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석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흑석역은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동에 있는 서울 지하철 9호선 전철역이다. 2009년 7월 24일 9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인근의 중앙대학교와의 역명 관련 논쟁 끝에 흑석(중앙대입구)역으로 명명되었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9호선 일반 열차가 운행된다. 주변에는 중앙대학교, 중앙대학교병원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동작구의 전철역 - 서울지방병무청역
서울지방병무청역은 2022년 5월 28일에 개통된 서울 경전철 신림선의 역으로,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서울지방병무청 등이 주변에 위치한다. - 서울 동작구의 전철역 - 동작역
동작(현충원)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9호선이 환승되는 역으로, 국립서울현충원과 인접해 있으며, 4호선은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 9호선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고 두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역 - 선유도역
선유도역은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지하역으로 신목동역과 당산역 사이에 있으며, 2면 4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중앙 2선의 급행열차 통과선을 갖추고 2009년 7월 24일 개통하여 선유도공원 등 주변 시설 이용객 증가와 함께 꾸준히 이용객 수가 늘고 있다. -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역 - 종합운동장역 (서울)
종합운동장역은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과 9호선이 지나가며, 1980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15년 9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 2009년 개업한 철도역 - 선유도역
선유도역은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지하역으로 신목동역과 당산역 사이에 있으며, 2면 4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중앙 2선의 급행열차 통과선을 갖추고 2009년 7월 24일 개통하여 선유도공원 등 주변 시설 이용객 증가와 함께 꾸준히 이용객 수가 늘고 있다. - 2009년 개업한 철도역 - 마라빌라역
마라빌라역은 이스트 3번가에 있는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금선 역으로, 두 개의 선로와 섬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전 5시부터 다음날 오전 12시 15분까지 운행한다.
흑석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역 이름 (한국어) | 흑석역 |
역 이름 (한자) | 黑石驛 |
부역명 | 중앙대입구 |
로마자 표기 | Heukseongnyeok |
영어 역명 | Heukseok (Chung-Ang Univ.) |
역 번호 | 919 |
![]() | |
주소 |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지하90 (흑석동 115-1) |
좌표 | 37°30′32″N 126°57′49″E |
운영 정보 | |
운영 기관 | 서울시메트로9호선 (건설/관리 및 열차 운행), 서울9호선운영 (역무 관리 및 선로 유지보수운영) |
노선 | 서울 지하철 9호선 |
역 구조 | 지하역 |
승강장 |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
개업일 | 2009년 7월 24일 |
이용 정보 | |
2015년 승차 인원 | 11,255명 |
2015년 승강 인원 | 22,721명 |
노선 정보 |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개화 기점 21.1 km |
이전 역 | 노들역 (918), 1.1km |
다음 역 | 동작역 (920), 1.4km |
버스 정보 | |
버스 노선 | 6000번 (서울), 6016번 (서울) |
2. 역명 논쟁
역 이름을 정할 당시 인근에 위치한 중앙대학교와 역명 제정에 관한 논쟁이 있었다. 중앙대학교 측은 '중앙대역'이나 '중앙대흑석역'을 건의하였으나, 역명은 흑석으로 제정되었다. 이후 서울시 지명위원회에서 부역명으로 '중앙대입구'를 병기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와 동시에 7호선 상도역의 부역명이었던 '중앙대앞'은 폐지되었다.[1]
2008년 9월 18일 '''흑석(중앙대입구)역'''으로 역명이 결정되었다.[7] 2009년 7월 24일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신논현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이 개시되었다.
흑석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으로, 전면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개찰구는 1곳, 화장실은 개찰구 밖에 1곳 있으며, 출구는 4번까지 있다.
3. 역사
4. 역 구조
4. 1. 승강장
흑석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 구조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에서 개찰구로 연결되는 계단과 엘리베이터는 승강장 중앙에서 노들역 방향으로 약간 치우쳐 있다.
G영어 | 지상층 | 출구 |
---|---|---|
L1영어 | 대합실 | 고객 서비스, 상점, 자동 판매기, 현금 자동 입출금기 |
L2영어 | 승강장 | 상대식 승강장, 오른쪽 문 열림 |
서쪽 방면 | 9호선 개화 방면 (노들역) | |
동쪽 방면 | 9호선 중앙보훈병원 방면 (동작역) | |
승강장 | 상대식 승강장, 오른쪽 문 열림 |
5. 역 주변
6. 이용객 변동
2009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9년 7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 161일치만이 반영된 것이다.[8]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9호선 | 승차 | 5,505 | 7,194 | 8,466 | 9,758 | 10,926 | 11,563 | 11,254 | 10,727 | 10,106 |
하차 | 5,523 | 7,226 | 8,481 | 9,875 | 11,117 | 11,791 | 11,465 | 11,095 | 10,404 |
7. 인접한 역
노선 | 전역 | 전방면 | 후역 | 후방면 |
---|---|---|---|---|
서울 지하철 9호선 | 노들 | 개화 방면 | 동작 | 중앙보훈병원 방면 |
서울 지하철 9호선 일반 열차가 노들역과 동작역 사이에 정차한다. 9호선 급행 열차는 이 역을 통과한다. |
참조
[1]
웹사이트
서울메트로9호선 > 알림/소식 > 자료실
http://www.metro9.co[...]
[2]
문서
건설/관리 및 열차 운행 업무
[3]
문서
역무 관리 및 선로 유지보수운영 업무
[4]
문서
서울특별시고시 제2008-317호
https://event.seoul.[...]
[5]
웨이백
9호선 영업거리표
http://www.metro9.co[...]
2016-03-05
[6]
문서
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 소속의 모든 역의 괄호 안에 쓰는 부분 역시 서울시 고시로 정한 공식 역명이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부역명 제도와는 다르다.
[7]
문서
서울특별시고시 제2008-317호
https://event.seoul.[...]
2008-09-18
[8]
웹인용
서울시메트로9호선 > 알림/소식 > 자료실
https://web.archive.[...]
2016-09-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