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야시추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야시추카는 차갑게 먹는 중화풍 면 요리로, 얇은 중화면에 다양한 고명과 소스를 곁들여 먹는 일본의 여름철 대표 음식이다. 1930년대에 센다이시와 도쿄에서 각각 개발된 것으로 추정되며, 류테이와 양쯔강 채관이 발상지로 여겨진다. 지역에 따라 면, 고명, 소스에 차이가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일본어 음역인 "히야시추카"로 불린다. 1975년에는 히야시추카를 옹호하는 "전일본 냉중화 애호회"가 결성되었고, 7월 7일은 "냉(冷) 중화면의 날"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식 중국 요리 - 모리오카 자자멘
모리오카 자자멘은 타카시나 칸쇼가 만주 자장면을 모티브로 개발하여 모리오카에 소개한 음식으로, 된장 베이스 소스와 우동면을 사용하며 치탄탄이라는 독특한 마무리가 특징인 모리오카의 향토 음식이다. - 일본식 중국 요리 - 차한
차한은 중국에서 기원한 볶음밥 요리로, 밥을 주재료로 다양한 재료와 양념을 넣어 볶아 만들며, 전 세계로 퍼져나가 각 지역의 특색에 맞게 변화했고, 특히 일본에서 독자적인 스타일로 발전했다. - 찬국수 - 막국수
막국수는 메밀가루로 만든 면을 주재료로 하는 한국의 국수 요리로, 냉면과 유사하지만 메밀가루 함량이 높고 채소를 많이 사용하는 특징이 있으며, 특히 강원도 지역의 향토 음식으로 알려져 지역 문화를 대표한다. - 찬국수 - 기시멘
기시멘은 일본의 넓고 납작한 우동 면 요리로, 나고야 키시멘은 별도 기준이 있으며, 우동과 유사한 조리법으로 삶는 시간이 짧고 다양한 고명과 카레, 미소니코미 등으로 다채롭게 즐길 수 있으며 에도 시대부터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 라멘 - 삿포로 라멘
삿포로 라멘은 1922년 중화요리점에서 시작된 육사면에서 유래하여 돼지뼈 육수 라멘으로 발전했고, 미소 라멘이 전국적으로 알려지면서 대표적인 스타일로 자리 잡았으며, 다양한 국물과 곱슬면, 볶은 채소 고명이 특징인 홋카이도 유산이다. - 라멘 - 카레라멘
카레라멘은 일본 각 지역에서 자연 발생적으로 생겨난 라멘의 한 종류이며, 인스턴트 라면으로도 널리 퍼져 대중화되었다.
히야시추카 - [음식]에 관한 문서 | |
---|---|
요리 정보 | |
이름 | 히야시 추카 |
다른 이름 | 레이멘 |
종류 | 중국 국수 |
국가 | 일본 |
주요 재료 | 차가운 라멘 면 |
조리 정보 | |
특징 | 차가운 요리 |
주재료 | 중화면 햄 금사란 오이 토마토 |
부재료 | 닭고기찜 차슈 소금 해파리 미역 숙주나물 |
기타 정보 | |
유사 음식 | 반미엔 |
2. 역사
히야시추카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한다.[7][8][9] 1929년에 발간된 "요리 상담"에는 냉소바(히야시소바)에 대한 내용이 있으며, 1936년에 발행된 『영양과 요리』에는 삼사량면(산스리안멘)이라는 요리가 소개되었다.[10]
2. 1. 발상지
히야시추카의 발상지로 여겨지는 가게는 크게 두 곳이다. 하나는 센다이시 아오바구 니시키초의 류테이[7][8]이고, 다른 하나는 도쿄도 지요다구 칸다진보초의 양쯔강 채관[9]이다.1929년에 발간된 "요리 상담"에는 냉소바(히야시소바)에 대한 내용이 있다. 시나소바를 삶아 식초, 설탕, 얼음을 뿌리고 차슈, 오이, 락교, 죽순을 얹은 후 차가운 수프, 간장, 식초, 후추를 뿌린다고 한다.
