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아나의 총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이아나의 총리는 가이아나의 정부 수반이다. 1966년 가이아나가 독립하면서 총리직이 설립되었으며, 영국령 기아나의 총리직을 승계했다. 총리는 대통령이 임명하며, 대통령 유고 시 권한 대행, 대통령직 승계, 내각 회의 주재, 국회에서의 정부 업무 대표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총리는 대통령이 속한 정당에서 선출되며, 임기는 5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가이아나의 총리 | |
---|---|
직책 개요 | |
직책 | 총리 |
국가 | 가이아나 협동 공화국 |
소속 | 가이아나 내각 |
스타일 | 각하 |
임명권자 | 가이아나 대통령 |
임기 | 5년, 재선 가능 |
설립일 | 1966년 5월 26일 |
첫 번째 총리 | 포브스 버넘 |
승계 순위 | 대통령이 지정하는 정부 각료 |
관저 | 조지타운 메인 스트리트 총리 관저 |
웹사이트 | 가이아나 총리실 |
![]() | |
![]() | |
현직 | |
현직 총리 | 마크 필립스 |
취임일 | 2020년 8월 2일 |
2. 배경
가이아나가 독립한 1966년에 가이아나의 총리직이 설립되었다. 이 직책은 영국령 기아나의 총리와 최고 장관 직을 직접 승계한 것이다. 1964년에 영국령 기아나의 마지막 선거가 치러졌으며, 다음 선거가 독립 이후에 치러질 예정이었기에, 영국령 기아나의 총리는 독립일에 자동으로 가이아나의 총리가 되었다.
가이아나의 총리는 가이아나 국회의 선출된 의원 중에서 대통령이 임명한다. 가이아나 정부의 정치 구조상 국회의원 선거가 대통령 선거를 겸하기 때문에, 총리는 항상 대통령이 속한 정당 또는 연합에서 선출된다. 대부분의 정당 또는 연합이 선거에서 다른 정당 또는 연합보다 많은 표를 얻을 경우 대통령 후보와 총리 후보를 지명하는 관례가 있지만, 선거 전에 법적으로 대통령 후보만 지정하면 된다.
1966년부터 1980년까지 총리는 행정 권한을 행사하고 정부의 일반적인 지휘 및 통제를 담당하는 정부 수반이었다. 이 기간 동안 국가 원수는 1966년부터 1970년까지 엘리자베스 2세였으며(총독이 대리), 1970년부터 1980년까지는 가이아나가 공화국이 된 후 형식적인 대통령이었다.
1980년 헌법은 형식적인 대통령직을 폐지하고 행정 대통령을 신설하여 국가 원수이자 정부 수반으로 만들었다. 헌법에 따라, 헌법 시행 전의 총리는 완전한 행정 권한을 가진 대통령이 되었다. 총리 직은 유지되었으며, 대통령의 후계자로서 총리의 헌법적 역할을 강조하기 위해 제1 부통령의 상설 부속 직책이 포함되었다.[1] 그러나 이 직책과 개별 총리의 권한과 영향력은 대통령이 위임한 책임에 따라 달라졌다.
3. 임명 및 책무
따라서 총리의 선출, 임명 및 해임은 헌법적으로 대통령의 재량에 달려 있다. 그러나 대통령이 될 자격이 있는 국회의원만 총리로 임명될 수 있다. 이는 상황에 따라 총리가 대통령직을 승계해야 할 경우 대통령이 되기 위한 요건이 충족되도록 보장한다.
가이아나 헌법 제101조에 따르면 총리는 대통령의 직무 수행을 돕는 대통령의 주요 보좌관으로 묘사된다. 총리의 책무는 다음과 같다.
헌법은 또한 총리(제1부통령)가 추가 부통령보다 우선하도록 규정한다.[5] 1966년 독립부터 1980년까지는 총리가 일관적으로 행정권을 행사했다.[5] 1980년 헌법 개정으로 대통령이 행정권을 행사하게 되었지만, 총리의 권한 약화를 방지하기 위해, 제1부통령 직이 부여되었다. 대통령은 국회의원 중에서 지명된다. 관례상 총리는 항상 대통령이 소속된 정당에서 선출된다. 임기는 5년이다.
4. 취임 선서
총리 임명에 앞서, 대통령은 가이아나의 인장을 사용하여 "총리 임명 문서"를 발부하며, 이 문서에는 임명될 사람의 이름과 임명을 위해 사용된 헌법 조항이 명시된다.[3]
그런 다음 총리 지명자는 가이아나 헌법의 부록에 명시된 형식에 따라 다음과 같은 취임 선서를 한다.[3]
> 본인 (이름)은 가이아나 국민에게 진정한 믿음과 충성을 바치고, 공포나 편견, 애정 또는 악의 없이 가이아나 협동 공화국 총리 직무를 충실히 수행하며, 그 직무 수행 과정에서 가이아나 협동 공화국 헌법을 존중하고 유지하며 보존할 것을 엄숙히 선언합니다.
'하느님, 저를 도우소서'라는 문구는 헌법에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총리의 개인적인 판단에 따라 선서의 마지막에 추가될 수 있다.[3]
그런 다음 선서는 총리가 서명하고 대통령이 부서하며, 이후 임명 문서는 총리에게 전달된다.[3]
5. 상징
가이아나의 총리 직책을 나타내는 뚜렷한 상징은 없으며, 가이아나의 문장이 사용된다. 총리는 가이아나에서 일반 차량 번호판을 사용하지 않는 두 명의 공무원 중 한 명이며, 다른 한 명은 대통령이다. 총리가 탑승한 차량에는 가이아나 문장의 금색 이미지가 부착된다.
