술가 거리로 형성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19세기부터 20세기 초 파리의 몽마르트르와 몽파르나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뉴욕의 소호와 첼시, 최근 베이징 교외의 다산쯔 지구 등이 있다.[1]
19세기 사실주의 화가들은 사이트-사이즈 (Sight-size) 기법을 활용하여 정확하고 사실적인 그림을 그렸다.
2. 1. 사이트-사이즈 (Sight-size)
사이트-사이즈(Sight-size)는 대상과 그림을 1:1 비율로 묘사하는 기법이다. 화가는 대상과 그림을 그릴 표면이 동일한 크기로 보이는 지점을 설정하고, 수평계, 거울, 연추 등 다양한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설정된 시점에서 그림과 대상이 정확히 같은 크기를 갖도록 대상을 그린다. 이 기법으로 매우 정확하고 사실적인 그림을 그릴 수 있으며, 모델의 정확한 치수를 그리는 데에도 사용된다.사이트-사이즈 기법을 따르는 아틀리에는 드로잉 연습이 회화의 기초라는 데 동의하며, 세부 사항에 주의를 기울여 자연을 관찰하는 사실주의를 가르친다. 학생들은 석고 드로잉, 석고 페인팅, 라이브 모델 드로잉 및 페인팅, 정물화와 같은 과제를 순서대로 진행하며, 각 과제를 완료해야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체계적인 진행" 또는 "체계적인 교육 및 학습"이라고 불린다.
아틀리에 학생들은 주로 석고 캐스트를 그리면서 시작하는데, 이는 얼굴, 손, 인체 해부학의 다른 부분을 본뜬 것이다. 석고 캐스트는 그림자를 제공하고, 정지해 있으며, 흰색이라 학생들이 그림자의 그레이스케일 톤에 집중할 수 있게 한다.
사이트-사이즈를 배우는 학생들의 목표 중 하나는 기계 장치 없이 정확한 이미지를 캔버스에 옮기는 기술을 얻는 것이다. 현대 사실주의 화가 애드리안 고틀립은 "전문 화가들은 측정 장치와 수직선(훈련 기간에 필요한 도구)의 필요성을 배제하는 '눈'을 발달시키겠지만, 관찰 방법 자체는 두 번째 천성이 된다"고 말한다. 사이트-사이즈는 특히 인물화와 형상 작업에 적용될 때 실제와 같은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3]
리처드 F. 랙과 찰스 세실의 전 학생이자 ''사이트-사이즈 접근 방식을 사용한 석고 드로잉''의 저자인 대런 R. 루서는 "사이트-사이즈를 사용하는 완전히 훈련된 예술가는 수직선을 사용하거나 문자 그대로의 측정을 의식적으로 생각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는 자연에서 보이는 것과 동일한 망막 인상을 그림에서 달성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라고 말한다.[3]
R. H. 아이브스 갬멜 (1893–1981)은 사이트-사이즈를 교육 방법의 기초로 삼았다. 그는 카롤뤼스-뒤랑과 레옹 보나의 아틀리에를 본받아 자신의 스튜디오를 설립했다. 이 프랑스 화가들은 벨라스케스의 예술에 대한 헌신을 제자들에게 전달한 뛰어난 사이트-사이즈 인물화가였다. 존 싱어 사전트는 두 화가에게 훈련받았고, 그의 사이트-사이즈 사용은 영국과 미국에 큰 영향을 미쳤다.[4]
사이트-사이즈 기법을 사용하는 아틀리에의 예술 작품은 고대 그리스 및 로마 조각품 (벨베데레의 아폴로 등)을 연상시키거나, 18세기 중반에서 19세기 신고전주의 미술의 시각적 이미지를 선호할 수 있다. 이 기법은 부그로의 작품처럼 정확하고 자연스러운 인물화에도 적합하다.
