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ᆜ와 ᆖ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 ᆜ (I-Eu): This is an obsolete Hangul vowel. It represents a diphthong (a combination of two vowel sounds), specifically the combination of 'ㅣ' (i) and 'ㅡ' (eu). The 'ㅣ' sound comes first, followed by the 'ㅡ' sound. Its pronunciation can be represented in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IPA) as [jɯ̽]. It's the opposite of 'ㅢ' ([ɯj]), where the 'ㅡ' sound precedes the 'ㅣ'.
  • ᆖ (Eu-Eu): This Hangul vowel was proposed by Ji Seok-yeong in 1905 as a replacement for 'ㆍ' (arae-a, a now-obsolete vowel). Ji Seok-yeong believed that, back in the times of the creation of the Hunminjeongeum, the 'ㆍ' was the combination of 'ㅣ' and 'ㅡ', that is, ᆜ. It's important to note, though, that it wa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ㆍ and not ᆜ.


In summary: ᆜ represents a specific diphthong (combination of "i" and "eu" sounds) while ᆖ was a suggested replacement for a different, now obsolete, vowel.

ᆜ와 ᆖ
특수 문자 정보
종류옛한글
참고옛 한글 도움말을 참고
문자ᅟᆜ
첫가끝 정보
문자ᅟᆜ
특수 문자 정보
종류옛한글
참고옛 한글 도움말을 참고
문자
첫가끝 정보
문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