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감초는 50가지 기본 약재 중 하나로, 전통 중국 의학에서 다른 약재의 효능을 조화롭게 하고 강한 약성을 중화하는 데 사용된다. 감초의 주성분인 글리시리진은 과다 복용 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며, 허약감, 두통, 고혈압 등의 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재배하며, 뿌리를 수확하여 사용한다. 중국의 감초 수출 제한으로 인해 일본에서는 자체 재배를 시도하고 있으며, 글리시리진 외에도 다양한 식물화학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감초 - 감초사탕
감초사탕은 감초 추출물로 맛을 낸 사탕의 일종으로, 1614년 잉글랜드에서 처음 발명되었으며, 글리시리진 성분으로 인해 과다 섭취 시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 감초 - 민감초
민감초는 앵글로-노르만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달콤한 뿌리를 의미하며, 보라색 또는 옅은 흰색 꽃과 콩과 열매를 맺는 여러해살이풀로, 글리시리진 등의 성분을 포함한 뿌리를 감미료, 향신료, 약재 등으로 사용하며 과다 섭취 시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 갈레가족 - 자운영
자운영은 콩과 한해살이풀로 뿌리혹박테리아를 이용해 질소를 고정하는 녹비식물이며, 홍자색 꽃을 피우고 토양 비옥도 향상, 사료, 식용, 약용, 밀원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갈레가족 - 골담초
골담초는 덤불처럼 자라는 가시 있는 낙엽관목으로, 봄에 피는 나비 모양의 노란 꽃이 관상 가치가 높고, 뿌리는 약재로 쓰이며, 척박한 환경에도 잘 적응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 약용식물 - 인삼
인삼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동아시아에서 약재로 사용되며, 뿌리가 사람의 모습을 닮아 이름 붙여졌고, 강장, 강심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약용식물 - 아스파라거스
아스파라거스는 유럽,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등지에서 자생하며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여러해살이풀로, 어린 순은 채소로, 고대부터는 식재료와 약재로 사용되었고, 아스파라긴산, 루틴, 비타민 등이 풍부하며, 화이트, 그린, 보라색 등 다양한 종류가 있고 볶음, 구이, 샐러드 등 여러 요리에 쓰인다.
감초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Glycyrrhiza uralensis |
명명자 | Fisch. ex DC. |
이명 | Glycyrrhiza glandulifera Ledeb. |
GRIN 식물 분류 | Glycyrrhiza uralensis 정보 (NPGS/GRIN) |
Plants for a Future | Plants for a Future 정보 |
한국어 명칭 | |
한국어 | 우랄감초 우랄칸조우 동북감초 토우호쿠칸조우 |
영어 | chinese licorice |
생물 분류 | |
계 | 식물계 |
미분류 문 | 속씨식물군 |
미분류 강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목 | 장미군 |
목 | 콩목 |
과 | 콩과 |
아과 | 콩아과 |
속 | 감초속 |
종 | 감초 |
2. 전통적 용도
감초는 전통 중국 의학에서 '간차오(甘草)'라고 불리며, 50가지 기본 약재 중 하나로 사용된다.[3] 중국에서는 다른 약재와 조화를 이루고 다른 약재의 강한 효과를 줄이는 데 사용되며,[3] 주로 산시(山西), 간쑤(甘肅), 신장(新疆) 지역에서 생산된다.[5] 뿌리줄기와 땅속줄기(走茎)는 말려서 허브나 생약 원료로 이용되며, 감미료로 식품이나 조미료, 담배 첨가물로도 널리 사용된다.
