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힐라는 이라크 바빌 주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 바빌론 유적 근처에 자리 잡고 있다. 10세기에 건설되었으며, 18세기에는 오스만 제국의 행정 중심지였다. 힐라는 압바스 칼리파트 멸망 이후 몽골의 침략을 피하며 문화적 중심지로 기능했고, 오스만 시대에는 발전을 이루었다. 2003년 이라크 침공 당시 격전지였으며, 이후에도 여러 차례 폭탄 테러가 발생했다. 힐라는 열대 사막 기후를 보이며, 풍부한 문화적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많은 작가와 학자를 배출했다. 바빌론 대학교 등 여러 교육 기관이 있으며, 바빌론 유적, 키시 유적 등 고고학 유적지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힐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힐라 |
지방 | 바빌론 |
위치 | 이라크 내 위치 |
면적 | 알 수 없음 |
고도 | 34m |
인구 (2018년) | 455,741명 |
![]() | |
![]() | |
![]() | |
![]() | |
![]() | |
행정 | |
정부 형태 | 알 수 없음 |
추가 정보 | |
시간대 | 알 수 없음 |
UTC 오프셋 | 알 수 없음 |
우편 번호 | 알 수 없음 |
지역 번호 | 알 수 없음 |
웹사이트 | 알 수 없음 |
2. 역사
힐라는 10세기경 유프라테스강 동쪽 강둑에 있던 알 자미아인(Al Jami'ayn) 마을 근처에 위치한다. 1101년(서기) 알 자미아인 근처에 새로운 마을이 건설되었고, 고대 바빌론에서 가져온 벽돌로 집을 지으면서 확장되었다.[1]
일부 연구자들은 힐라가 세워진 지역이 주거 시설이 없던 곳이 아니라, 알-자마인(Al-Jamain)이라는 도시가 이전에 있었다고 주장한다. 이븐 하우칼(Ibn Hawqal)의 기록에 따르면 알-자마인은 힐라 강 양쪽 강둑을 따라 펼쳐져 있었고, 405년 AH(1014년 CE)경 바누 마지드(Banu Mazid) 부족이 정착한 고대 도시 나일(Nile) 유적이 포함되어 있었다.[1]
힐라는 495년 AH(1101년 CE)에 사프 알-다울라 사드카 이븐 만수르(Sayf al-Dawla Sadqa ibn Mansur)에 의해 힐라 강 서쪽 강둑에 건설되었다. 그는 바누 마지드 가문의 거주지였던 나일 도시에서 이주했다. 그러나 사드카가 힐라를 건설하기 전 이미 알-자마인 도시가 그곳에 있었다.[1]
압바스 칼리파트 멸망과 몽골의 바그다드 침략 이후, 힐라는 학자들의 지혜 덕분에 몽골의 파괴를 피할 수 있었다. 힐라 학자들은 훌라구 칸에게 항복 의사를 표명하는 편지를 보냈고, 이는 도시와 두 성지를 보존하는 결정이었다. 바그다드 함락 후, 잘라이르 왕조는 1410년 카라 코윤루 왕조 통치 기간 동안 힐라를 수도로 삼았다.[1]
오스만 제국 시대 힐라는 디와니야 주 내의 구역(카임막암)이 되었다가 무타사리파트(mutasarrifate)로 승격되었다. 오스만 후기, 제1차 세계 대전 중 힐라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는 “다카 아키프” 봉기였다. 힐라는 억압적인 오스만 당국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고, 터키 사령관 아키프 베이의 두 차례 공격을 받았다. 두 번째 공격에서 그는 도시에 폭격을 가하여 알-타크, 알-자메인, 알-워르디야의 세 지역을 파괴했고, 힐라 출신 남성 126명이 처형되었다.[1]
1917년 3월 9일, 영국군이 힐라 시를 점령했다.[1] 1920년에는 힐라 학자들과 유력 인사들이 중요한 역할을 한 1920년 혁명이 발발했다.[1] 1920년 6월 19일, 힐라 시장의 대모스크에서 대규모 국민 회의가 열렸고, 영국은 관련자들을 체포하여 추방했다.[2] 영국은 1920년 혁명 발발 전 힐라를 군사 중심지로 삼았다.[3] 1920년 7월 24일 라란자 전투 승리 후 혁명가들은 힐라를 공격했지만, 영국의 우세와 일부 부족 지도자들의 지원 거부로 실패했다.[4]
1991년 걸프 전쟁 후, 이라크 남부에서 인민봉기가 발생하여 힐라 시까지 확산되었다.[5] 1991년 3월 3일 반군이 힐라를 장악했지만, 공화국 수비대가 반격을 개시하여 진압했다.[5]
2003년 이라크 침공 당시 2003년 4월 1일을 전후로 힐라에서 격전이 벌어졌다. 침공 후, 제1해병연대 제4대대는 방치된 타릭 권총 공장을 본부로 사용했다. 2003년 4월, 미군이 바그다드를 함락한 후 제1해병원정군(1st MEF) 사령부는 바빌론에 있는 사담 후세인의 궁전 인근에 지휘소를 설치했다.
