훙둥 지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훙둥 지진은 1303년에 발생한 중국의 대규모 지진으로, 현재 산시성 링스 현 샤먼전으로 진앙이 수정되었다. 이 지진은 산시 열곡 시스템의 타이구 단층대에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모멘트 규모 8.0으로 추정된다. 훙둥 지진은 중국에서 가장 치명적인 지진 중 하나로, 자오청과 훙둥 인근 마을에서 심각한 피해와 많은 사상자를 발생시켰다. 지진으로 인해 산시성의 기반 시설이 파괴되었고, 이후 여러 지진으로 인해 복구가 지연되었다. 또한, 중국 전역의 지진 활동 증가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세기 지진 - 쇼헤이 지진
쇼헤이 지진은 1361년 일본 기나이, 구마노 등지에서 발생한 대지진으로, 사찰 파손과 쓰나미 피해를 일으켰으며, 오사카만 내륙 지진 또는 난카이 해역 거대 지진으로 추정된다. - 산시성 (산서성)의 역사 - 북한 (십국)
북한은 오대 십국 시대에 유숭이 건국한 국가로 후한의 부흥을 표방하며 요나라의 지원을 받아 후주 및 송나라와 대립하다가 979년 송나라에 멸망했다. - 산시성 (산서성)의 역사 - 조 (전국)
조는 주나라 목왕의 신하 조보의 후손인 조씨가 건국한 국가로, 춘추 시대 말 진나라 분열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며, 무령왕 때 국력이 신장되었으나 기원전 228년 진나라에 멸망했다.
훙둥 지진 | |
---|---|
지도 정보 | |
지진 정보 | |
이름 | 1303년 홍동 지진 |
발생 날짜 | 1303년 9월 25일 |
지속 시간 | 알 수 없음 |
규모 | 진도 7.2–7.6 |
깊이 | 알 수 없음 |
위치 | 36.8 |
유형 | 알 수 없음 |
영향 | 알 수 없음 |
피해 | 알 수 없음 |
진도 (MMI) | 수정 메르칼리 진도 11 |
최대 지반 가속도 (PGA) | 알 수 없음 |
쓰나미 | 알 수 없음 |
산사태 | 알 수 없음 |
전진 | 알 수 없음 |
여진 | 알 수 없음 |
사망자 | 270,000명 |
2. 지질학적 배경
훙둥 지진은 산시 열곡 시스템의 일부인 산시성 타이구 단층대에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2] 주변 지역의 단층 절벽과 융기가 이러한 추정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제시된다.[2] 이 타이구 단층대는 1303년 지진 이후로는 뚜렷한 활동이 관측되지 않았다.[2] 지진의 정확한 진앙과 규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
2. 1. 진앙
과거에는 진앙이 현재의 훙둥 현에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1] 그러나 2018년 연구를 통해 진앙은 현재 산시성 링스 현 남서쪽에 위치한 샤먼전으로 수정되었다.[1] 이 지진은 산시 열곡 시스템의 일부인 산시성 타이구 단층대에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주변 지역의 단층 절벽과 융기가 그 증거로 제시된다.[2] 타이구 단층대는 1303년 지진 이후 측정 가능한 활동을 보이지 않고 있다.[2] 현대 지진학자들은 정확한 지질 데이터가 부족하여 확실하지는 않지만, 지진의 규모를 모멘트 규모 8.0으로 계산했다.[2][4]2. 2. 지진 규모
2018년에 진앙은 현재 산시성 링스 현의 남서쪽에 위치한 샤먼전으로 수정되었다.[1] 이전에는 진앙이 60km 남쪽, 현재의 훙둥 현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1] 이 지진은 산시 열곡 시스템의 일부인 산시성 타이구 단층대에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 지역 단층의 여러 절벽과 융기가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로 제시된다. 타이구 단층대는 1303년 지진 이후 측정 가능한 활동을 보이지 않았다.[2] 현대 지진학자들은 정확한 지질 데이터 부족으로 확실하게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지진의 규모를 모멘트 규모 8.0으로 계산했다.[2][4]3. 피해 및 사상자
