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브스굴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브스굴주는 몽골 북부에 위치한 주로, 타르바가타이산맥 등 여러 산맥을 포함하며 후브스굴 호를 비롯한 아름다운 자연환경으로 유명하다. 1931년 몽골인민공화국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다르카드인, 호트고이드인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한다. 칭군자브의 반청 봉기, 몽골의 총리를 지낸 담딘바자르 등 역사적 인물들이 이 지역 출신이다. 머릉 공항과 하트갈 공항을 통해 교통이 이루어지며, 축산업이 발달했다. 후브스굴주에는 우란-타이가 자연 특별 보호 구역이 있으며, JICA의 보건 관련 프로젝트 등 국제 협력이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브스굴주 - 후브스굴호
몽골 북서부에 위치한 후브스굴호는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큰 담수호이자 몽골 담수의 약 70%를 저장하며, 뛰어난 수질과 생태학적 가치로 국립공원 및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후브스굴주 - 셀렝가강
셀렝가강은 몽골에서 발원하여 러시아 동부 중앙부로 흐르는 1,480km 길이의 강으로, 바이칼호의 주요 지류이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민족의 삶의 터전이었으나, 최근 수질 오염 문제가 심각하고 삼각주는 람사르 협약에 따라 보호받고 있다. - 몽골의 주 - 동드고비주
동드고비주는 몽골 중남부에 위치한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으로, 초원과 사막 지형에 구리, 석탄, 철광석 등 풍부한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유목 생활을 하는 주민들은 게르에서 거주하며 샤머니즘과 텡그리즘 신앙을 가지고 있다. - 몽골의 주 - 아르항가이주
아르항가이주는 몽골국 중앙부 항가이 산맥 북쪽에 위치하며 낙농업이 활발하고 농업과 축산업이 주요 경제이며 자야 게겐 사원과 타이하르 석 등의 관광지가 있다.
후브스굴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훕스굴 주 |
현지 명칭 | Хөвсгөл аймаг |
몽골 문자 | ᠬᠥᠪᠰᠦᠭᠦᠯ ᠠᠶᠢᠮᠠᠭ |
![]() | |
![]() | |
![]() | |
![]() | |
좌표 | 북위 49도 38분 동경 100도 10분 |
행정 | |
국가 | 몽골 |
설립 | 1931년 |
주도 | 무릉 |
통계 | |
면적 | 100628.82 km² |
인구 (2017년) | 132146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GDP (2022년) | MNT 9520억 (미화 약 3억 달러) |
1인당 GDP (2022년) | MNT 6,905,270 (미화 약 2,211 달러) |
기타 정보 | |
시간대 | UTC+8 |
우편 번호 | 해당 없음 |
지역 번호 | +976 138 |
ISO 3166-2 | MN-041 |
차량 번호판 | ХӨ_ |
웹사이트 | 훕스굴 주 공식 웹사이트 |
2. 지리 및 역사
2. 1. 지리
후브스굴주는 항가이산맥의 일부인 타르바가타이산맥, 불나이산맥, 에르침산맥과 호리돌사리다그산맥, 울란타이가산맥, 몽크사리다그산맥과 같은 주요 산맥들을 포함한다. 특히 후브스굴호와 같은 아름다운 자연 환경으로 유명하다. 몽골에서 가장 큰 숲이 이 지역에 위치해 있다.2. 2. 역사
1931년 몽골인민공화국 정부는 후브스굴주를 설립했다. 초기에는 카트갈이 행정 중심지였으나, 이후 머릉으로 이전되었다.18세기 후반, 칭군자브는 청나라의 지배에 저항하여 반청 봉기를 일으켰다. 칭군자브는 후브스굴 지역에서 봉기를 주도하며 청나라 군대에 맞섰다. 그의 봉기는 비록 실패로 끝났지만, 몽골인들의 독립 의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으로 기록되고 있다.