초기 침공 이후 힐라는 비교적 평화로웠지만, 수많은 폭탄 테러의 현장이 되었다. 주요 테러 사건은 다음과 같다.
발생일 | 테러 내용 |
---|---|
2005년 2월 28일 | 의료 클리닉 밖 자동차 폭탄 테러로 125명 사망 |
2005년 5월 30일 | 자살 폭탄 테러범 2명이 시아파 경찰 31명 살해, 108명 부상 |
2005년 9월 30일 | 힐라 채소 시장에서 자동차 폭탄 폭발, 10명 사망, 30명 부상 |
2007년 1월 2일 | 자살 폭탄 테러범 2명이 시아파 민병대 집회에서 자폭, 최소 73명 사망, 160명 이상 부상 |
2007년 2월 1일 | 자살 폭탄 테러범 2명이 야외 시장에서 폭발물 투척, 최소 45명 사망, 약 150명 부상[4] |
2007년 3월 6일 | 시아파 순례자 대상 자동차 폭탄 테러 2차례 발생, 114명 사망, 최소 147명 부상 |
2010년 5월 10일 | 국가 섬유 산업 회사에서 자살 자동차 폭탄 테러 3~4차례 발생, 총 45명 사망, 140명 부상[5] |
2016년 3월 6일 | 군사 검문소에서 트럭 폭탄 테러 발생, 최소 60명 사망, 70명 이상 부상. (ISIL) 책임 주장[6] |
2. 1. 고대 역사
힐라는 고대 바빌론 유적 근처에 있다. 바빌론은 기원전 3천년기에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며, 그 후 1천 년 동안 번영하였다. 기원전 18세기에는 함무라비 제국의 중심지가 되었다. 그 후 수세기 동안 여러 제국이 바빌론을 지배하였다. 바빌론은 기원전 7세기 후반 신바빌로니아 제국 시대에 잠시 독립을 되찾았는데, 특히 네부카드네자르 2세 왕의 통치 기간이 유명하다. 그러나 기원전 6세기에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3]"바빌론"이라는 이름은 "신의 문"으로 번역된다. 수메르인들의 몰락 이후, 바빌론은 기원전 2100년경 함무라비 왕에 의해 건설된 바빌로니아 제국의 중심지로 부상했다. 이 제국은 남쪽의 아라비아만에서 북쪽의 티그리스강까지 걸쳐 있었다. 함무라비의 통치는 43년 동안 지속되었으며, 바빌로니아 문명은 번영을 누렸고 그의 통치는 황금기로 여겨진다. 바빌론의 경이로운 건축물 중 하나는 고대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여겨지는 공중정원으로, 갈대아 왕 네부카드네자르 2세가 건설하였다.[3]
이 도시에는 8개의 문이 있었는데, 가장 웅장한 것은 거대한 이슈타르 문이었으며, 도시 외곽의 큰 종교 축제 지역에 있는 마르두크 신전을 포함하고 있었다. 고대 자료에서는 바빌론을 바빌로니아(바빌론의 땅), 메소포타미아, "두 강의 땅" 등 다양한 이름으로 언급한다.[3]

2. 2. 힐라의 건설과 발전
10세기, 유프라테스강 동쪽 강둑에 알 자미아인(Al Jami'ayn) 마을이 건설되었는데, 이곳이 현재 힐라가 위치한 곳이다. 1101년(서기), 알 자미아인 근처에 새로운 마을이 건설되었다. 바빌론에서 가져온 벽돌로 집을 지으면서 힐라는 확장되었다. 18세기에는 오스만 제국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19세기에는 알-힐라(al-Hillah) 수로의 수량이 감소하여 농업 환경이 악화되어 큰 영향을 받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알-힌디야 댐(al-Hindiya Barrage)이 건설되었다.[1]일부 연구자들은 힐라가 세워진 지역이 주거 시설이 없던 곳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그 대신, 알-자마인(Al-Jamain)으로 알려진 도시가 이전에 있었다는 것이다. 