1936년에 발행된 『영양과 요리』에는 삼사량면(산스리안멘)이라는 요리가 소개되었는데, 닭고기, 구운 돼지고기, 오이 등을 가늘게 썰어 물에 헹군 면 위에 얹고 식초, 설탕, 간장 등으로 만든 소스를 뿌리는 방식이다.[10]
센다이시 니시키마치의 류테이[7][8]에서 냉면의 원형이 발매된 것은 1937년으로 여겨진다.[7][11] 1930년이라는 설도 있다.[12] 당시 냉방이 없던 중화요리점들은 여름철 매출 감소가 심각했다. 류테이 초대 점주 요쿠라 요시오는 조합원들과 여름용 메뉴를 고안하여 1937년 "량반면"을 개발했다. 차갑게 식힌 면에 숙주, 양배추, 멘마, 토마토, 차슈를 얹고 간장 맛 소스를 뿌린 것으로, 처음에는 차가운 간장 라면과 비슷했다. 가격은 라면의 2배였으며, 센다이 칠석 축제 때 팔리는 인기 상품이 되어 연중 제공되었다. 현재도 류테이는 간장 소스나 참깨 소스를 뿌리고 재료를 다른 접시에 담은 "량반면(원조 냉면)"을 제공하고 있다.[7]
현대식 히야시추카의 원형은 오색량반면(五色涼拌麺, 오목 냉면)으로, 도쿄 간다진보초의 양쯔장차이칸에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또는 1933년에 만들어졌다.[13] 2대 오너 셔우쯔이가 상하이의 량반면과 자루 소바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한다. 다양한 재료를 접시 중앙에서 방사형으로 담는 독특한 형식은 후지산과 그 위에 쌓인 눈을 본떠 만들었다.
교토의 "중화의 사카이"는 1939년 창업 당시부터 참깨 소스를 사용한 "레이멘"을 판매하여, 관서 지방에서는 관동 이북의 "히야시추카"와는 다르게 발전했다는 설이 있다. 스가키야가 우무 국물(초간장)을 차가운 라면에 뿌린 것이 현재 수프를 사용하는 히야시추카・레이멘의 시초라는 설도 있다.
3. 특징
히야시추카는 삶은 중화면을 차갑게 식혀 다양한 고명과 함께 소스에 비벼 먹는 요리이다. 소면과 함께 여름 음식으로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연중 판매된다.
각 지역, 음식점, 제면 회사, 가정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며, 고명은 제철 재료라면 무엇이든 사용할 수 있다.
가정식, 반조리 식품, 외식 모두 하절기, 특히 점심 식사로 먹는 경향이 있으며, 여름의 풍물시로서 7월의 계절어로 사용된다. 중국 요리집 등에서 "'''냉면 시작했습니다'''"라는 안내문도 이러한 경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이다. 따라서 하계 식품으로 인식되지만, 실제로는 연중 국내 각지에서 유통된다.
3. 1. 재료 및 조리법
삶은 중화면을 냉수로 식히는 것이 특징이다.전형적으로 깊은 접시에 면을 담고, 그 위에 가늘게 썬 고기류(햄, 차슈, 찐 닭 등)와 해산물(찐 새우, 맛살, 해파리 등), 계란 지단, 여름 채소(오이나 토마토 등)와 실파를 방사형으로 보기 좋게 배치한다. 국물(간장과 식초 또는 참깨 소스 등)을 뿌리고, 겨자를 곁들인다.
지역, 음식점, 제면 회사, 가정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며, 고명은 제철 재료라면 무엇이든 사용할 수 있다. 방울 토마토나 메추리알, 장식으로 자른 삶은 달걀 등을 중앙이나 주변에 배치하기도 한다. 빻은 겨자, 고추냉이, 생강 절임, 마요네즈, 머스타드 등도 고명으로 다양하게 사용된다.
3. 2. 지역별 특징
4. 기타
히야시추카는 소면과 함께 여름 음식으로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연중 판매된다. 각 지역, 음식점, 제면 회사, 가정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며, 고명은 제철 재료라면 무엇이든 등장할 수 있다. 빻은 겨자, 고추냉이, 생강 절임, 마요네즈, 머스타드 등 다양한 고명이 사용된다.
가정식, 반조리 식품, 외식 모두 하절기, 특히 점심 식사로 먹는 경향이 있으며, 여름의 풍물시로서 7월의 계절어로 사용된다. 중국 요리집 등에서 "'''냉면 시작했습니다'''"라는 안내문도 널리 알려져 있다.