1303년 훙둥 지진은 중국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지진 중 하나이자, 사망자 수 기준으로도 중국의 주요 재해로 기록되었다.[3] 이 지진은 산시성 일대에 광범위한 파괴를 일으켰으며, 특히 건물 붕괴와 황토 동굴 함몰로 인해 수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3] 또한 산사태, 토양 침강, 액상화 등으로 인한 지형 변화도 보고되었다.[3][4] 피해 복구는 더디게 진행되었으며, 이 지진은 이후 수 세기에 걸친 중국 내 지진 활동 증가의 시작점으로 평가받는다.[3][4]
3. 1. 인명 피해
이 지진은 중국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지진 중 하나이자, 사망자 수 기준으로도 중국의 주요 재해로 기록되었다.자오청과 훙둥 인근 마을에서는 모든 주요 사찰과 학교 건물이 무너졌고, 마을 인구의 절반 이상이 목숨을 잃었다. 산시성 후오 현의 모든 건물 역시 파괴되었다.[3] 타이위안과 핑양에서는 약 10만 채의 가옥이 붕괴되었으며, 2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무너진 건물과 황토 동굴에 갇혀 사망했다. 이는 253년 뒤에 발생한 1556년 산시 지진에서 나타난 피해 상황과 유사했다. 땅이 갈라져 작은 강이 생겨났고, 산시성의 많은 운하가 도시 성벽과 함께 파괴되었다. 일부 기록에 따르면 지진으로 산과 언덕이 평탄해지면서 지역의 지형 자체가 변화했다고 한다.[3] 이러한 대규모 지형 변화는 지진으로 인한 산사태, 토양 침강 및 액상화 현상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4]
3. 2. 재산 피해
자오청과 훙둥 인근 마을에서는 모든 주요 사찰과 학교 건물이 붕괴되었다. 산시성 후오 현의 모든 건물은 파괴되었다.[3] 타이위안과 핑양에서는 거의 10만 채의 가옥이 붕괴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붕괴된 건물과 황토 동굴에 갇혔다. 이는 253년 후 1556년 산시 지진에서 다시 발생할 상황과 유사했다. 땅이 갈라진 틈은 작은 강으로 변했고, 산시성의 많은 운하가 도시 성벽과 함께 파괴되었다. 일부 보고에 따르면 지진으로 산과 언덕이 평평해지면서 해당 지역의 지형이 바뀌었다고 한다.[3] 이러한 대규모 환경 변화는 흔들림으로 인한 산사태와 토양 침강 및 액상화 현상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4] 산시성의 기반 시설 파괴로 인해 재건은 일반적으로 느렸으며, 이후 몇 년 동안 여러 차례의 다른 지진으로 인해 중단되었다.[3]3. 3. 2차 피해
자오청과 훙둥 인근 마을에서는 주요 중국 사찰과 학교 건물이 모두 무너졌고, 마을 인구의 절반 이상이 목숨을 잃었다. 산시성 후오 현의 모든 건물 역시 파괴되었다.[3] 타이위안과 핑양에서는 약 10만 채의 집이 무너졌으며, 2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무너진 건물과 황토 동굴에 갇혀 사망했다. 이는 253년 뒤 1556년 산시 지진 때와 비슷한 참상이었다. 땅이 갈라진 틈은 작은 강으로 변했고, 산시성의 많은 운하가 도시 성벽과 함께 파괴되었다. 일부 기록에 따르면 지진으로 산과 언덕이 평평해지면서 지형 자체가 바뀌었다고도 한다.[3] 이러한 대규모 지형 변화는 지진으로 인한 산사태, 토양 침강, 액상화 현상 때문에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4] 산시성의 기반 시설 파괴로 인해 복구 작업은 더디게 진행되었으며, 이후 몇 년간 이어진 여러 차례의 다른 지진으로 더욱 어려움을 겪었다.[3]1303년 훙둥 지진은 현재 해당 단층 시스템에서 발생한 마지막 지진이었지만, 이후 수 세기에 걸쳐 중국 전역에서 지진 활동이 증가하는 시작점이 되었다.[4] 이는 20세기 말까지 이어진 여러 지진 중 첫 번째였으며, 중국의 지진이 황토 고원 근처에서 자주 발생하는 경향을 보여주는 초기 사례 중 하나였다.
