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회동리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회동리층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일대에 분포하는 지층으로, 주로 코노돈트 화석 연구를 통해 지질 시대가 밝혀졌다. 초기 연구에서는 실루리아기로 추정되었으나, 이후 연구를 통해 오르도비스기 중기~후기로 밝혀졌다. 회동리층에서는 다양한 코노돈트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특히 성마령 단면에서 잘 나타난다. 회동리층은 조선 누층군 용탄층군의 일부로, 행매층, 정선 석회암층과 함께 코노돈트 생층서대를 이룬다.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회동리에는 회동리층의 노두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르도비스기 - 퇴적암
    퇴적암은 바람, 빙하, 중력, 유수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이 층상으로 쌓여 압축 및 교결 작용을 거쳐 형성되며, 층리와 화석을 특징으로 하고, 쇄설성, 생화학적, 화학적 퇴적암 등으로 분류된다.
  • 오르도비스기 - 영월군
    영월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에 둘러싸여 동강과 서강이 흐르고, 단종 유배지와 장릉, 김삿갓 유적지 등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지가 있는 고생대 지층의 카르스트 지형과 지하자원이 풍부한 지역이었으나 석탄 산업 쇠퇴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 캄브리아기 - 퇴적암
    퇴적암은 바람, 빙하, 중력, 유수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이 층상으로 쌓여 압축 및 교결 작용을 거쳐 형성되며, 층리와 화석을 특징으로 하고, 쇄설성, 생화학적, 화학적 퇴적암 등으로 분류된다.
  • 캄브리아기 - 영월군
    영월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에 둘러싸여 동강과 서강이 흐르고, 단종 유배지와 장릉, 김삿갓 유적지 등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지가 있는 고생대 지층의 카르스트 지형과 지하자원이 풍부한 지역이었으나 석탄 산업 쇠퇴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 석회암 지층 - 퇴적암
    퇴적암은 바람, 빙하, 중력, 유수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이 층상으로 쌓여 압축 및 교결 작용을 거쳐 형성되며, 층리와 화석을 특징으로 하고, 쇄설성, 생화학적, 화학적 퇴적암 등으로 분류된다.
  • 석회암 지층 - 영월군
    영월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에 둘러싸여 동강과 서강이 흐르고, 단종 유배지와 장릉, 김삿갓 유적지 등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지가 있는 고생대 지층의 카르스트 지형과 지하자원이 풍부한 지역이었으나 석탄 산업 쇠퇴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회동리층
개요
회동리층이 분포하는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정선읍 회동리 일대의 지질도
회동리층이 분포하는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정선읍 회동리 일대의 지질도
이름회동리층
시대고생대
시기오르도비스기~실루리아기
유형퇴적암
주 암질석회암
나머지 암질돌로마이트질 석회암
이름 따옴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정선읍 회동리
명명정창희 (1979)
상위 단위조선 누층군
하층조선 누층군 행매층
상층평안 누층군 만항층
두께200 m
지역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2. 회동리층의 화석

회동리층에서는 다양한 코노돈트 화석이 발견된다. 이 화석들은 지층의 생성 시기와 고생물학적 환경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코노돈트 화석은 회동리층의 지질 시대를 결정하고, 행매층과의 관계를 밝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1. 코노돈트 화석 연구

회동리층의 코노돈트 화석 연구는 1970년대부터 여러 학자들에 의해 진행되었다. 초기 연구에서는 회동리층의 지질 시대를 실루리아기로 보았으나, 이후 연구를 통해 오르도비스기 중기~후기로 밝혀졌다.

2. 1. 1. 초기 연구 (1970년대~1980년대)

정창희 외(1979)는 히사코시(Hisakoshi)가 정한 상부 석회암이란 명칭 대신 회동리층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고, 회동리층 4개 단면에서 836개체의 코노돈트를 보고하였다. 코노돈트는 ''Pterospathodus celloni'' (Walliser), ''Panderodus unicostatus'' (Branson and Mehl) 및 신종 ''Ambalodus hoedongensis''로 분류되었다.[2]

이하영(1980)은 회동리층이 분포하는 4개 지역에서 산출된 827개의 코노돈트 화석을 근거로 회동리층을 실루리아기에 대비하였다.[3]

2. 1. 2. 최근 연구 (2010년대)

이병수(2018)는 행매층 상부와 회동리층 하부 양 지층에서 286개체의 코노돈트 화석을 발견하고 ''Aurilobodus serratus'' 화석대를 설정했다. 이 화석대의 존재는 행매층과 회동리층의 관계가 정합이라는 것을 지시한다. 또한 신종 ''Scandodus choii''가 보고되었다. 이 연구에서 이병수는 회동리층의 지질시대가 실루리아기보다는 오르도비스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았다.[1]

이병수(2019)는 정선-평창 지역 회동리층의 코노돈트 화석을 연구하고 회동리층의 지질시대를 중기~후기 오르도비스기로 정하였다. 회동리층은 성마령 단면에서 가장 잘 드러나며 이병수는 성마령 단면을 포함하여 5개 단면에서 회동리층 상부에서 669개체의 코노돈트 화석을 산출하고 ''Tasmanognathus sishuiensis-Erismodus asymmetricus'' 화석대를 설정하였다. 이 화석대는 태백산 분지 지역에서 가장 젊은 코노돈트 화석대이며, 영흥층에 대비된다. 화석군은 ''Panderodus gracilis''가 우세하며 이외에 오르도비스기 샌드비안(Sandbian)을 지시하는 화석이 산출된다.[1]