사드카(Sadqa)가 힐라를 건설하기 약 150년 전에 사망한 한 목격자는 이곳을 매우 비옥한 정착지로 둘러싸인 작은 고원으로 묘사했다. 이는 4세기 AH(10세기 CE)에 살았던 이븐 하우칼(Ibn Hawqal)의 기록과 일치한다. 그는 알-자마인의 땅이 힐라 강 양쪽 강둑을 따라 펼쳐져 있었고, 405년 AH(1014년 CE)경 바누 마지드(Banu Mazid) 부족이 정착한 고대 도시 나일(Nile) 유적이 포함되어 있다고 적었다.[1]
당시 나일 도시는 알-하자즈 이븐 유수프(Al-Hajjaj ibn Yusuf)에 의해 발굴된 강변의 크고 인구가 많은 마을이었다. 반면 알-자마인은 4세기 AH에 번영하는 도시였으며, 알리 이븐 다우드 알-타누키(Ali ibn Dawood al-Tanukhi)와 같은 저명한 지도자들이 판사로 일했다. 알-자마인은 4세기 AH의 카라미타(Qaramita)의 공격과 5세기 AH 초반 카파자(Khafaja) 부족의 습격을 받았다. 역사적 기록들은 알-자마인이 힐라 건설 이전부터 중요한 도시였음을 보여준다.[1]
힐라는 495년 AH(1101년 CE)에 사프 알-다울라 사드카 이븐 만수르(Sayf al-Dawla Sadqa ibn Mansur)에 의해 힐라 강 서쪽 강둑에 건설되었다. 그는 405년 AH(1014년 CE) 이후 바누 마지드 가문의 거주지였던 나일 도시에서 이주했다. 그러나 사드카가 힐라를 건설하기 전에 이미 알-자마인 도시가 그곳에 있었다.[1]
역사적 기록을 보면, 힐라 강 우안에 위치한 힐라 지역에는 건설 시기와 건설자가 다른 두 개의 인접한 도시가 있었다. 하나는 건설자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1세기 AH 전반기에 건설된 것으로 여겨지는 알-자마인(Al-Jamain)이다. 다른 하나는 사프 알-다울라 사드카(Sayf al-Dawla Sadqa) 왕자가 495년 AH에 건설한 힐라 알-사이피야(Hillah al-Sayfiyah) 도시로, 당시 외세의 정치적, 군사적 지배를 받고 있던 이라크의 광대한 지역을 포함하는 중요한 중심지가 되었다.[1]
2. 3. 칼리프 시대와 오스만 시대
압바스 칼리파트 멸망과 몽골의 바그다드 침략 이후, 몽골은 이라크의 다른 지역을 정복할 준비를 했다. 그러나 힐라는 학자들의 지혜 덕분에 몽골의 파괴를 피할 수 있었다. 몽골군이 진입하는 모든 도시에 파괴, 약탈, 현지 법률 위반을 포함한 파멸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임을 그들은 이해했다.이에 대응하여 힐라의 저명한 학자들이 모였다. 여기에는 유명한 학자 알-힐리의 아버지인 셰이크 유수프 이븐 알리 이븐 무타히르 알-힐리, 사이이드 마즈드 알-딘 이븐 타우우스, 이븐 아비 알-가르 알-힐리가 포함되었다. 그들은 훌라구 칸에게 항복할 의사를 표명하는 편지를 보내기로 합의했다. 이 전략적인 결정은 그들의 도시와 두 개의 성지를 보존했다. 이후 사이이드 마즈드 알-딘 무하마드 이븐 타우우스는 “알-바샤라”라는 책을 저술하여 훌라구에게 바쳤다. 이로 인해 훌라구는 유프라테스 지역의 지방 통치를 사이이드 이븐 타우우스에게 돌려주고 두 개의 존경받는 성지와 힐라 자체의 안전을 보장했다. 결과적으로 힐라는 이라크의 다른 도시들이 경험한 격변 없이 이슬람 지식과 문학 유산의 보물을 지키면서 문화적, 종교적 활력의 중심지로 계속해서 기능했다. 바그다드 함락 후, 잘라이르 왕조는 812년 AH(1410년 CE), 카라 코윤루 왕조 통치 기간 동안 힐라를 수도로 삼았다.