3. 인구
3. 1. 민족 구성
후브스굴주에는 다양한 민족이 거주한다. 다르카드인, 호트고이드인, 우량하이인, 부랴트인 등이 대표적이다. 이 외에도 차탄족(Tsaatan)과 같은 소수 민족이 존재한다.다르카드족은 몽골 서북부에 거주하는 민족으로, 샤머니즘 신앙을 유지하고 있다. 차탄족 역시 순록 유목을 하며 전통적인 샤머니즘 신앙을 고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0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후브스굴주 인구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몽골인: 81.2%
- 다르카드인: 8.9%
- 할하 몽골인: 4.8%
- 호트고이드인: 3.0%
- 부랴트인: 1.6%
- 우량하이인: 0.5%
- 기타: 0.1%
3. 2. 인구 변화 추이
다음은 1956년부터 2007년까지의 몽골 국가 통계청의 인구 조사 및 추정 자료이다.년도 | 인구 | ±% | |||||||||||||||||||||||
---|---|---|---|---|---|---|---|---|---|---|---|---|---|---|---|---|---|---|---|---|---|---|---|---|---|
1956 (인구 조사) | 46,700 | — | 1963 (인구 조사) | 53,900 | +15.4% | — | 1969 (인구 조사) | 64,100 | +18.9% | — | 1979 (인구 조사) | 81,200 | +26.7% | — | 1989 (인구 조사) | 99,500 | +22.5% | — | 2000 (인구 조사) | 112,000 | +12.6% | — | 2007 (추정) | 119,053 | +6.3% |
인구 증가는 몽골의 사회경제적 발전과 궤를 같이하며, 특히 민주화 이후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인다. 이는 교육 수준 향상, 의료 서비스 접근성 개선 등과 같은 긍정적인 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3. 3. 훕스굴 출신 유명인
- 칭군자브: 1756/57년 반청나라 봉기의 지도자였다.
- 잘칸즈 후툭트 담딘바자르: 1920년대 초 몽골의 총리를 지냈다.
- 언더르 공고르: 20세기 초 몽골의 거인증 환자였다.
- 겔렌후: 발명가이자 지역 민간 전승의 영웅이다.
- 오윤게렐 체데브담바: 인권 옹호가로 활동하며 스탠퍼드 대학교 최초의 몽골 졸업생이자 몽골 국회 최초의 여성 의원이 되었다. 오윤게렐 체데브담바와 같이 인권 옹호에 힘쓴 인물은 진보 진영의 가치를 드높인 긍정적인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
- 바야르자르갈: 보존 운동가이자 설표 보존 재단 설립자이다.
헤닝 하슬룬드-크리스텐센: 덴마크 여행가이자 탐험가로, 1920년대 초 현재의 에르데네불간 솜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1~2년을 보냈다. 일부 현지인들은 칭기즈 칸의 조상인 알란 고아가 현재의 찬드마니-언더르 출신이라고 믿고 있다.
4. 산업 및 경제
후브스굴 주는 머릉 공항(ZMMN/MXV)을 통해 울란바토르와 연결되며, 서부 아이막으로 가는 항공편의 중간 기착지 역할도 한다. 머릉 공항은 포장 활주로 1개를 갖추고 있다. 관광객들은 하트갈 공항(HTM)을 이용하여 후브스굴 호수로 더욱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이 공항은 여름철에만 울란바토르를 오가는 정기 항공편을 운항한다. 머릉에서 울란바토르까지는 690km의 도로가 연결되어 있으며, 2012년 가을에는 머릉과 훕스굴 호수의 하트갈을 잇는 새로운 포장도로가 완공되었다.
4. 1. 축산업
2007년 기준으로 후브스굴주에는 약 343만 마리의 가축이 사육되었다. 종류별로는 염소가 약 151만 마리, 양이 144만 2천 마리, 소와 야크가 32만 2천 마리, 말이 15만 마리, 낙타가 2,350마리, 순록이 652마리였다.[7]4. 2. 교통
머릉 공항(ZMMN/MXV)은 포장 활주로 1개를 갖추고 있으며, 울란바토르를 오가는 정기 항공편을 제공하고 서부 아이막으로 가는 중간 기착지 역할도 수행한다.하트갈 공항(HTM)은 관광객들이 후브스굴 호수로 더욱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여름철에만 울란바토르를 오가는 정기 항공편을 운항한다.
머릉에서 울란바토르까지는 690km의 도로가 연결되어 있다. 2012년 가을에 완공된 새로운 포장도로는 머릉과 훕스굴 호수의 하트갈을 이어준다.
5. 행정 구역
1987년
(추산)
1994년
2000년
2005년
2009년
인구
(2009년)
(km²)
(/km²)
하트갈
Hatgal/Хатгалmn
7,000
3,756
2,498
2,831
2,952
2,952
911,4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