2. 2. 비교 측정 (Comparative measurement)
비교 측정 방식은 비례적 정확도를 요구하지만, 예술가가 제작하는 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게 한다. 이 기법은 주로 육안을 사용하여 정확한 측정을 수행하는 모든 그림 기법을 광범위하게 포함한다. 초기 훈련 기간 동안 학생들은 비교를 위해 연필, 붓 또는 수직선의 도움을 받을 수 있지만, 대상에서 종이로 직접 1:1 측정을 옮기는 것은 아니다. 이 방식을 가르치는 학교로는 워터 스트리트 아틀리에와 스웨덴 사실주의 미술 아카데미가 있다.스웨덴 사실주의 미술 아카데미의 화가이자 강사인 한스-페터 자메이트는 그의 에세이 "[https://www.swedishacademyofrealistart.se/comparative-method The Sight-size Method and its Disadvantages]"에서 시각 크기의 단점을 논하며, 시각 크기를 "시각 크기"라는 한 가지 크기로 제한된 기계적으로 생산된 이미지 제작으로 묘사한다.[5]
2. 3. 환영 (Illusion)
환영 기법은 시청자를 속여 이미지가 정확하다고 믿게 만드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대개 고급 구성 이론과 함께 사용되며, 예술가는 실제 이미지를 유지하면서 다양한 옵션을 실험할 수 있다.[6]
예를 들어, 루벤스는 ''메르쿠리우스의 강하를 위한 남성 인물 연구''(c. 1613–1614 (드로잉), ''마리 드 메디치의 교육''에서[6])에서 다리가 몸통에 연결되는 부분을 가렸다. 이를 통해 그는 매우 다양한 다리 배치를 실험할 수 있었다. 시청자는 연결이 보이지 않고 결과적인 2차원 이미지가 보기 좋다면 비논리적인 부착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 따라서 예술가는 정확성보다는 개인적인 선호도나 미학을 기반으로 선택할 수 있다. 현실감의 외관을 유지하기 위해 일련의 2차원 단축 환영을 사용하는 동시에 신체의 각 부분의 크기와 배치에 관한 수많은 조작을 실험하는 것이 가능하다.[7]
신체 부위 외에도, 예술가는 색상, 명암, 가장자리 특성, 겹치는 모양의 조작과 글레이징 및 스컴블링과 같은 여러 유형의 페인트 적용을 포함한 많은 요소들을 조작하여 환영을 얻을 수 있다. 이 방식으로 개발된 작업은 드로잉으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환영의 성공과 전체 구성에 필요한 모든 관련 요소의 배치로 시작한다.[8][9]
현실을 모방하도록 설계된 많은 환영은 또한 그림 과정을 가속화하여 예술가들이 복잡한 대규모 작품을 디자인하고 완성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게 해준다.
이 기법을 배우는 학생들은 르네상스 (1490년대–1527년), 매너리즘 (1520–1580), 바로크 (1600–1725), 인상주의 (1870년대–1880년대) 화가들, 레오나르도 다 빈치, 드가,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루벤스, 티치아노를 포함하여 다양한 옛 거장들을 연구한다. 그러나 창의성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특정 스타일이나 대상을 재현하는 데는 덜 집중하고 구성의 디자인과 재료의 적용 및 사용을 연구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 화실의 학생들은 광범위한 개인적 스타일과 창의적인 실험의 증가를 보여준다. 그 결과 각 학생이 자신의 개별적인 관심사를 추구하는, 예술이 매우 개별화된 집단이 된다. 레옹 보나 (1846–1855)의 화실에는 큰 다양성이 있었다. 율리우스 카플란은 보나를 "높은 학문적 완성도보다는 예술의 단순성을 강조하고, 세부 사항보다는 전체적인 효과를 강조하는 자유주의적 교사"라고 특징지었다.[10][11]
보나의 주목할 만한 학생들로는 프레드 바나드, 조르주 브라크, 귀스타브 카유보트, 수조 코테, 라울 뒤피, 토머스 에이킨스, 앨로이시우스 오켈리, 존 싱어 사전트, 앙리 드 툴루즈 로트렉, 마리우스 바셀론 등이 있다.[11][12][13]
3. 현대의 아틀리에
오늘날 미술가의 아틀리에는 장비와 재료 보관, 큰 작품 제작을 위해 넓고 천장이 높은 밝은 공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자금력이 없는 젊은 화가들은 대도시 중심부에서 큰 방을 빌리기 어려워 폐공장, 폐창고의 로프트를 저렴하게 빌리거나, 농촌 지역의 헛간 등을 활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도시 외곽의 임대료가 저렴한 지역이나 도심과 가깝지만 쇠퇴한 지역은 미술가 거리로 형성되기 쉽다. (예: 19세기~20세기 초 파리의 몽마르트르, 몽파르나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뉴욕의 소호, 첼시, 최근 베를린 미테구, 베이징 외곽 다산쯔 지구 등)[1]