오스만 제국 시대 동안 힐라는 디와니야 주 내의 구역(카임막암, qaimmaqam)이 되었고, 결국 무타사리파트(mutasarrifate)로 승격되었다. 오스만 관리 유수프 베이의 통치 아래, 도시는 알-자브란 지역에 1125년 AH(1713년 CE)에 건설된 위대한 힐라 모스크와 같은 공공 시설 건설을 포함하여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다. 이는 주목할 만한 역사적 랜드마크이다.
오스만 후기, 특히 제1차 세계 대전 중 힐라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는 “다카 아키프” 봉기였다. 힐라는 억압적인 오스만 당국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이로 인해 터키 사령관 아키프 베이의 두 차례 공격이 있었다. 그의 첫 번째 작전은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그러나 그는 1916년 알-키플의 그의 진영에서 더 큰 병력과 더 발전된 무기를 가지고 돌아왔다. 두 번째 공격에서 그는 도시에 폭격을 가하여 알-타크, 알-자메인, 알-워르디야의 세 지역을 파괴했다. 이 작전으로 힐라 출신 남성 126명이 처형되었고, 많은 여성들이 포로로 잡혀 아나톨리아로 끌려가 노예가 되었다. 이로 인해 남은 주민들은 도망칠 수밖에 없었다.
2. 4. 현대 이라크
1917년 3월 9일, 영국군이 힐라 시를 점령했다.[1] 1920년에는 힐라의 저명한 학자들과 유력 인사들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1920년 혁명이 발발했다.[1] 혁명 이후, 문학적 감정은 영국에 대한 반대라는 국가적 정치적 감정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문화 및 정치 협회가 설립되었다.[1]힐라는 1919년 2월 바그다드에서 독립 수호 협회가 설립된 직후 지부를 설립한 몇 안 되는 이라크 도시 중 하나였다.[2] 이 협회에는 지부장으로 임명된 무함마드 마흐디 알바시르(Muhammad Mahdi al-Basir) 시인과 라우프 알-아민(Ra'uf al-Amin), 무함마드 바키르 알-힐리(Muhammad Baqir al-Hilli) 등 정치 활동에 참여한 저명한 지역 인사들이 포함되었다.[2]
1920년 6월 19일, 힐라 시장의 대모스크에서 대규모 국민 회의가 열렸다.[2] 무함마드 알-슈하이브는 이라크 국민들에게 정당한 권리를 평화적으로 요구하도록 촉구하는 종교 지도자 시라지(Shirazi)의 편지를 낭독했다.[2] 낭독 후, 라우프 알-아민과 사이드 압둘 살람 알-하피즈는 이라크의 독립을 촉구하고 압둘라 왕자를 왕으로 선포하는 열정적인 연설을 했다.[2] 영국은 이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라우프 알-아민, 사이드 압둘 살람 알-하피즈 등을 체포하여 아라비아 만의 헹검섬으로 추방했다.[3]
영국은 1920년 혁명 발발 전에 힐라를 군사 중심지로 삼고 병력을 증강했다.[3] 혁명가들의 승리 후, 유프라테스 지역 주둔 영국군 대부분은 힐라로 철수했으며, 1920년 8월까지 중부 유프라테스 지역의 마지막 영국 거점이 되었다.[3] 1920년 7월 24일 라란자 전투에서 승리한 혁명가들은 7월 말 힐라를 공격했지만, 영국의 우세와 일부 부족 지도자들의 지원 거부로 실패했다.[4]
1991년 걸프 전쟁 종전 후, 이라크 남부에서 인민봉기가 발생하여 힐라 시까지 확산되었다.[5] 1991년 3월 3일 반군이 힐라를 장악하고 바스당 당원들을 축출했지만, 공화국 수비대가 군 부대의 지원을 받아 반격을 개시하여 도시를 장악하고 반란을 진압했다.[5]
2. 5. 2003년 미국 침공

힐라는 2003년 이라크 침공 당시 2003년 4월 1일을 전후로 상당한 격전이 벌어진 곳이다. 이라크군 사상자 수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미국 육군 제2-70기갑연대는 수백 명의 사상자를 냈다. 침공 후, 제1해병연대 제4대대는 2003년 6개월 동안 방치된 타릭 권총 공장을 본부로 사용했다.
