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훈몽요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훈몽요초(訓蒙要鈔)는 조선 초기의 승려 지엄(智嚴, 1464~1534)이 불교 교리와 선종의 핵심 내용을 간추려 편찬한 불교 서적입니다.
주요 내용:


  • 교학: 대승기신론을 시작으로 유식, 천태, 화엄 등 교학의 기초 개념과 교판(敎判)을 간명하게 정리했습니다.
  • 선종: 삼처전심(三處傳心)을 비롯한 선종의 요지를 담고 있습니다.
  • 간행: 1576년(선조 9년) 오대산 월정사에서 목판본으로 간행되었습니다. 울산박물관 소장본에는 금강산 표훈사의 <장로화상종선인연지도(長老和尙種善因緣之圖)>, 1660년(현종 1년) 문경 배산호(裵珊瑚)의 <백장화상청규법(百丈和尙淸規法)>, 기미년 용흥사(龍興寺)의 <승가일용식시묵언작법(僧家日用食時默言作法)>이 합철되어 있습니다.

의의:

  • 조선 초기 불교 사상 연구에 중요한 자료입니다.
  • 지엄은 서산대사의 스승으로 알려져 있으며, 조선 불교 임제종 제5대 정통을 이은 고승입니다. (2023-12-16)
  •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2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추가 정보

  • 책의 크기는 세로 24.0cm, 가로 16.5cm이며 1책 22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훈몽요초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훈몽요초
종류유형문화재
지정 번호22
지정일2011년 12월 29일
위치울산광역시 남구 두왕로 277 (신정동, 박물관)
시대조선시대
소유자양덕사
수량1책
소장울산박물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