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흰배박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흰배박쥐는 애기박쥐과에 속하는 박쥐의 일종이다. 몸길이는 약 6.2~7.9cm, 전완장은 약 4.5~6cm이며, 건조하거나 반건조 서식지, 특히 물 근처 산악 또는 암석 지역에서 발견된다. 곤충을 주로 먹지만, 계절에 따라 선인장의 꿀이나 열매도 섭취하며, 북미에서 가장 독성이 강한 아리조나 껍질전갈을 잡아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흰배박쥐는 반향정위 외에도 큰 귀를 사용하여 먹이를 찾기도 하며, 번식기는 10월부터 2월까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6년 기재된 포유류 - 붉은배수레잎원숭이
    붉은배수레잎원숭이는 인도네시아 멘타와이 제도에 서식하는 멸종 위기종으로, 수컷은 생식기 주변 털로 암컷과 구별되며 숲에서 잎, 과일, 씨앗 등을 섭취하고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보존 노력이 요구된다.
  • 1856년 기재된 포유류 - 그라나다멧토끼
    그라나다멧토끼는 털 색깔과 크기에 따라 세 개의 아종으로 나뉘며, 흔한 아종은 이베리아 반도와 포르투갈에, 다른 아종은 이베리아 반도 북서부에 서식하고, 또 다른 아종은 멸종되었거나 희귀한 상태로 추정된다.
  • 애기박쥐과 - 원반발박쥐
    원반발박쥐는 흡반박쥐과 흡반박쥐속에 속하며, 마다가스카르흡반박쥐와 타이완흡반박쥐 2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타이완흡반박쥐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애기박쥐과 - 몰로니흉내박쥐
    몰로니흉내박쥐는 정보가 없는 박쥐의 일종으로, 학술적 기재나 생태 정보가 없어 실체가 확인되지 않은 명칭으로 보인다.
  • 생물 계통도에 관한 - 눈표범
    눈표범은 고양이과 동물로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고산 지대에 서식하며, 길고 두꺼운 털, 큰 발, 긴 꼬리가 특징이며, 유전자 분석 결과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종으로 밝혀졌으며, 밀렵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여러 국가에서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생물 계통도에 관한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흰배박쥐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흰배박쥐
상태관심 필요
상태 기준IUCN3.1
학명Antrozous pallidus
명명자(LeConte, 1856)
흰배박쥐속 (Antrozous)
속 명명자H. Allen, 1862
애기박쥐과
아목양박쥐아목
분포
흰배박쥐 분포 지역
추가 정보
참고 문헌""
""
공식 지정캘리포니아 주의 공식 박쥐

2. 계통 분류

애기박쥐아과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 흰배박쥐족노랑박쥐속과 함께 하나의 분기군을 형성한다.[24] 이 분기군은 애기박쥐아과 내의 다른 주요 족들, 예를 들어 문둥이박쥐족, 저녁박쥐족, 애기박쥐족 등과 구별되는 계통학적 위치를 가진다.[24]

2. 1. 하위 속

흰배박쥐속(Scotophiluslat)은 애기박쥐아과(Vespertilioninaelat)의 흰배박쥐족(Scotophilinilat)에 속하는 박쥐 속이다.[24] 이 족에는 알렌노랑박쥐속(Rhogeessalat), 아메리카노랑박쥐속(Lasiuruslat), 반겔더박쥐속(Baeodonlat) 등이 포함되며, 계통 분류상 흰배박쥐속은 반겔더박쥐속과 가장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24]

3. 형태

흰배박쥐는 머리와 몸통 길이를 합하여 약 6.2cm에서 7.9cm 사이이고, 전완장은 약 4.5cm에서 6cm 사이이다.[8] 꼬리 길이는 약 3.9cm에서 4.9cm 사이이며,[6][7] 날개를 편 길이는 38cm에서 40cm 정도이다. 몸무게는 14~25g이다. 이 박쥐는 크고 앞으로 향한 긴 귀(2.5cm 이상)를 가지고 있다. 털은 뿌리 부분이 연한 색을 띠며, 등 쪽은 갈색이고 배 쪽은 밝은 색이다. 주둥이는 뭉툭하며 돼지 코와 비슷한 모양이다.[6] 치식은 위턱에 앞니 1쌍, 송곳니 1쌍, 작은어금니 1쌍, 큰어금니 3쌍이 있고, 아래턱에 앞니 2쌍, 송곳니 1쌍, 작은어금니 2쌍, 큰어금니 3쌍이 있어 총 28개의 이빨을 가진다.[8] 수컷의 음경골(Baculum)은 쐐기 또는 삽 모양이며, 일반적으로 짧고 좁은 기저부가 넓어지다가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이 뼈는 중간 부분 주변에 특징적으로 아래쪽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이 있으며, 기저부와 끝부분은 융기되어 있다.[9]