3. 1. 아틀리에 건축 설계 사무소
건축 분야에서 아틀리에 건축 설계 사무소는 한 명의 건축가를 중심으로 한 소규모 건축 설계 사무소를 가리킨다. 조직형 건축 설계 사무소와 비교했을 때, 건축가의 개성과 이념을 강하게 반영한 설계가 이루어진다는 특징이 있다.[1]일반적으로 아틀리에 사무소를 이끄는 사람(및 조직 사무소의 설계 치프)을 건축가라고 부르며, 건축가는 물론이고 직원들도 건축 설계 관련 자격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1] 아틀리에 사무소는 작가성과 작품성을 추구하며, 타협하지 않고 더 좋은 작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 의장 설계 능력이 중시되는 경향이 있다.[1]
3. 2. 다양한 분야의 아틀리에
건축 분야에서 건축 설계 사무소는 종합 건설 회사의 설계부, 주택 회사, 닛켄 설계 같은 조직형 건축 설계 사무소, 건축가 개인 사무소인 아틀리에 건축 설계 사무소 등으로 분류된다. 아틀리에 건축 설계 사무소는 한 명의 건축가를 중심으로 건축가의 개성과 이념을 강하게 반영한 설계를 한다.일반적으로 아틀리에 사무소와 조직 사무소의 설계 담당자는 건축가라고 불리며, 직원도 건축 설계 관련 자격을 보유하고 있다. 아틀리에 사무소는 작가성과 작품성을 추구하며, 의장 설계 능력이 중시된다.
디자인 분야의 소규모 사업자, 사무소에서 창작 활동을 하는 곳이라는 의미로 "아틀리에"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도 한다. 조경, 조경 설계 분야나 도시 디자인 업무를 중심으로 하는 도시 계획 컨설턴트 중 소규모인 경우도 아틀리에 사무소라고 한다.
4. 갤러리
이 섹션은 사이트-사이즈(Sight-size) 기법을 사용하거나, 아틀리에에서 작업한 화가들의 작품을 예시로 보여준다. 사이트-사이즈 기법은 대상과 그림을 그릴 표면을 같은 크기로 보이는 지점에서, 여러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그림과 대상이 정확히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대상을 그리는 기법이다. 이 기법을 통해 매우 정확하고 사실적인 그림을 얻을 수 있다.[3] R. H. 아이브스 갬멜은 사이트-사이즈를 교육 방법의 기초로 채택하고 자신의 스튜디오를 설립하였으며, 존 싱어 사전트는 이 기법을 영국과 미국에 널리 알렸다.[4]
4. 1. 주요 작품
[3]참조
[1]
서적
Harrap's Illustrated Dictionary of Art and Artists
Harrap Books Limited
1990
[2]
서적
History of Art
Thames & Hudson
[3]
웹사이트
Sight-Size Misconceptions
https://web.archive.[...]
2008-09-07
[4]
웹사이트
Atelier tradition
http://www.charlesce[...]
2008-09-07
[5]
웹사이트
The Sight-size Method and its Disadvantages
https://web.archive.[...]
2012-06-30
[6]
웹사이트
Prints, Drawings and Paintings Collection: ''Study of a male figure, for Mercury descending in "The Education of Marie de Medici"''
https://collections.[...]
2014-04-12
[7]
뉴스
The Art of Composition
http://www.trinkamar[...]
2008
[8]
간행물
Fluorescence of Paint and Varnish Layers (Part II)
https://www.jstor.or[...]
1982
[9]
웹사이트
James Gurney Interview
https://web.archive.[...]
2014-10-18
[10]
서적
The Dictionary of Art
Grove
[11]
웹사이트
Gabriel P. Weisberg reviews The Scandinavian Pupils of the Atelier Bonnat, 1867–1894 by Siulolovao Challons-Lipton
http://www.19thc-art[...]
2016-12-11
[12]
웹사이트
Leon Bonnat (1833 - 1922)
https://archive.toda[...]
2014-10
[13]
백과사전
Bonnat
http://global.britan[...]
[14]
서적
Harrap's Illustrated Dictionary of Art and Artists
Harrap Books Limited
1990
[15]
서적
History of Ar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