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회령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회령시는 함경산맥에 위치한 도시로, 두만강을 경계로 중국 지린성과 접해 있다. 조선 시대에는 육진 중 하나였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일본군 주둔지였다. 현재는 북한의 강제 수용소인 22호 관리소가 위치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 산업은 광산 기계 및 제지 공장이며, 함북선을 비롯한 철도 교통망이 발달했다. 특산물로는 회령 흰 살구와 도자기가 있으며, 김정숙의 출생지로 관광 자원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회령시 - 회령 정치범수용소
    회령 정치범수용소는 함경북도 회령시에 위치한 북한의 정치범 수용소로, 극도로 열악한 환경에서 강제 노동과 인권 침해가 발생했으며 2012년경 폐쇄되었지만 인권 유린 논란은 지속되고 있다.
  • 함경북도의 도시 - 청진시
    청진시는 함경북도의 항만 도시로, 동해에 면해 있으며, 철강 및 금속 공업이 발달했으며, 대외 무역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경제난 이후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대기 오염과 수질 오염 문제가 심각하다.
  • 함경북도의 도시 - 김책시
    김책시는 함경북도 동해안에 위치한 도시로, 과거 성진시였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책의 이름을 따 개칭되었으며, 김책제철소와 김책공업대학이 있는 북한의 주요 공업 도시이자 평라선 철도가 통과하고 22개 동과 22개 리로 구성되어 있다.
  • 1991년 설치 - 화도읍
    화도읍은 1914년 상도면과 하도면을 합쳐 명명된 남양주시의 읍으로, 1991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다양한 기관과 학교, 의료 시설, 주거 시설, 문화재, 명소 등이 위치하고, 경춘선, 서울양양고속도로 등 교통이 편리하다.
  • 1991년 설치 - 분당구
    분당구는 1989년 분당신도시 개발로 설치된 성남시 남부의 일반구로, 분점리와 당우동의 이름을 따왔으며, 과거 광주군 돌마면과 낙생면 지역이 성남시에 편입된 후 중원구에서 분구되어 분당선, 신분당선, 경강선과 함께 네이버, KT 본사 등 여러 기업 및 공공기관이 위치한다.
회령시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회령
한국어 표기회령시
한자 표기會寧市
로마자 표기Hoeryeong-si
유형
회령시 시내
회령시 시내
북한 함경북도 지도, 회령 위치 표시
북한 함경북도에서 회령의 위치
위치
좌표42° 26′ 북위 129° 45′ 동경
국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인구
2008년153,532명
방언함경도 방언
행정 구역
종류행정 구역
구성19개 동, 28개 리
시간대
시간대평양 시간
UTC 오프셋+9

2. 지리

함경산맥이 시의 중앙을 가로질러 뻗어 있어 산지가 많다. 서쪽은 무산군, 남쪽은 부령군·청진시, 동쪽으로는 경흥군·경원군·온성군과 접해 있고, 북쪽은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 지린성(吉林省) 옌볜 조선족 자치주 룽징시(龍井, 용정)와 마주하고 있다. 시의 북쪽 지역(광복 당시 종성군 행영면)에는 회령 정치범수용소(22호 관리소)가 있다.

2. 1. 기후

회령시의 기후[14]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5.1°C-2°C4.2°C12.6°C18.3°C21.4°C24.8°C25.4°C21.2°C14.7°C4.9°C-2.7°C
평균 기온 (℃)-11.1°C-8.5°C-2.2°C5.7°C11.4°C16°C20.3°C20.8°C15.3°C8.1°C-0.8°C-8.4°C
평균 최저 기온 (℃)-17°C-15°C-8.5°C-1.2°C4.6°C10.7°C15.8°C16.3°C9.4°C1.5°C-6.4°C-14°C
강수량 (mm)6mm6mm14mm29mm61mm94mm112mm155mm82mm38mm20mm8mm



회령시는 습윤 대륙성 기후(''Dwb'')를 보인다.

3. 역사

회령시는 조선 세종 대에 여진족으로부터 백성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 육진 중 하나였다. 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여진족 일파인 알타리의 동맹가첩목아 세력이 이곳에 들어와 살았으며, 이들은 이곳을 알목하나 오음회라 불렀다. 1433년 맹가첩목아 부자가 올적합과의 싸움에서 전사하자, 세종은 이곳에 성보를 쌓고 회령진을 설치하여 육진 개척을 시작했다.

