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효성헌황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성헌황후는 옹정제의 후궁이자 건륭제의 생모이다. 1711년 옹정제의 첩으로 건륭제를 낳았으며, 옹정제 즉위 후 희비, 희귀비로 진봉되었다. 건륭제가 즉위한 후 황태후가 되었으며 숭경황태후로 불렸다. 건륭제의 극진한 존경을 받았으며, 1777년 86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효성헌황후로 추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건륭제 - 숙가황귀비
    숙가황귀비 김씨는 조선 출신으로 건륭제의 후궁이 되어 네 아들을 낳았고, 사후 황귀비로 추봉되었으며, 그녀의 아들들은 청나라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했고, 그녀의 가문은 가경제 때 만주 성씨를 하사받았으며, 현대 대중 문화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 건륭제 - 철민황귀비
    철민황귀비는 건륭제의 황귀비로, 건륭제의 측실 시절 첫째 아들 영황을 낳았으며 사후 철비로 추증되었다가 황귀비로 재추증되어 철민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청나라의 황태후 - 서태후
    서태후는 함풍제의 후궁으로 동치제를 낳았으며, 수렴청정을 통해 청나라 말기 정치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고, 양무 운동 추진 및 의화단 지원 등 다양한 정치적 행보를 보였다.
  • 청나라의 황태후 - 효강장황후
    효강장황후는 청나라 순치제의 후궁이자 강희제의 어머니이며, 강희제를 낳은 후 황태후가 되었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하여 효릉에 부장되었다.
  • 니오후루 할라 - 효목성황후
    효목성황후는 청나라 도광제의 비이자 가경제의 며느리이며, 도광제 즉위 후 황후로 추존되었고, 니오후루씨 가문 출신으로 가경제 즉위 전에 사망하여 서청릉의 목릉에 안장되었다.
  • 니오후루 할라 - 원비 니오후루씨 (숭덕제)
    후금 개국 5대신의 딸이자 홍타이지의 정실 부인이었던 원비 니오후루씨는 홍타이지의 셋째 아들 로보호이를 낳았으나 일찍 사망했으며, 청나라 황후로 추존되지 못했고 홍타이지에게 버려졌다는 기록이 존재하나 역사적 사실 여부는 논쟁 중이다.
효성헌황후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효성황후 영정
효성황후 영정
이름효성헌황후 (孝聖憲皇后)
시호효성자선강혜돈화성휘인목경천광성헌황후 (孝聖慈宣康惠敦和誠徽仁穆敬天光聖憲皇后)
묘호없음
없음
존호숭경황태후 (崇慶皇太后), 성모황태후 (聖母皇太后)
출생일강희 30년 11월 25일 (1692년 1월 12일)
사망일건륭 42년 1월 23일 (1777년 3월 2일)
사망 장소자금성 자녕궁 (慈寧宮), 원명원 장춘선관 (長春仙館)
묻힌 곳청서릉 태릉
가문니오후루 (鈕祜祿) 씨
아버지능주 (凌柱)
어머니팽 (彭) 씨
재위 정보
칭호황태후
재위 기간1735년 10월 8일 ~ 1777년 3월 2일
선임효공인황후
후임효화예황후
배우자
배우자옹정제
결혼1705년
사망1735년
자녀
자녀건륭제
기타 정보
신분격격 → 희비 → 희귀비 → 황태후

2. 생애

효성헌황후는 종4품 무직경관 전의[8] 능주의 딸로, 옹정제가 황자였던 시절 그의 후궁인 측복진 이씨의 시녀였다. 그러다 옹정제의 눈에 들어 첩인 격격(格格)이 되었다. 1711년 옹정제의 넷째 아들 홍력(弘曆, 훗날의 건륭제)을 낳았다.