2. 1. 한의학에서의 활용
감초 뿌리 또는 '감초근(radix glycyrrhizae)'은 50가지 기본 약재 중 하나이다.[3] 한의학에서는 다른 약재의 효능을 조화롭게 하고, 강한 약성을 중화하는 역할을 한다.[3] 일반적으로 봄과 가을에 채취하여 썰어서 햇볕에 말린 후, 가공하지 않고 사용하거나 꿀에 볶아서 사용한다.[4]3. 부작용
감초의 주성분인 글리시리진은 스테로이드를 대사하는 효소 가운데 하나인 11ß-hydroxysteroid dehydrogenase를 억제하여 다량 복용 시 염류코르티코이드 유사 효과가 나타나 위알도스테론 혈증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15]에서 처음 지적되었는데, 하루에 100~200g의 감초를 복용한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통상 한약으로 처방되는 감초의 양은 하루 4~8g에 불과하다.[16]
감초 뿌리는 혈압과 혈중 칼륨 수치에 영향을 미치거나 임신 중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는 글리시리진을 함유하고 있다.[6] 감초를 과다 복용하면 허약감, 두통, 시력 흐림, 코피, 불안감 또는 호흡 곤란이 발생할 수 있다.[7] 기타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월경 불순, 체액 저류 또는 남성의 성 문제가 포함될 수 있다.[7] 과다 복용으로 인해 더 심각한 경우에는 고혈압과 알도스테론증이 발생하여 입원이 필요할 수 있다.[8]
4. 재배 방법
감초는 햇볕이 잘 들고 강우량이 적으며 배수가 좋은 모래땅이나 자갈이 섞인 땅에서 잘 자란다. 씨앗은 15~20cm 간격으로 줄뿌림한다. 1년생 뿌리를 약 15cm 길이로 잘라 5cm 깊이로 심거나, 땅 위로 올라온 줄기를 나누어 번식시킬 수도 있다. 보통 가을이나 봄에 심지만, 추운 지방에서는 봄에 심는 것이 안전하다. 건조한 환경에서는 물을 주어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고, 습한 환경에서는 배수에 유의하여 뿌리가 썩지 않도록 한다.[9] 우랄 감초(Glycyrrhiza uralensis)는 유럽, 아시아, 그리고 중동 전역에서 자생한다.[9]
4. 1. 일본에서의 재배 현황
2000년경부터 중국 정부가 토지 사막화를 이유로 감초 수출을 제한하고 허가제로 전환하면서, 일본은 중국산 감초 수입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12] 이에 따라 일본은 자체적인 감초 재배를 시도하기 시작했다. 일본 한방약 기업인 츠무라(ツムラ)는 일본 내에서 대규모 감초 재배를 실시하여 중국산 의존도를 줄여나가고 있다.[12] 이와 더불어, 일본 제약회사들은 오스트레일리아에서도 본격적으로 감초를 재배하고 있다.일본 국내에서도 감초 재배는 가능하지만, 우랄감초와 스페인감초 모두 종자 발아율이 낮은 편이다. 발아하더라도 초기 성장이 느리고 토양 과습에 취약하다. 반면, 줄기(ストロン)(走出茎)는 수 센티미터마다 마디와 싹이 있어 줄기를 잘라 심으면 생장이 빠르다. 줄기는 뿌리 근원에서 뻗어 나올 때는 흰색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갈색으로 변한다. 허브나 생약으로 사용할 때는 건조하지만, 생으로 씹어도 단맛을 느낄 수 있다. 5~6월에 보라색 꽃이 피기도 하지만, 일본 기후에서는 개화 및 결실이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5. 화학적 성분
감초는 수크로스(설탕)보다 30~50배 더 단맛을 내는 배당체인 글리시리진(glycyrrhizin)을 함유하고 있으며, 글리시리진의 화학식은 C42H62O16이다.[10][11] 또한 감초에는 다양한 식물화학물질(phytochemical)이 함유되어 있다.[11]
6. 생산지
감초는 주로 중국 산시(山西), 간쑤(甘肅), 신장(新疆) 지역에서 많이 생산된다.[5] 우랄 감초(Glycyrrhiza uralensis)는 유럽, 아시아, 중동 전역에서 자생한다.[9]
일본에서는 주로 중국에서 감초를 수입했지만, 2000년경부터 중국 정부가 토지 사막화를 이유로 감초 수출을 제한하고 허가제로 전환하면서 일본 내 자체 생산을 시도하고 있다.[12] 일본 한방약 기업 츠무라(ツムラ)는 일본 국내에서 감초의 대규모 재배를 시작했으며,[12] 일본 제약회사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도 본격적으로 감초를 재배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Plant List: A Working List of All Plant Species
http://www.theplantl[...]
2017-03-07
[2]
GRIN
2011-08-30
[3]
웹사이트
Plants for a Future
http://www.pfaf.org/[...]
2017-03-08
[4]
서적
An Illustrated Chinese Materia Medica
Oxford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aompress.[...]
2010-07-20
[6]
웹사이트
Licorice Root
https://nccih.nih.go[...]
National Center for Complementary and Integrative Health,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9-04-01
[7]
웹사이트
Licorice
https://www.drugs.co[...]
Drugs.com
2019-04-01
[8]
논문
Licorice abuse: time to send a warning message
2012
[9]
서적
Glycyrrhiza uralensis 甘草 (Gancao, Licorice)
http://dx.doi.org/10[...]
Springer Vienna
2022-11-28
[10]
웹사이트
Glycyrrhizin - an overview ScienceDirect Topics
https://www.scienced[...]
2022-11-30
[11]
웹사이트
Glycyrrhizin
https://pubchem.ncbi[...]
2022-11-28
[12]
뉴스
中国・黄土の斜面で「甘草」栽培生薬確保急ぐ日本企業
http://globe.asahi.c[...]
朝日新聞
2015-07-26
[13]
웹인용
Glycyrrhiza uralensis information from NPGS/GRIN
http://www.ars-gri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1-08-30
[14]
백과사전
감초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5]
논문
Effect of eating liquorice on the renin-angiotensin aldosterone axis in normal subjects
[16]
서적
한의학 탐사여행
u-북
[17]
백과사전
감초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2017-1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