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화예부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예부인은 오대십국 시대 후촉 황제 맹창의 황후로, 시와 글짓기에 능하고 미모를 겸비하여 불렸다. 965년 송나라가 후촉을 공격하여 맹창이 죽자 송태조의 후궁이 되었으나, 망국의 한을 품고 조광윤을 암살하려다 실패하고 자결했다. 촉주 청성현 출신으로 맹창의 궁정 생활을 읊은 궁시 100여 수를 남겼으며, 후세에는 부용의 화신으로 숭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대 십국 시대의 황후 - 안태비
    안태비는 오대 십국 시대 후진의 황제 석중귀의 어머니로, 석경당에게 입양되어 귀비로 존경받았으나 후진 멸망 후 요나라로 유배되어 사망했다.
  • 후촉의 시인 - 맹창
    맹창은 오대십국 시대 후촉의 제2대 황제로, 초기에는 국가 안정에 힘썼으나 만년의 사치스러운 생활로 후촉을 멸망시킨 인물이다.
화예부인
기본 정보
화예부인
백미신영도전의 삽화
인물 정보
중국어花蕊夫人
병음Huāruǐ Fūrén
로마자 표기Huarui Furen
광둥어Faa¹-jeoi⁵ Fu¹-jan⁴
활동 시기기원후 900년대
기타 정보오대십국 시대의 후촉 군주 맹창의 후비
작품
《화예부인궁사》(花蕊夫人宮詞)

2. 생애

화예부인은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후촉(後蜀) 황제 맹창의 황후였다. 시와 글짓기에 능통했고 재주와 미모를 겸비하여 화예부인(花藝夫人)이라 불렸다.

965년 11월, 송태조 조광윤은 충무부절도사 왕전빈에게 군사 6만을 주어 후촉을 공격하게 하였다. 후촉은 군대가 14만이나 되었으나 많은 전사자를 내고 패배하였다.

이후의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

2. 1. 후촉의 후궁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후촉(後蜀) 황제 맹창의 황후로, 시와 글짓기에 능통했고 재주와 미모를 겸비하여 화예부인(花藝夫人)이라 불렸다. 965년 북송의 황제 송태조 조광윤이 후촉을 공격해오자 맹창과 함께 포로로 잡혔다. 맹창이 죽자 송태조는 화예부인이 사작(詞作)에 능함을 전해 듣고 그녀를 불러 시를 짓게 했는데, 그녀는 당당하게 망국의 한을 읊었다고 전해진다.

굳은 충정에 감명한 송태조는 그녀를 후궁으로 삼았다. 송태조의 후궁이 된 화예부인은 기회를 노렸다가 조광윤을 죽이려 하였으나 실패하자 스스로 자결하였다. 촉주 청성현(현재의 쓰촨성청두시두장옌시) 출신으로, 어릴 적부터 문학적 재능이 있었고 용모 또한 아름다워 맹창의 후궁에 들어가 혜비가 되었다. 이후 화예부인이라는 칭호를 하사받았다. 맹창을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보며 궁정 생활을 읊은 궁시 100여 수를 남겼다.

2. 2. 후촉 멸망과 송 태조

965년 북송의 황제 송태조은 충무부절도사 왕전빈에게 군사 6만을 주어 후촉을 공격하게 하였다. 후촉은 군대가 14만이나 되었으나 많은 전사자를 내고 패배하였다. 맹창이 죽자 송태조는 화예부인이 시를 잘 짓는다는 것을 듣고 그녀를 불러 시를 짓게 했는데, 화예부인은 망국의 한을 다음과 같이 읊었다.[1]

송태조는 오히려 굳은 충절에 크게 감명하여 그녀를 후궁으로 삼았다. 그러나 화예부인은 후촉을 잊지 못하고 항상 맹창의 초상을 모셨다고 한다.[1]

2. 3. 조광윤 형제와의 갈등

송나라에 포로로 잡혀온 서씨의 재능과 미모는 조광윤과 그의 동생인 조광의가 서로 질투하여 다투게 만들었다고 한다.[7] 맹창이 죽자 조광윤은 서씨를 후궁으로 맞이했다. 《노여록》(爐餘錄)에는 '촉주가 죽자 곧 태조의 궁으로 들어가 총애를 받았다.'고 묘사되어 있다. 그러나 조광의도 서씨를 노리고 있었다.[7]

976년 겨울, 조광윤의 임종이 가까워져 거의 움직이지 못하게 되자 조광의는 서씨에 대한 마음을 행동으로 옮겼다. 한밤중에 조광의는 형을 몇 번이나 불렀으나 대답이 없자 서씨를 희롱했다. 조광윤이 이를 알고 분노하여 옥부(옥으로 된 도끼)로 바닥을 내리쳤다.[7] 놀란 황후와 태자가 왔을 때는 이미 임종이 가까워져 있었고, 조광의는 자신의 관저로 돌아갔다. 그리고 조광윤은 세상을 떠났다.[7]

2. 4. 죽음과 신격화

은 맹창이 죽자 송태조에게 망국의 한을 읊은 시를 지어 바쳤다.[1][1]

송태조는 그녀의 굳은 충절에 감명받아 후궁으로 삼았다. 화예부인은 기회를 노려 조광윤을 죽이려 했으나 실패하고 스스로 자결하였다.[1]

후세 사람들은 화예부인을 신격화하여 목부용의 화신으로 모셨다.[1]

3. 가계

참조

[1] 서적 Women Writers of Traditional China: An Anthology of Poetry and Criticism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9
[2] 서적 Poetry as Power: Yuan Mei's Female Disciple Qu Bingyun (1767-1810)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07
[3] 문서 Quan Tangshi
[4] 문서 Chang & Saussy
[5] 서적 The Red Brush: Writing Women of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BRILL 2020-03-23
[6] 서적 Women Shall Not Rule: Imperial Wives and Concubines in China from Han to Liao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3-06-06
[7] 서적 중국사 열전 후비:황제를 지배한 인물들 달과소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