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가시홋카이도 크레인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가시홋카이도 크레인스는 일본의 아이스하키 팀이다. 1949년 쥬죠제지 구시로 아이스하키부로 창단되었으며, 니혼제지 크레인스를 거쳐 2019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아시아 리그 아이스하키에서 4번, 전일본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에서 7번 우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홋카이도의 스포츠팀 - 레드이글스 홋카이도
레드이글스 홋카이도는 홋카이도를 연고로 하는 아이스하키 팀으로, 일본 아이스하키 리그 23회 우승, 아시아 리그 아이스하키 2회 우승, 전일본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34회 우승, 아이스하키 재팬 컵 16회 우승을 기록하며 지역 사회에 기여하고 있다. - 1949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에드먼턴 엘크스
에드먼턴 엘크스는 1895년 창단된 캐나다 풋볼 리그(CFL)의 프로 풋볼팀으로, 14번의 그레이 컵 우승을 기록하고 워렌 문, 기즈모 윌리엄스 등 명예의 전당 헌액 선수들을 배출했다. - 1949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신시내티 모호크스
신시내티 모호크스는 1947년부터 1952년까지 신시내티 가든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했던 아이스하키 팀으로, AHL과 IHL 리그에 참가하여 IHL에서는 5년 연속 리그 1위를 달성하는 전성기를 누렸다.
히가시홋카이도 크레인스 | |
---|---|
기본 정보 | |
![]() | |
팀 명칭 | 닛폰 제지 크레인스 |
연고지 | 구시로시, 홋카이도 |
리그 | (정보 없음) |
컨퍼런스 | (정보 없음) |
디비전 | (정보 없음) |
해체 | 2019년 |
운영 기간 | 1949년–2019년 |
홈 경기장 | 구시로 아이스 아레나 |
팀 컬러 | 검정, 빨강, 흰색 |
구단주 | 닛폰 제지 그룹 |
단장 | (정보 없음) |
감독 | (정보 없음) |
주장 | (정보 없음) |
제휴 구단 | (정보 없음) |
모기업 | (정보 없음) |
팜 구단 | (정보 없음) |
웹사이트 | (정보 없음) |
2. 역사
1949년 쥬죠제지 구시로 아이스하키부라는 이름으로 창단하여 1993년 4월 니혼제지 크레인스로 팀명을 변경했다가 2018년 12월 경영난에 시달린 니혼제지가 폐부를 발표한 이후 2019년 4월 히가시홋카이도 크레인스로 팀명을 변경했다.[1]
2. 1. 창단과 초기 역사 (1949년 ~ 1993년)
1949년 쥬죠제지 구시로 아이스하키부라는 이름으로 창단하였다.[1] 1993년 쥬죠제지와 산요 코쿠사쿠 펄프가 합병하여 일본제지 그룹이 되면서 팀명을 니혼제지 크레인스로 변경했다.[1]2. 2. 니혼제지 크레인스 시대 (1993년 ~ 2019년)
1993년 주조 제지와 산요 코쿠사쿠 펄프가 합병하여 일본제지 그룹이 되면서 팀명을 니혼제지 크레인스로 변경했다.[1]아시아 리그 아이스하키 2003-04 시즌에 초대 우승을 차지했고, 이후 총 4번 우승했다.[1] 전일본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에서도 7번 우승했다.[1] 2018-19 시즌 이후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해 팀이 해체되었으며, 히가시홋카이도 크레인스로 대체되었다.[1]
2. 3. 히가시홋카이도 크레인스 시대 (2019년 ~ 현재)
2019년 4월, 니혼제지가 경영난으로 2018년 12월 폐부를 발표한 이후 히가시홋카이도 크레인스로 팀명을 변경했다.[1]1993년 '''주조 제지'''와 '''산요 코쿠사쿠 펄프'''가 합병하여 일본제지 그룹이 되었고, 이에 따라 구단은 닛폰 제지 크레인스로 팀명을 변경했었다.
닛폰 제지 크레인스 시절 아시아 리그 아이스하키에서 총 4번 우승했고, 전일본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에서 7번 우승했다. 2018-19 시즌 이후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해 팀이 해체되었으며, 히가시홋카이도 크레인스로 대체되었다.
3. 성적
히가시홋카이도 크레인스는 아시아 리그 아이스하키에서 우승 3회(2003-04, 2006-07, 2008-09), 준우승 4회(2004-05, 2007-08, 2009-10)를 기록했다. 2005-06 시즌에는 정규시즌 1위를 차지했으나 포스트시즌에서 4강에 머물렀다. 2020-21 시즌은 코로나19 범유행으로 리그가 전면 중단되었다.
3. 1.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
시즌 | 정규시즌 | 포스트시즌 |
---|---|---|
2003-04 | 우승 | (포스트시즌 없었음) |
2004-05 | 1위 | 준우승 |
2005-06 | 1위 | 4강 |
2006-07 | 1위 | 우승 |
2007-08 | 4위 | 준우승 |
2008-09 | 4위 | 우승 |
2009-10 | 3위 | 준우승 |
2010-11 | 2위 | 4강 |
2011-12 | 4위 | 4강 |
2012-13 | 3위 | 4강 |
2013-14 | 3위 | 우승 |
2014-15 | 6위 | 진출 실패 |
2015-16 | 3위 | 4강 |
2016-17 | 5위 | 6강 |
2017-18 | 7위 | 진출 실패 |
2018-19 | 4위 | 준우승 |
2019-20 | 5위 | 진출 실패 |
2020-21 | 코로나19 범유행으로 리그 전면 중단 |
'''아시아 리그 우승''' 4회 ( 2003-04, 2006-07, 2008-09, 2013-14 )
3. 2. 전일본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전일본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에서 2006년, 2007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5년에 우승하였다.4. 과거 주요 선수
국적 | 포지션 | 선수 이름 | 일본 리그 참가 기간 |
---|---|---|---|
C | 게오르기 예브튜킨 | 1996–97 | |
D | 조엘 다이크 | 2003–2009 | |
LW | 크리스 린드버그 | 2004–05 | |
D | 데릭 플랜트 | 2005–07 | |
G | 제이미 맥레난 | 2007–08 | |
LW | 타이슨 내쉬 | 2007–08 | |
C | 켈리 페어차일드 | 2008–09 | |
D | 브래드 타일리 | 2008–09 | |
D | 피에르-올리비에 보리유 | 2009–10 | |
FW | 애쉬 골디 | 2010–11 | |
D | 마이크 매딜 | 2010–11 | |
D | 레이 디라우로 | 2011 | |
C | 타일러 모시엔코 | 2011–12 | |
RW | 존 헤치모비치 | 2011–12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