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Ќ는 마케도니아어와 세르비아어에서 사용되는 키릴 문자이다. 이 문자는 /c/ 또는 /tɕ/ 소리를 나타내며, 마케도니아어 알파벳의 24번째 문자이다. 유니코드에서는 U+040C (대문자 Ќ)와 U+045C (소문자 ќ)로 표현된다.
чие|치에mk
또는 를 나타낸다.
2. 명칭
Кие|키에sr
3. 음소
4. 알파벳상의 위치
5. 관련 문자
6. 컴퓨팅 코드
인코딩 대문자 소문자 코드 페이지 855 97 96 윈도우-1251 8D 9D ISO-8859-5 AC FC 매킨토시 키릴 CD CE
6. 1. 유니코드
대문자 | 유니코드 | JIS X 0213 | 문자 참조 | 소문자 | 유니코드 | JIS X 0213 | 문자 참조 | 비고 |
---|---|---|---|---|---|---|---|---|
Ќ | U+040C | ‐ | ќ | U+045C | ‐ |
6. 2. 기타 인코딩
Ќ는 유니코드에서 대문자 U+040C, 소문자 U+045C로 표현된다.다음은 Ќ의 코드 페이지이다.
인코딩 | 대문자 | 소문자 |
---|---|---|
코드 페이지 855 | 97 | 96 |
윈도우-1251 | 8D | 9D |
ISO-8859-5 | AC | FC |
매킨토시 키릴 | CD | CE |
대문자 | 유니코드 | JIS X 0213 | 문자 참조 | 소문자 | 유니코드 | JIS X 0213 | 문자 참조 | 비고 |
---|---|---|---|---|---|---|
Ќ | 1036 | Ќ | ќ | 1116 | ќ |
참조
[1]
서적
The Slavonic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09
[2]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Scripts and Alphabe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