2003년 4월, 미군이 바그다드를 함락한 후 제임스 T. 코너웨이(James T. Conway) 중장이 지휘하는 제1해병원정군(1st MEF) 사령부는 바빌론에 있는 사담 후세인의 궁전 인근에 지휘소를 설치했다. 제1해병원정군은 느부갓네살 궁전 유적, 박물관 직원, 바벨탑 기초, 마르두크 신전, 알렉산더 대왕이 건설한 콜로세움 등 바빌론 고대 유적지 인근에 위치했다.
주둔 첫 주에 코너웨이 장군은 부사령관인 에밀리오 마레로(Emilio Marrero) 대령을 파견하여 바빌론 유적지 직원들과 접촉하게 했다. 직원들은 도움이 필요하고 약탈자로부터 보호받기를 요청했다. 코너웨이 장군은 참모총장 존 C. 콜먼(John C. Coleman) 대령이 고안한 계획을 승인하여 고대 유적지를 야영지 외곽에 포함시켜 유적지를 보호하고 현지 큐레이터와 고고학 직원들을 지원했다.
침공 직후, 힐라 주변 지역에 대규모 무덤이 있다는 보고가 주민들에 의해 제기되었다. 지역 주민들과 ORHA(이라크 재건을 위한 조직으로 추측) 구성원, 제15 해군기동건설대대는 1991년 정부에 대한 반란 중 이라크 보안군에 의해 살해된 수천 명의 이라크인들을 발굴하기 위해 함께 노력했다. 제1해병사단은 힐라 북쪽 약 1.6km 지점에 있는 사담 후세인의 궁전 중 한 곳에 기지를 설치했다. 제372헌병중대는 2003년 6월부터 10월까지 힐라에서 치안 유지와 이라크 경찰 훈련을 수행한 후 아부 그라이브 교도소로 이동했다.
2003년 8월 미 해병대가 철수하고 이라크 다국적군에 통제권을 넘긴 후, 이 도시는 폴란드 군사 지역의 일부가 되었고, 이라크 점령 기간 동안 계속되었다.
초기 침공 이후 힐라는 비교적 평화로웠지만, 그 후 수많은 폭탄 테러의 현장이 되었다. 주요 테러 사건은 다음과 같다.
발생일 | 테러 내용 |
---|---|
2005년 2월 28일 | 의료 클리닉 밖에서 발생한 자동차 폭탄 테러로 125명 사망 |
2005년 5월 30일 | 자살 폭탄 테러범 2명이 시아파 경찰 31명을 살해하고 108명 부상 |
2005년 9월 30일 | 힐라 채소 시장에서 자동차 폭탄 폭발, 10명 사망, 30명 부상 |
2007년 1월 2일 | 자살 폭탄 테러범 2명이 시아파 민병대 집회에서 자폭, 최소 73명 사망, 160명 이상 부상 |
2007년 2월 1일 | 자살 폭탄 테러범 2명이 붐비는 야외 시장에서 폭발물 투척, 최소 45명 사망, 약 150명 부상[4] |
2007년 3월 6일 | 시아파 순례자들을 겨냥한 자동차 폭탄 테러 2차례 발생, 114명 사망, 최소 147명 부상 |
2010년 5월 10일 | 국가 섬유 산업 회사에서 자살 자동차 폭탄 테러 3~4차례 발생, 총 45명 사망, 140명 부상[5] |
2016년 3월 6일 | 군사 검문소에서 트럭 폭탄 테러 발생, 최소 60명 사망, 70명 이상 부상. (ISIL)이 테러의 책임을 주장[6] |
힐라는 유프라테스강 동안에 위치하며, 좌표는 북위 32도 29분, 동경 44도 26분이다.