옹정제 사후 아들 건륭제가 즉위하자 황태후로 책봉되었고, '''숭경황태후'''(崇慶皇太后)라는 존호를 받았다. 그녀의 친정아버지 능주 역시 황제의 외조부로서 일등승은공(一等承恩公)으로 추존되었다. 건륭제는 어머니를 각별히 존경하여 남순(南巡)에 항상 함께 했으며, 노환으로 여행이 어려워지자 남순을 중단하기도 했다.

1777년(건륭 42년) 86세로 사망하여 옹정제의 태릉에 합장되었다. 건륭제는 생모인 뉴호록씨를 기리는 마음으로 '''효성헌황후'''(孝聖憲皇后)로 추봉하였다. 시호는 '''효성자선강혜돈화성휘인목경천광성헌황후'''(孝聖慈宣康惠敦和誠徽仁穆敬天光聖憲皇后)이며, 옹정제의 태릉 동북쪽 태동릉에 안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 (강희제 시대)

강희제 44년(1705년), 13세의 나이에 황사자 옹정제(胤禛)의 저택에 들어가 격격(格格)이 되었다.[8] 아버지의 신분이 높지 않았기에, 옹정제의 측복진 년씨나 이씨보다 낮은 지위였다. 옹친왕(胤禛)이 병을 앓았을 때 정성껏 간호하여 총애를 받게 되었다. 1711년(강희 50년) 옹친왕부에서 넷째 아들 홍력(훗날의 건륭제)을 출산하였다.[1]

홍력이 10세가 되었을 때, 옹정제는 홍력을 데리고 원명원에서 강희제를 알현했는데, 이때 강희제가 홍력을 마음에 들어하여 황궁에서 직접 양육하였다. 이로 인해 효성헌황후는 옹친왕의 총애를 더욱 받게 되었다.

2. 2. 옹정제 시대

옹정제가 즉위한 1723년 희비(熹妃)로 책봉되었으며, 1730년 희귀비(熹貴妃)로 진봉되었다.[8] 효경헌황후1731년 사망하자, 당시 궁중에서 가장 높은 품계의 후궁이었던 희귀비가 황제의 후궁들을 관리하게 되었다.

효성헌황후는 옹정제가 황자였던 시절 그의 첩인 격격(格格)이었다.[8] 명문가 출신이었으나 아버지의 신분이 높지 않았기에, 측복진인 년씨나 이씨보다 낮은 지위였다. 옹친왕(胤禛)이 병을 앓았을 때, 효성헌황후는 정성껏 간호하였고, 이것이 계기가 되어 총애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1711년 넷째 아들인 홍력(훗날의 건륭제)을 낳았다.

홍력이 10세가 되었을 때, 옹정제가 홍력을 데리고 원명원에 가서 강희제를 알현하자, 홍력은 강희제의 마음에 들어 황제가 직접 황궁에서 홍력을 양육하였다. 이로 인해 효성헌황후는 옹친왕의 총애를 더욱 받게 되었다.

2. 3. 건륭제 시대

옹정제가 즉위한 옹정 원년에 희비(熹妃)로 책봉되었고, 1730년(옹정 8년)에 희귀비(熹貴妃)로 진봉되었다.[8] 옹정제 사후 아들 건륭제가 황위에 오르자 황태후에 책봉되어 '''숭경황태후'''(崇慶皇太后)라는 존호를 받았다. 거처도 황태후의 처소인 자녕궁으로 옮겼다.[8]

건륭제는 어머니를 매우 존경하여 종종 자문을 구했으며, 남순(南巡)에 항상 동행하였다.[3] 황태후가 연로하여 여행을 할 수 없게 되자 건륭제는 남순을 중지하였고, 황태후가 사망한 후에야 다시 순행을 재개하였다.[3]

황태후의 60세 생일은 성대하게 기념되었다. 건륭제는 베이징에서 이화원까지 도로를 장식하도록 명령하였고,[4] 황태후를 기리는 중국시가 낭독되었으며, 황제와 온 조정이 신에게 제사를 지냈다. 황제는 또한 황태후를 기념하여 곤명호(昆明湖)로 이름 붙인 깨끗한 물결의 정원(원명: 澄波園)의 호수 준설을 명령하였고, 호숫가 건물들을 보수하였다.[5]