4. 지진 이후
이 지진은 중국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지진 중 하나였으며, 사망자 수 기준으로도 중국의 주요 재해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지진으로 인해 산시성 일대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다. 자오청, 훙둥, 후오 현 등 여러 지역에서 건물 붕괴와 인명 피해가 속출했으며, 타이위안과 핑양에서도 수많은 가옥이 파괴되고 인명 손실이 컸다.[3] 이는 훗날 1556년 산시 지진에서도 유사한 피해 양상이 나타났다. 지진은 단순한 건물 파괴를 넘어 산사태, 토양 침강, 액상화 등을 유발하며 지형 변화까지 일으켰고, 파괴된 기반 시설로 인해 복구는 더디게 진행되었다.[3][4]
1303년 훙둥 지진은 해당 단층 시스템에서 발생한 마지막 지진이었지만, 이후 수 세기 동안 중국 전역에서 지진 활동이 증가하는 시작점이 되었다.[4] 또한 이 지진은 중국의 지진이 황토 고원 근처에서 자주 발생하는 경향을 보여주는 초기 사례 중 하나로 평가된다.
4. 1. 더딘 복구
지진으로 인한 피해는 막대했다. 자오청과 훙둥 인근 마을에서는 주요 사찰과 학교 건물이 모두 무너졌고, 인구 절반 이상이 목숨을 잃었다. 산시성 후오 현의 모든 건물도 파괴되었다.[3] 타이위안과 핑양에서는 약 10만 채의 가옥이 붕괴되었으며, 2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무너진 건물과 황토 동굴에 갇혀 사망했다. 이는 훗날 1556년 산시 지진에서 다시 나타나는 비극적인 상황과 유사했다. 땅이 갈라져 작은 강이 생겨났고, 산시성의 많은 운하가 도시 성벽과 함께 파괴되었다. 일부 기록에 따르면 지진으로 산과 언덕이 평탄해지면서 지역의 지형 자체가 바뀌었다고 전해진다.[3] 이러한 대규모 지형 변화는 지진으로 인한 산사태, 토양 침강, 액상화 현상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4]이처럼 산시성의 기반 시설이 완전히 파괴되었기 때문에 복구 작업은 매우 더디게 진행될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이후 몇 년 동안 여러 차례 다른 지진이 발생하면서 복구는 더욱 지연되었다.[3]
1303년 훙둥 지진은 해당 단층 시스템에서 발생한 마지막 지진으로 기록되었지만, 이후 수 세기 동안 중국 전역에서 지진 활동이 증가하는 시작점이 되었다.[4] 또한 이 지진은 중국의 지진이 황토 고원 근처에서 자주 발생하는 경향을 보여주는 여러 사례 중 첫 번째로 기록되었다.
4. 2. 지진 활동 증가
1303년 훙둥 지진은 해당 단층 시스템에서 발생한 마지막 지진으로 기록되었지만, 이 지진을 기점으로 중국 전역에서 수 세기에 걸쳐 지진 활동이 증가하는 시기가 시작되었다.[4] 이 지진은 20세기 말까지 이어진 여러 지진들 중 첫 번째 사례로 여겨진다. 또한, 훙둥 지진은 중국의 지진이 황토고원 근처에서 자주 발생하는 경향을 보여주는 초기 사례 중 하나이다.참조
[1]
논문
1303 年洪洞地震宏观震中修订的新证据
https://www.research[...]
2018
[2]
논문
Holocene activities of the Taigu fault zone, Shanxi Province, and their relations with the 1303 Hongdong ''M''=8 earthquake
[3]
웹사이트
Ruins of the Hongdong Earthquake(1303)
http://www.kepu.net.[...]
2015-11-28
[4]
서적
Continental Intraplate Earthquakes: Science, Hazard, and Policy Issues
https://books.googl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2007-01-01
[5]
웹인용
china virtual museums_quake
http://smc.kisti.re.[...]
2021-06-06
[6]
간행물
Significant Earthquake Database
doi:10.7289/V5TD9V7K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1972
[7]
저널
https://jglobal.j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