4. 1. 전일본 냉중화 애호회
1975년 야마시타 요스케, 쓰쓰이 야스타카, 타모리 등이 겨울에 히야시추카를 먹을 수 없는 것에 분개하여 '전일본 냉중화 애호회'(약칭 "전냉중")를 결성했다.[14][15]1977년과 1978년에는 '냉중화 축제'라는 행사를 개최했다.[15] 그런데 냉중화용 수프를 제조하고 축제의 후원사이기도 했던 히게타 간장에 야마시타의 형이 근무하고 있었기 때문에, '회장과 스폰서의 '''검은''' 유착' 의혹이 제기되었다.[14][15] 야마시타는 "자신이 이대로 있으면 회의 발전을 저해한다"며 제1회 '냉중화 축제'에서 사임을 표명했고, 쓰쓰이 야스타카가 2대 회장이 되었다.[14][15]
전냉중은 회보 '냉중화'를 발행했다. 회보 내용은 '하늘을 나는 냉중화'[16]와 '하늘을 나는 냉중화 part2'[17]에 정리되어 있다. 집필자는 야마시타 요스케, 쓰쓰이 야스타카, 오쿠나리 토오루, 히라오카 마사아키, 사카타 아키라, 히비노 코지, 카와노 노리오, 우에스기 키요후미, 야마구치 야스시, 다테 마사야스, 토네리 에이이치, 오카자키 히데오, 세리 나즈나, 코야마 쇼타, 이케가미 히사유키, 호리 아키라, 쿠로테츠 히로시, 아카세가와 겐페이, 타카노부 타로, 하세 쿠니오, 미나미 신보, 스에이 아키라, 하세가와 호세, 타모리, 요시미네 히데토라, 아카츠카 후지오, 타카히라 테츠로, 아사쿠라 쿄시이다.
4. 2. 냉(冷) 중화면의 날
1995년 7월 7일은 냉(冷) 중화면 애호가들에 의해 '냉(冷) 중화면의 날'로 일본 기념일 협회에 등록되었다.[1] 이날은 24절기의 소서에 해당되는 경우가 많아, 히야시추카가 가장 맛있는 계절로 여겨지기 때문이다.[1]참조
[1]
웹사이트
So-called Hiyashi-chuka (No.4) New strange food journey around Japan
http://waga.nikkei.c[...]
Nikkei
2017-06-20
[2]
웹사이트
"冷麺"
https://kotobank.jp/[...]
小学館
2016-10-12
[3]
웹사이트
いわゆる冷し中華(その4)食べ物新日本奇行
http://waga.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16-10-12
[4]
웹사이트
【衝撃】北海道で『冷やしラーメン』を頼むと『冷やし中華』が出てくる
https://sirabee.com/[...]
博報堂DYホールディングス
2016-08-04
[5]
간행물
『冷し中華はやっぱり「日本料理」だった』
http://jbpress.ismed[...]
澁川 祐子JapanBusinessPress
2011-08-12
[6]
뉴스
【なごや特走隊】冷し中華にマヨネーズ、名古屋から全国へ 起源はスガキヤ、最初は冷しラーメン
http://www.chunichi.[...]
中日新聞
2007-09-03
[7]
웹사이트
仙台発祥「冷やし中華」を通年味わえる店6選 {{!}} 【公式】仙台観光情報サイト - せんだい旅日和
https://www.sentabi.[...]
2020-03-04
[8]
웹사이트
龍亭 {{!}} 龍亭のこと
https://ryu-tei.jp/a[...]
2024-05-18
[9]
문서
揚子江菜館の五色涼拌麺
http://www.yosuko.co[...]
[10]
문서
「しゆうまいと支那そばの作り方」(昭和11年 第2巻第12号 p22山田政平)
https://www.eiyotory[...]
[11]
웹사이트
【味・旅・遊】冷やし中華のルーツ求めて 「中国料理 龍亭」の涼拌麺 仙台
https://www.sankei.c[...]
2023-07-06
[12]
서적
仙台はじめて物語
[13]
서적
世界たべもの起源事典
[14]
웹사이트
タモリや赤塚不二夫ら熱狂の「全日本冷し中華愛好会」が存在
https://www.news-pos[...]
小学館
2013-08-28
[15]
웹사이트
全冷中「冷し中華祭り」秘話
http://www.higeta.co[...]
ヒゲタ醤油
[16]
서적
空飛ぶ冷し中華
住宅新報社
1977-04
[17]
서적
空飛ぶ冷し中華 Part2
住宅新報社
1978-06
[18]
뉴스
冷やし中華MEN 孤軍奮闘
http://www.asahi.com[...]
2010-0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