조선 누층군 용탄층군의 코노돈트 생층서대[4][5][6][7]
지층생층서대 이름
회동리층Tasmanognathus sishuiensis-Erismodus asymmetricus
Aurilobodus serratus
행매층
Eoplacognathus suecicus
정선 석회암층
Erraticodon tangshanensis
-


2. 2. 코노돈트 생층서대

회동리층과 주변 지층에서는 코노돈트 화석을 이용한 생층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정창희 외(1979)는 회동리층 4개 단면에서 836개체의 코노돈트를 보고하였다. 코노돈트는 ''Pterospathodus celloni'' (Walliser) 및 ''Panderodus unicostatus'' (Branson and Mehl)와 신종 ''Ambalodus hoedongensis''로 분류되었다.[2]

이하영(1980)은 회동리층이 분포하는 4개 지역에서 산출된 827개의 코노돈트 화석을 근거로 회동리층을 실루리아기에 대비하였다.[3]

이병수(2018)는 행매층 상부와 회동리층 하부 양 지층에 걸쳐 286개체의 코노돈트 화석을 발견하고 ''Aurilobodus serratus'' 화석대를 설정했다. 이 화석대의 존재는 행매층과 회동리층의 관계가 부정합이 아니라 정합이라는 것을 지시한다. 또한 신종 ''Scandodus choii''가 보고되었다. 이 연구에서 이병수는 회동리층의 지질시대가 실루리아기보다는 오르도비스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았다.[1]

2. 2. 1. 조선 누층군 용탄층군의 코노돈트 생층서대

이병수(2019)는 정선-평창 지역 회동리층의 코노돈트 화석을 연구하고 회동리층의 지질시대를 중기~후기 오르도비스기로 정하였다. 회동리층은 성마령 단면에서 가장 잘 드러나며 이곳의 회동리층은 하부 석회암, 돌로마이트질 석회암, 상부 석회암, 교호대 4개 층원으로 나누어진다. 이병수는 성매령 단면을 포함하여 5개 단면에서 회동리층 상부에서 669개체의 코노돈트 화석을 산출하고 ''Tasmanognathus sishuiensis-Erismodus asymmetricus'' 화석대를 설정하였다. 이 화석대는 태백산 분지 지역에서 가장 젊은 코노돈트 화석대이며, 영흥층에 대비된다. 화석군은 ''Panderodus gracilis''가 우세하며 이외에 오르도비스기 샌드비안(Sandbian)을 지시하는 ''Aphelognathus solidum'' Pei, ''Belodina'' sp., ''Eoligonodina prima'' (Branson and Mehl), ''Erismodus asymmetricus'' (Branson and Mehl), ''E. quadridactylus'' (Stauffer), ''Plectodina aculeata'' (Stauffer), ''P. alatheta'' An, ''Tasmanognathus careyi'' Burrett, ''T. sishuiensis'' Zhang이 산출된다.[1]

조선 누층군 용탄층군의 코노돈트 생층서대[4][5][6][7]
지층생층서대 이름
회동리층Tasmanognathus sishuiensis-Erismodus asymmetricus
Aurilobodus serratus
행매층
Eoplacognathus suecicus
정선 석회암층
Erraticodon tangshanensis
-


3. 회동리층의 노두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정선읍 회동리 325-2 (N 37°25'20.56", E 128°34'30.85") 지점에 회동리층의 노두가 드러나 있다.[8]

참조

[1] 저널 Geology of Seizen (Jeongseon) district, Kogendo, Tyosen 1943
[2] 저널 A study on stratigraphy and sedimentological environments of the lower Paleozoic sequences in South Korea (chiefly in Jeongseon area) 1979
[3] 저널 Discovery of Silurian Conodont Fauna from South Korea (韓國의 사일루리안 코노돈트 발견) https://www.dbpia.co[...] 1980-06
[4] 저널 Recognition and significance of the Aurilobodus serratus conodont Zone (Darriwilian) in lower Paleozoic sequence of the Jeongseon–Pyeongchang area, Korea https://www.proquest[...] 2018
[5] 저널 Upper Ordovician (Sandbian) conodonts from the Hoedongri Formation of western Jeongseon, Korea https://link.springe[...] 2019-10
[6] 저널 Conodonts from the ‘Lower Limestone’ and Haengmae Formation in western Jeongseon, Korea and their implication for lithostratigraphic correlation https://link.springe[...] 2020
[7] 웹인용 정선-평창지역 하부 고생대층(정선석회암, 행매층, 회동리층)의 코노돈트 생층서 연구 (Conodont biostratigraphic study of the Lower Paleozoic strata(Jeongseon Ls., Haengmae and Hoedongri Fns.), Jeongseon-Pyeongchang area) https://scienceon.ki[...] 전북대학교 2020-06
[8] 서적 강원권 지질유산 발굴 및 가치평가 (Assessment of the value and distribution of Geological Heritages in Gangwon Province) 국립공원공단, 대한지질학회 2019-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