1931년 회령면이 읍으로 승격되었고,[13] 1952년에는 일부 지역이 유선군으로 분리되었다. 1974년에는 유선군과 종성군 일부 지역이 회령군에 편입되었다.[4] 1991년에는 시로 개편되면서 회령읍이 오산덕동, 성천동, 역전동, 동명동으로 분리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유배지로 활용되기도 했다. 임진왜란 때에는 국경인이 유배되어 불만 세력을 규합, 부사와 두 왕자(임해군, 순화군)를 가토 기요마사에게 넘기기도 했다.[9]

일제강점기에는 일본군 주둔지가 있었고, 많은 일본인들이 거주했다.[10] 1911년에는 토리이 류조가 함경 남북도와 간도를 조사하던 중 회령에서 마제석부와 흑요석으로 만든 석촉 등 석기를 발견하기도 했다. 1941년 용정·삼합과 회령을 잇는 다리가 건설되어 "개선교"라고 불렸다.

해방 이후, 1974년에는 김정숙 동지 혁명 사적관이 개관되었고, 1993년에는 회령 인민 도서관이 개관되었다. 2007년 5월, 김영일 당시 내각총리가 회령시를 방문하여 김정숙의 출생지인 회령시를 꾸미도록 지시했다.

회령시는 두만강 연안 6진 중 하나였으며, 현재는 북한 최대의 강제 수용소인 "제22호 관리소"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1. 행정 구역 변천


  • 1914년 4월 1일: 군면(郡面) 병합에 따라 관해면(觀海面)이 부령군에 편입되고, '''회령군'''에 회령면(會寧面), 벽성면(碧城面), 운두면(雲頭面), 봉의면(鳳儀面), 창두면(昌斗面), 용흥면(龍興面), 팔을면(八乙面), 화풍면(花豊面)이 설치되었다. (8면)[11]
  • 1931년 4월 1일: 회령면이 회령읍으로 승격되었다. (1읍 7면)[11]
  • 1939년: 운두면과 봉의면이 합병하여 보을면(甫乙面)이 설치되었다. (1읍 6면)[11]
  • 1947년: 무산군 영풍면(永豊面)의 일부를 편입하였다. (1읍 7면)[11]
  • 1949년: 회령읍이 회령면으로 강등되었다. (8면)[11]
  • 1952년 12월: 군면리 통폐합에 따라 함경북도 회령군 회령면, 창두면, 화풍면 및 팔을면, 벽성면의 각 일부, 부령군 서상면(西上面)의 일부, 종성군 남산면(南山面)의 일부 지역을 통합하여 '''회령군'''이 설치되었다. 회령군에는 회령읍, 망양노동자구(望陽労働者区), 15개 리(덕흥리(德興里), 풍산리(豊山里), 무산리(茂山里), 창태리(蒼苔里), 원산리(元山里), 인계리(仁渓里), 학포리(鶴浦里), 세천리(細川里), 대덕리(大徳里), 창효리(彰孝里), 오봉리(五鳳里), 금생리(金生里), 궁심리(弓心里), 사을리(沙乙里), 신흥리(新興里))가 설치되었다.[11]
  • 1953년: 덕흥리(德興里)의 일부가 유선군 영수리(永綏里)에 편입되었다. (1읍 1노동자구 15리)[11]
  • 1954년 10월: 세천리가 세천노동자구로 승격되었다. (1읍 2노동자구 14리)[11]
  • 1961년 5월: 궁심리가 궁심노동자구로 승격되었다. (1읍 3노동자구 13리)[11]
  • 1974년 5월: 유선군 유선읍, 영수리, 송학리, 성북리, 오류리, 남산리, 성동리, 계하리, 벽성리, 홍산리, 용천리, 계상리와 종성군 낙생리, 행영리, 방원리, 굴산리, 중봉노동자구를 편입하였다. 유선읍은 유선노동자구로 강등되었다. (1읍 5노동자구 28리)[11]
  • 1989년 7월: 회령읍, 대덕리의 각 일부가 합병하여 남문노동자구(南門労働者区)가 설치되었고, 금생리의 일부가 분리되어 수북노동자구(水北労働者区)가 설치되었다. (1읍 7노동자구 28리)[11]
  • 1991년 7월: 회령군이 '''회령시'''로 승격되었다. (18동 28리)[11]
  • 회령읍이 분할되어 오산덕동(鰲山徳洞), 성천동(城川洞), 역전동(駅前洞), 동명동(東明洞)이 설치되었다.
  • 유선노동자구가 분할되어 유선동(遊仙洞), 계림동(鶏林洞), 보을동(甫乙洞)이 설치되었다.
  • 남문노동자구가 분할되어 남문동(南門洞), 산업동(産業洞)이 설치되었다.
  • 세천노동자구가 분할되어 세천동(細川洞), 신천동(新川洞)이 설치되었다.
  • 수북노동자구가 분할되어 수북동(水北洞), 칠월팔일동(七月八日洞)이 설치되었다.
  • 오봉리, 덕흥리의 각 일부가 합병하여 강안동(江岸洞)이 설치되었다.
  • 오봉리, 덕흥리의 각 일부가 합병하여 새마을동이 설치되었다.
  • 망양노동자구가 망양동(望陽洞)으로, 궁심노동자구가 궁심동(弓心洞)으로, 중봉노동자구가 중봉동(仲峯洞)으로 승격되었다.
  • 1992년 12월: 대덕리의 일부가 분리되어 중도동(中島洞)이 설치되었다. (19동 28리)[11]