3. 지리
3. 1. 기후
힐라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 사막 기후(BWh)로 분류된다. 대부분의 강수량은 겨울에 내린다. 힐라의 연평균 기온은 23.1°C이며, 연간 강수량은 약 114mm이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 | 16.4°C | 19.3°C | 23.8°C | 29.4°C | 35.8°C | 41.3°C | 43.6°C | 43.4°C | 40.1°C | 33.6°C | 24.9°C | 18.2°C |
평균 최저 기온 (℃) | 4.3°C | 6.3°C | 9.9°C | 14.9°C | 20.4°C | 24°C | 26°C | 25.1°C | 21.8°C | 16.7°C | 10.8°C | 5.8°C |
평균 강수량 (mm) | 25mm | 17mm | 14mm | 16mm | 5mm | 0mm | 0mm | 0mm | 0mm | 2mm | 12mm | 23mm |
4. 문화
힐라는 풍부한 문화적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역사책, 문학, 지리 및 전기 등에 널리 언급되어 있다.[7] 중세 시아파의 가장 유명한 신학자 중 한 명인 알라마 알힐리(Jamāl ad-Dīn al-Hasan al-Hilli)는 힐라 출신이다.[7] 2008년에는 대규모 문화 행사와 미술관, 그리고 시, 글쓰기, 음악, 노래 등 모든 문화 및 예술 분야의 많은 재능 있는 사람들 덕분에 이라크의 문화 수도로 선정되었다.[7]
많은 저명한 이라크 작가들이 이 도시에 대해 글을 썼는데, 여기에는 아브드-라자크 알-후세이니(Abdul-Razzaq al-Husseini), 아브드 알-카디르 알-자하위(Abd al-Qadir al-Zahawi), 무함마드 메흐디 알자와히리(Mohammad Mehdi Aljawahiri), 루사피(Rusafi), 사티아 알하스리(Sahtia AlHasri), 파델 알자말리(Fadel Aljamali), 티 알눈 아유브(Thi Alnun Ayoub), 알리 자와드 타히르(Ali Jawad Tahir), 아마드 알사피 알나자피(Ahmad al-Safi al-Najafi) 등이 포함된다.
디야 함이오(Dheyaa Hamio), 사이프딘 알힐리(Saifuddin Al-Hilly), 무함마드 메흐디 알바시르(Mohammed Mahdi Albasir), 알리 자와드 타히르(Ali Jawad Tahir), 고고학자 아메드 소사(Ahmed Sosa), 타하 바키르(Taha Baqir), 아메드 사이드(Ahmed Saeed) 등 많은 작가, 시인, 예술가들도 힐라 출신이다.
힐라 출신의 다른 중세 학자로는 무하키크 알힐리(Muhaqqiq al-Hilli)와 이븐 타우우스(Ibn Tawus)가 있다.
5. 교육
오스만 제국은 알-라시디야 학교를 포함한 현대식 학교들을 설립했으며, 이곳에서는 터키어로 수업이 진행되었다.[8] 1918년 힐라 최초의 초등학교인 마드라사트 알-샤르키아가 설립되었는데, 한 학급에 20명의 학생이 있었다. 이 학교는 대모스크 상층부에 위치했으며, 초대 교장은 압둘 마흐디 알-힐랄리였다. 이후 학교는 샤트 알-힐라에 있는 건물로 이전하여 학급이 네 개로 늘어났지만, 대부분의 학생들이 신학교에 진학하여 안정적이지 못했다. 힐라 최초의 중등학교는 1927년에 설립된 알-힐라 중학교였다. 1931년에는 모데리아트 알마리프 학교가 설립되었다.