6. 역대 총리 목록
다음은 1953년 영국령 가이아나의 수석 장관 직책이 설립된 이후 현재까지의 가이아나 총리 목록이다. 1980년 가이아나 부통령 직책이 신설된 후, 정식 명칭은 '''가이아나 총리 겸 제1부통령'''이 되었다.
정당: |
6. 1. 영국령 가이아나 수석 장관 (1953년)
Chief Minister of British Guiana|영국령 가이아나 수석 장관영어 직책은 1953년에 설립되었다.
6. 2. 영국령 가이아나 총리 (1961년-1966년)
초상 | 이름 | 재임 기간 | 정당 | 군주 | ||
---|---|---|---|---|---|---|
취임일 | 퇴임일 | 재임 기간 | ||||
-- | 체디 재건 | 1961년 9월 5일 | 1964년 12월 12일 | PPP/C | 엘리자베스 2세 | |
![]() | 포브스 번햄 | 1964년 12월 12일 | 1966년 5월 26일 | PNCR |
6. 3. 가이아나 총리 (1966년-현재)
가이아나가 독립한 1966년에 가이아나의 총리직이 설립되었다. 이 직책은 영국령 기아나의 총리 및 수석 장관 직을 직접 승계한 것이다. 1964년에 영국령 기아나의 마지막 선거가 치러졌고, 다음 선거가 독립 이후에 치러질 예정이었기에, 영국령 기아나의 총리는 독립일에 자동으로 가이아나의 총리가 되었다.[7]1966년부터 1980년까지 총리는 행정 권한을 행사하고 정부의 일반적인 지휘 및 통제를 담당하는 정부 수반이었다. 이 기간 동안 국가 원수는 1966년부터 1970년까지 엘리자베스 2세였으며(총독이 대리), 1970년부터 1980년까지는 가이아나가 공화국이 된 후 형식적인 대통령이었다.
1980년 헌법은 형식적인 대통령직을 폐지하고 행정 대통령을 신설하여 국가 원수이자 정부 수반으로 만들었다. 헌법에 따라, 헌법 시행 전의 총리는 완전한 행정 권한을 가진 대통령이 되었다. 총리 직은 유지되었으며, 대통령의 후계자로서 총리의 헌법적 역할을 강조하기 위해 제1 부통령의 상설 부속 직책이 포함되었다.[1] 그러나 이 직책과 개별 총리의 권한과 영향력은 대통령이 위임한 책임에 따라 달라졌다.
번호 | 초상화 | 이름 | 재임 기간 | 정당 | 국가 원수 | ||
---|---|---|---|---|---|---|---|
취임 | 퇴임 | 재임 기간 | |||||
가이아나 (영연방 왕국) | |||||||
1 | -- | 포브스 버넘 | 1966년 5월 26일 | 1970년 2월 23일 | PNCR | 엘리자베스 2세 | |
가이아나 협동 공화국 | |||||||
1 | -- | 포브스 버넘 | 1970년 2월 23일 | 1980년 10월 6일 | PNCR | 럭후 정 | |
2 | ![]() | 프톨레미 레이드 | 1980년 10월 6일 | 1984년 8월 16일 | PNCR | 버넘 | |
3 | ![]() | 데즈먼드 호이트 | 1984년 8월 16일 | 1985년 8월 6일 | PNCR | ||
4 | ![]() | 해밀턴 그린 | 1985년 8월 6일 | 1992년 10월 9일 | PNCR | 호이트 | |
5 | ![]() | 샘 힌즈 | 1992년 10월 9일 | 1997년 3월 17일 | PPP/C | C. 재건 본인 | |
6 | ![]() | 재닛 재건 | 1997년 3월 17일 | 1997년 12월 19일 | PPP/C | 힌즈 | |
5 | -- | 샘 힌즈 | 1997년 12월 19일 | 1999년 8월 9일 | PPP/C | J. 재건 | |
7 | ![]() | 바랏 자그데오 | 1999년 8월 9일 | 1999년 8월 11일 | PPP/C | ||
5 | -- | 샘 힌즈 | 1999년 8월 11일 | 2015년 5월 20일 | PPP/C | 자그데오 라모타 | |
8 | ![]() | 모세스 나가무투 | 2015년 5월 20일 | 2020년 8월 2일 | AFC | 그레인저 | |
9 | ![]() | 마크 필립스 | 2020년 8월 2일 | 현직 | PPP/C | 알리 |
참조
[1]
PDF
https://parliament.g[...]
2022-03-01
[2]
웹사이트
Prime Minister to oversee energy, telecoms, information, CDC and other portfolios
https://newsroom.gy/[...]
2020-08-05
[3]
웹사이트
Reg. 5 Chambers of Commerce congratulates Prime Minister Phillips
https://dpi.gov.gy/r[...]
2020-08-13
[4]
PDF
https://parliament.g[...]
2022-03-01
[5]
문서
ガイアナ共和国憲法原本
https://parliament.g[...]
[6]
웹사이트
ガイアナ共和国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日本国[[外務省]]
2012-05-26
[7]
PDF
https://parliament.g[...]
2022-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