4. 생태

흰배박쥐(''Antrozous pallidus'')는 주로 북아메리카건조하거나 반건조한 지역에 서식하며, 특히 물 근처의 산악 또는 암석 지대에서 흔히 발견된다.[1] 낮에는 바위 틈새나 건물 등 은신처에서 휴식을 취하고 밤에 활동하며, 겨울에는 동면에 들어가기도 한다.[1]

주된 먹이는 곤충과 같은 절지동물이며, 땅 위에서 먹이를 잡아 휴식처로 가져가 먹는 특징을 보인다.[6][1] 특히 독성이 강한 아리조나껍질전갈을 먹거나 선인장의 꿀과 열매를 먹는 등 다양한 식성을 가지고 있다.[10][11][12] 또한, 환경 조건에 따라 체온을 조절하는 이형온도 동물이며,[14] 서식지의 먹이 환경에 따라 몸 크기가 달라지는 경향이 있다.[15]

4. 1. 서식지

애리조나주 산타리타 산맥 마데라 캐니언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는 ''A. pallidus'' 무리


흰배박쥐(''Antrozous pallidus'')는 주로 건조하거나 반건조한 서식지, 특히 물 근처의 산악 또는 암석 지역에서 발견된다.[1] 또한, 개방적이고 초목이 드문 초원에서도 서식한다.[1]

낮 동안에는 주로 기와 지붕, 나무껍질이 벗겨진 나무, 또는 암석 노두와 같은 틈새에서 휴식을 취한다.[1] 밤에는 먹이를 사냥하는 곳과 더 가까운 야간 휴식처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야간 휴식처는 낮 휴식처보다 상대적으로 덜 보호된 장소이며, 때로는 개방된 베란다 등을 이용하기도 한다.[1] 겨울에는 건물, 동굴, 또는 바위 틈에서 짧은 기간 동안 동면 상태에 들어갈 수 있다.[1]

흰배박쥐의 크기는 서식하는 환경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사막과 같이 먹이 자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지역(낮은 일차 생산성)에 사는 개체들은 몸집이 작은 경향이 있다. 반대로, 해안 지역처럼 먹이가 풍부한 곳(높은 일차 생산성)에 서식하는 개체들은 몸집이 더 크다. 몸집이 큰 흰배박쥐는 더 크고 단단한 먹이를 먹기에 유리한 두개골 구조를 가진다.[15]

4. 2. 먹이

흰배박쥐는 주로 곤충을 먹는 동물로, 귀뚜라미와 같은 절지동물을 즐겨 먹는다.[6][1] 매일 밤 자신의 체중의 절반에 달하는 양을 섭취할 수 있다.[6] 흰배박쥐는 땅 위에서 먹이를 잡은 뒤 밤 동안 머무는 휴식처로 가져가 먹는 수집형 포식자이다.[6][1] 먹이를 찾을 때는 보통 땅에서 1m에서 2m 정도의 낮은 높이로 비행한다.[6][1]

특히 주목할 점은 북미에서 가장 독성이 강한 전갈로 알려진 아리조나껍질전갈을 먹는다는 것이다. 이 전갈의 독침은 사람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10] 흰배박쥐는 전압-개폐성 나트륨 채널(voltage-gated sodium channel)의 아미노산을 바꾸는 하나 이상의 미스센스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이 전갈 독에 대한 내성을 갖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10]

주로 곤충을 먹지만, 식단에 어느 정도 유연성을 보인다. 봄철에는 멕시코 기둥 선인장, 특히 카르돈 선인장(Pachycereus pringlei)의 꿀을 먹고,[11] 여름에는 선인장 열매를 먹기도 한다.[12] 또한 흰배박쥐는 선인장 꿀을 두고 경쟁하는 다른 꿀 섭취 박쥐들보다 더 효과적인 수분 매개체 역할을 한다.[13]

흰배박쥐의 크기는 서식지에 따라 다른데, 이는 먹이 섭취와 관련이 있다. 사막과 같이 먹이가 부족한 지역의 박쥐는 크기가 작은 경향이 있고, 해안 지역처럼 먹이가 풍부한 곳의 박쥐는 더 크다. 몸집이 큰 흰배박쥐는 두개골 구조상 더 크고 단단한 먹이를 먹기에 유리하다.[15]

4. 3. 동면

다른 많은 박쥐 종과 마찬가지로 흰배박쥐는 이형온도 동물이며, 연중 시기에 따라 변온동물 또는 항온동물일 수 있다. 특히 겨울철 동면 및 휴식 시에는 자신의 체온을 조절하여 주변 환경과 평형을 이룰 수 있다.[14]

5. 행동 및 자연사

흰배박쥐의 날개폭


흰배박쥐의 번식, 먹이 탐색 방식, 그리고 화석 기록 등 구체적인 행동과 생태는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다룬다.