4. 행정 구역

2002년 현재 회령시의 행정 구역은 19개 동(강안동, 계림동, 궁심동, 남문동, 동명동, 망양동, 보을동, 산업동, 새마을동, 성천동, 세천동, 수북동, 신천동, 역전동, 오산덕동, 유선동, 중도동, 중봉동, 칠월팔일동)과 28개 리(계상리, 계하리, 굴산리, 금생리, 남산리, 대덕리, 덕흥리, 락생리, 룡천리, 무산리, 방원리, 벽성리, 사을리, 성동리, 성북리, 송학리, 신흥리, 영수리, 오류리, 오봉리, 원산리, 인계리, 창태리, 창효리, 풍산리, 학포리, 행영리, 홍산리)로 구성되어 있다.[15]

회령시는 19개의 과 28개의 로 나뉜다.

동 (洞)리 (里)
valign="top" |valign="top" |


5. 산업

회령시의 주요 산업은 광산 기계 및 제지 공업이다. 이 지역에는 광산이 많다.[5] 함북선이 지나가며, 식품 공장, 일용품 생산 화학 공장, 살구 가공 공장 등이 있다.

2017년 기준으로 회령의 일반 주민들은 하루 3~4시간 전기를 공급받았으나,[5] 많은 사람들은 전기를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5. 1. 주요 기업


  • 청년산양목장: 우유 가공품을 생산하여 시민에게 공급하고 있다.
  • 회령백행가공공장: 생산품인 "백행인주"는 회령의 특산품이다.

6. 교통

회령시에는 함북선이 지나간다.

노선 이름역 목록
함북선전거리역 - 풍산역 - 창두역 - 중도역 - 대덕역 - 회령청년역 - 금생역 - 고령진역 - 신학포역 - 학포역 - 신전역 - 간평역
회령탄광선회령청년역 - 봉의역 - 유선역
세천선신학포역 - 세천역 - 중봉역


7. 특산품


  • 회령 흰 살구
  • 회령 도자기

8. 관광

회령시에 위치한 김정숙 생가


회령은 김일성의 첫 번째 부인이자 김정일의 생모인 김정숙의 출생지여서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 중 비교적 잘 꾸며져 있는 곳이다.

  • 김정숙혁명사적관: 1974년 10월에 개관했다. 김정숙에 관련된 자료를 전시하고 있다.
  • 오산덕: 회령시 오산덕동에 위치한 작은 산이다. 김정숙동상과 사적 비가 위치해 있다. 한때 이곳에서 생산되는 백행은 전 조선의 특산물로 명성을 얻었으며, 풍경이 아름다워 "함북 명승"이라는 미칭을 받았다.
  • 회령교두: 회령시 중심부에서 서북쪽으로 5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다리로, 중국 지린성(吉林省) 룽징(龍井, 용정)과 연결되어 있다.
  • 회령인민도서관: 회령시 성천동에 위치한 도서관이다. 1993년 12월 24일에 개관했다. 건물 외관이 화려하다.
  • 호텔
  • 회령호텔: 회령시 중심부에서 남동쪽으로 3km 떨어져 있는 곳에 있다. 객실은 34개이다.
  • 오산관행호텔: 회령시 오산덕동에 있다. 객실은 21개이다.

9.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Brilliant life of Kim Jong Suk http://www.kcna.co.j[...] 2006-06-28
[2] 뉴스 Hoeryong Revolutionary Site http://www.kcna.co.j[...] 2011-12-14
[3] 웹사이트 Kwan-li-so No.22 Haengyŏng (Hoeryŏng) http://wikimapia.org[...] 2012-06-18
[4] 웹사이트 회령시 https://encykorea.ak[...]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21-02-02
[5] 뉴스 North Korea supplies high-voltage electricity to border fence http://www.upi.com/T[...] UPI 2017-07-12
[6] 간행물 North Korea Today Research Institute for North Korean society 2008
[7] 웹사이트 Implications of North Korean Flood https://beyondparall[...]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2016-11-02
[8] 웹사이트 Climate: Hoeryong - Climate-Data.org https://en.climate-d[...] 2018-07-25
[9] 서적 文禄・慶長の役 空虚なる御陣 講談社学術文庫
[10] 서적 昭和・遠い日・近いひと 文芸春秋 1997
[11] 웹사이트 함경북도 회령시 역사 http://www.cybernk.n[...]
[12] 보고서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
[13]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12-29
[14] 웹인용 Climate: Hoeryong - Climate-Data.org https://en.climate-d[...] 2018-07-25
[15] 웹인용 함경북도 회령시 개관 http://www.cybernk.n[...] 북한지역정보넷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