일각에서는 건륭제가 두 번째 황후로 나라씨(那拉氏)를 선택하는 데 있어서 황태후의 영향이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2]

3. 존호 및 시호

1735년 건륭제 즉위 후 '''숭경황태후'''(崇慶皇太后)라는 존호를 올렸다. 1737년(건륭 2년) '''자선'''(慈宣), 1749년(건륭 14년) '''강혜'''(康惠), 1750년(건륭 15년) '''돈화'''(敦和), 1751년(건륭 16년) '''유수'''(裕壽), 1755년(건륭 20년) '''순희'''(純禧), 1761년(건륭 26년) '''공의'''(恭懿), 1771년(건륭 36년) '''안기'''(安祺), 1776년(건륭 41년) '''영예'''(寧豫)를 추가로 올렸다. 최종 존호는 '''숭경자선강혜돈화유수순희공의안기영예황태후'''(崇慶慈宣康惠敦和裕壽純禧恭懿安祺寧豫皇太后)이다.[7] 사후 시호는 '''효성헌황후'''(孝聖憲皇后)이다.

4. 가족 관계

항목내용
아버지능주(凌柱, 1664~1754). 종4품 무관(四品典儀) 역임, 1등공(一等公) 작위.[8]
외조부우루(吳祿). 아이두의 5촌 당숙.
외조모조씨(Lady Qiao)
어머니팽씨(Lady Peng)
외할아버지팽무공(彭武功)
형제4명
아들홍력(弘曆, 1711년 9월 25일 ~ 1799년 2월 7일). 옹정제의 넷째 아들. 1735년 10월 18일 건륭제로 즉위.


5. 기타

연회 중인 효성헌황후

5. 1. 미디어에서의 등장

다음은 효성헌황후가 등장하는 미디어 작품들이다.

  • 1985년: 하희라(Teresa Ha) - 《조심해, 폐하!》
  • 1988년: 천초이인(Chan Choiyin) - 《청나라의 흥망》
  • 1998년: 조민분(Zhao Minfen) - 《환주격격》
  • 2002년: 조민분(Zhao Minfen), 연민구(Yan Minqiu), 왕리원(Wang Liyuan) - 《철혈청천》
  • 2002년: 정페이페이(Cheng Pei-pei) - 《협객행》
  • 2002년: 리리(Li Li) - 《강산위중》
  • 2003년: 루소(Lisa Lu) - 《건륭황제》
  • 2003년: 조민분(Zhao Minfen) - 《환주격격3》
  • 2004년: 사소군(Shi Xiaoqun) - 《황태자미시》
  • 2009년: 천샤오춘(Sally Chen) - 《협객행》
  • 2011년: 유설(Leanne Liu) - 《신환주격격》
  • 2011년: 쑨리 (Sun Li) - 《후궁견환전
  • 2011년: 원산산 - 《궁 2》
  • 2012년: 원산산 - 《궁쇄심옥2》
  • 2018년: 양이(Lily Leung) - 《권력의 게임》
  • 2018년: 송춘려 - 《연희공략
  • 2018년: 오첸(Vivian Wu) - 《여의전
  • 2018년: 주서 - 《여의전
  • 2020년: 한지운락(Han Jiunuo) - 《궁중적애정풍운》

참조

[1] 서적 The Qianlong Emperor: Treasures from the Forbidden City NMS 2002
[2] 서적 2004
[3] 서적 2004
[4] 서적 2004
[5] 서적 1998
[6] 문서 雍正元年 二月 二十二日
[7] 문서 雍正十三年 八月 二十三日
[8] 문서 왕이나 자신이 근무하고 있는 큰 집안의 법식 또는 의식절차를 도맡아 진행하는 판임 관직(判任館職)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