힐라의 대학교육은 1976년 경영학과와 기술 및 경영 지점 매장 부서 설립으로 시작되었다. 1980년에는 기술학교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현재는 바빌론 기술학교로 불리며 과학(토목, 우주, 전기 및 전자 장치, 컴퓨터 및 기계, 기계 및 장비), 행정(회계, 경영, 컴퓨터 시스템), 의료(지역사회 보건 및 간호) 분야를 포함한다. 1959년 기술학교는 무사이브 프로젝트를 설립했는데, 이 프로젝트에는 기술(관개 및 기계, 기계 및 장비), 행정(회계, 창고 관리), 농업(식물 생산, 토양 및 토지 개간, 기계 및 농업 장비, 생명 생산) 분야가 포함되었다.
1991년부터 바빌론 대학교는 미술, 법학, 공학, 과학, 교육, 의학, 경영, 경제, 문학, 농학, 여학생을 위한 과학, 치의학, 수의학, 간호학 등의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이 대학교에는 바빌론 연구 센터, 힐라 문서 및 연구 센터, 전자 계산기, 교수법 개발 센터, 평생 교육 센터 등 여러 과학 센터가 있다. 바빌론 주에는 바빌론 대학교, 2012년 알-카심에 설립된 알카심 그린 대학교, 알나흐라인 대학교, 알무스타크발 대학교, 힐라 대학교 등 다섯 개의 대학교가 있다.
6. 고고학 유적
힐라는 고대 바빌론 유적 근처에 있다. 바빌론은 기원전 3천년기에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며, 기원전 18세기에는 함무라비 제국의 중심지가 되었다. 기원전 7세기 후반 신바빌로니아 제국 시대, 특히 네부카드네자르 2세 왕의 통치 기간 동안 번영하였다. 그러나 기원전 6세기에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3]
"바빌론"은 "신의 문"으로 번역된다. 바빌론은 함무라비 왕에 의해 건설된 바빌로니아 제국의 중심지로 부상했다. 함무라비의 통치는 43년 동안 지속되었으며, 바빌로니아 문명은 번영을 누렸고 그의 통치는 황금기로 여겨진다. 바빌론의 경이로운 건축물 중 하나는 고대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여겨지는 공중정원으로, 네부카드네자르 2세가 건설하였다.[3] [9]
이 도시에는 8개의 문이 있었는데, 가장 웅장한 것은 거대한 이슈타르 문이었으며, 도시 외곽의 큰 종교 축제 지역에 있는 마르두크 신전을 포함하고 있었다. 고대 자료에서는 바빌론을 바빌로니아(바빌론의 땅), 메소포타미아, "두 강의 땅" 등 다양한 이름으로 언급한다.[3]
키시는 힐라 시에서 13km, 고대 바빌론 도시에서 동쪽으로 6km 떨어져 있다. 유적에는 "내부 시데르므(Inner Cdermh)" 지구라트와 전쟁의 신인 "바바 디어(Baba deer)"의 지구라트 구조물이 포함되어 있다.
알베레스는 힐라의 남쪽 약 24km 거리에 있다. 힐라와 알키필 사이에는 탑이 있다. 현재의 지명은 고대 바빌로니아어 "بورسيا"(현재는 신문 이름으로 사용됨)의 변형이며, 나자프 호수변의 가디르(Ghadeer) 가장자리에 있어 수메르어로는 "바다의 칼"을 의미한다.