5. 1. 번식

번식기는 10월부터 2월까지로, 박쥐들이 동면하는 시기와 일치한다. 수컷 박쥐는 봄과 여름에 정자를 저장하는데, 이 과정은 낮 시간이 줄어듦에 따라 멜라토닌의 변화에 의해 조절된다. 교미는 가을에 일어나고, 암컷은 봄까지 정자를 저장했다가 동면에서 깨어나 발정을 경험한다.[16] 암컷 박쥐는 6월 초에 새끼 한두 마리를 낳는데, 출생 시 체중은 약 3g에서 3.5g이며, 4~5주 후에는 짧은 비행이 가능해진다. 새끼들은 40~45일 후에 이유(젖떼기)를 한다.[17] 약 8주령이 되어야 성체 크기에 도달하고, 약 2년 후에 성적으로 성숙한다.

5. 2. 반향정위

대부분의 박쥐 종처럼, 흰배박쥐는 먹이를 찾거나 서식지에서 먹이 활동 장소로 이동할 때 반향정위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먹이를 찾을 때는 반향정위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 큰 귀를 이용해 땅 위의 곤충 소리를 듣고 위치를 파악하는 경우가 많다.[18] 흰배박쥐는 먹잇감을 주워 먹는 사냥꾼(gleaner)으로서, 사냥 시 반향정위보다는 먹이가 내는 소리와 같은 청각 신호에 주로 의존한다. 이 때문에 교통 소음과 같은 인위적인 소음 공해가 서식지에 증가하면 먹이 탐색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아 효율성이 최대 3배까지 감소할 수 있다.[19]

5. 3. 화석 기록

흰배박쥐는 미국 서부와 쿠바의 후기 플라이스토세 지층에서 발견된 화석 기록에서 확인되었다.[8]

참조

[1] IUCN Antrozous pallidus 2021-11-11
[2] 저널 A reappraisal of interfamilial relationships of bats
[3] 서적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4] 저널 Tribal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Vespertilioninae (Chiroptera: Vespertilionidae) based on mitochondrial and nuclear sequence data
[5] 웹사이트 California Now Has an Official State Bat and Mushroom https://www.sunset.c[...] 2024-01-03
[6] 서적 Mammals of North America Peterson Field Guides
[7] 웹사이트 Animal Fact Sheet: Pallid bat https://www.desertmu[...]
[8] 저널 Antrozous pallidus 1983-12-15
[9] 저널 Additional Data on the Bacula of North American Bats 1955
[10] 저널 Arizona bark scorpion venom resistance in the pallid bat, Antrozous pallidus
[11] 저널 Facultative Nectar-Feeding Behavior in a Gleaning Insectivorous Bat (Antrozous pallidus) 2009-10-15
[12] 저널 Using behavioral and stable isotope data to quantify rare dietary plasticity in a temperate bat https://academic.oup[...] 2017-03-21
[13] 저널 Insectivorous bat pollinates columnar cactus more effectively per visit than specialized nectar bat http://datadryad.org[...] 2012-12-03
[14] 웹사이트 Antrozous pallidus pallid bat http://animaldiversi[...]
[15] 저널 Primary productivity explains size variation across the Pallid bat's western geographic range 2018-06-01
[16] 저널 Melatonin influences the reproductive physiology of male pallid bats 1984-03-01
[17] 저널 Litter Size and Postnatal Growth Rate in the Pallid Bat, Antrozous pallidus https://academic.oup[...] 1984-05-31
[18] 웹사이트 California Wildlife Habitat Relationships System -- Pallid Bat http://nrm.dfg.ca.go[...]
[19] 저널 Noise Reduces Foraging Efficiency in Pallid Bats (Antrozous pallidus) 2015-11-01
[20] IUCN Antrozous pallidus
[21] 저널 A reappraisal of interfamilial relationships of bats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22] 서적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3] 저널 Tribal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Vespertilioninae (Chiroptera: Vespertilionidae) based on mitochondrial and nuclear sequence data
[24] 저널 Tribal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Vespertilioninae (Chiroptera: Vespertilionidae) based on mitochondrial and nuclear sequence dat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