6. 1. 바빌론 유적
바빌론 유적은 약탈과 파괴적인 정책으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네부카드네자르 궁전의 일부와 옛 도시 성벽 일부만 남아있다.[3] 사담 후세인은 유적지 일부에 고대 바빌론 복원 사업을 의뢰하여 네부카드네자르의 고대 궁전 위에 현대식 궁전을 복원했다. 이슈타르 문의 복원품은 베를린의 페르가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힐라는 고대 바빌론 유적 근처에 위치해 있다. 바빌론은 기원전 3천년기에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며, 그 후 1천 년 동안 번영하였다. 기원전 18세기에는 함무라비 제국의 중심지가 되었고, 이후 수세기 동안 여러 제국이 바빌론을 지배하였다. 기원전 7세기 후반 신바빌로니아 제국 시대에 잠시 독립을 되찾았는데, 특히 네부카드네자르 2세 왕의 통치 기간이 유명하다. 그러나 기원전 6세기에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3]
"바빌론"이라는 이름은 "신의 문"으로 번역된다. 바빌론은 수메르인들의 몰락 이후, 기원전 2100년경 함무라비 왕에 의해 건설된 바빌로니아 제국의 중심지로 부상했다. 이 제국은 남쪽의 아라비아만에서 북쪽의 티그리스 강까지 걸쳐 있었다. 함무라비의 통치는 43년 동안 지속되었으며, 바빌로니아 문명은 번영을 누렸고 그의 통치는 황금기로 여겨진다. 바빌론의 경이로운 건축물 중 하나는 고대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여겨지는 공중정원으로, 갈대아 왕 네부카드네자르 2세가 건설하였다.[3] [9]
이 도시에는 8개의 문이 있었는데, 가장 웅장한 것은 거대한 이슈타르 문이었으며, 도시 외곽의 큰 종교 축제 지역에 있는 마르두크 신전을 포함하고 있었다. 고대 자료에서는 바빌론을 바빌로니아(바빌론의 땅), 메소포타미아, "두 강의 땅" 등 다양한 이름으로 언급한다.[3]
6. 2. 키시 유적 (Tel Alahamr)
키시는 힐라 시에서 13km, 고대 바빌론 도시에서 동쪽으로 6km 떨어져 있다. 유적에는 "내부 시데르므(Inner Cdermh)" 지구라트와 전쟁의 신인 "바바 디어(Baba deer)"의 지구라트 구조물이 포함되어 있다.6. 3. 알베레스
알베레스는 힐라의 남쪽 약 24km 거리에 있다. 힐라와 알키필 사이에는 탑이 있다. 현재의 지명은 고대 바빌로니아어 "بورسيا"(현재는 신문 이름으로 사용됨)의 변형이며, 나자프 호수변의 가디르(Ghadeer) 가장자리에 있어 수메르어로는 "바다의 칼"을 의미한다.7. 보건
바빌 주에는 1,200개 병상을 갖춘 10개의 병원이 있다. 2005년 초, 지역 보건 당국은 알히필과 알쇼말리 근처에 각각 50개 병상을 갖춘 병원 두 곳을 건설할 계획을 발표했다. 힐라의 주요 병원들도 대대적인 개보수를 받을 예정이다. 직원 마스터플랜은 간호 분야 인력의 훈련 수준을 높이고 주 전역에 새로운 보건소를 재건하는 것이다.
힐라에는 힐라 종합교육병원, 바빌 여성아동병원, 메르잔 교육병원, 알누르 아동병원 등 4개의 주요 국립병원이 있다.
2008년부터 힐라는 "바빌… 이라크의 문화 수도… 과학 연구에서 의학의 미래"라는 슬로건 아래 매년 의학 학술대회를 개최해왔다. 이 학술대회는 국가의 의료 보건 및 교육, 그리고 미래의 보건 및 의료 연구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를 다루는 여러 과학 발표를 제공한다. 또한 장애인을 위한 현대 의료 기기 및 전기 자동차 전시회와 함께 의약품 및 치료법도 전시된다.
최고의 의료 검사실은 알자하위 의료 검사실이며, 안마르 D. 가잘라 박사가 운영한다.
8. 저명한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Iraq: Governorates & Cities
http://www.citypopul[...]
[2]
논문
The Hindiya Barrage, Mesopotamia
https://zenodo.org/r[...]
[3]
웹사이트
الحلة القديمة
https://saudipedia-c[...]
2024-03-21
[4]
뉴스
Bombings rock Shiite city
Associated Press
2007-02-02
[5]
웹사이트
102 killed in Iraq's bloodiest day this year
https://www.google.c[...]
Agence France-Presse
2010-05-10
[6]
뉴스
Islamic State truck bomb kills at least 60 people south of Baghdad
https://www.reuters.[...]
2016-03-06
[7]
웹사이트
Babylon
https://www.atlasobs[...]
[8]
웹사이트
Al Hillah, Babil, Iraq -
https://the-bastion.[...]
2024-11-28
[9]
웹사이트
Babylon
https://www.atlasobs[...]
[10]
웹사이트
ناجح المعموري : أسعد اللامي وأحلام البقاء (ملف/9)
https://www.alnaked-[...]
2019-1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