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겉게발이끼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겉게발이끼과는 2016년 기준으로 20개의 속을 포함하는 이끼과의 하나이다. 이 과에는 앨리소니엘라속, 겉게발이끼속 등 다양한 속이 있으며, 각 속은 여러 종을 포함한다. 겉게발이끼과에 속하는 종들의 분류와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국에도 여러 종이 자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산이끼류 - 미주타니아 리카르디오이데스
    미주타니아 리카르디오이데스는 일본에서 유래된 이름의 누에고케라고 불리는 태류 식물로, 한 겹의 세포층으로 이루어진 엽상체를 가지며 고사리과의 전엽체와 유사한 외관을 띄고, 비늘이끼목 구멍이끼과에 속한다.
  • 우산이끼류 - 산호우산대이끼과
    산호우산대이끼과는 메츠게리알레스 목에 속하는 단순한 엽상체 선태류 과로, 종의 구분이 어렵고 유전자 연구를 통해 형태적으로 숨겨진 종이 밝혀졌으며, 초록우산대이끼속, Cryptothallus, Lobatiriccardia, 산호우산대이끼속, Verdoornia 등이 속한다.
겉게발이끼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Cephaloziella divaricata
Cephaloziella divaricata
학명Cephaloziellaceae
명명자Douin
이명Phycolepidoziaceae R.M. Schust., 1966

2. 하위 속

2016년에 20개 속이 겉게발이끼과로 인정되었으며, 2016년 기준 겉게발이끼과에 속하는 속 목록은 아래와 같다. 괄호 안의 숫자는 종의 수이다.


  • 앨리소니엘라속(Allisoniella) E.A.Hodgs. (5)
  • 암피세팔로지아속(Amphicephalozia) R.M.Schust. (3)
  • 아나스트로필롭시스속(Anastrophyllopsis) (R.M.Schust.) Vána & L.Söderstr. (3)
  • 세팔로조네시아속(Cephalojonesia) Grolle (1)
  • 세팔로미트리온속(Cephalomitrion) R.M.Schust. (1)
  • 겉게발이끼속(Cephaloziella) (Spruce) Schiffn. (112)
  • 세팔로지옵시스속(Cephaloziopsis) (Spruce) Schiffn. (5)
  • 케토필롭시스속(Chaetophyllopsis) R.M.Schust. (1)
  • 코네콜레아속 (Chonecolea)
  • 실린드로콜레아속(Cylindrocolea) R.M.Schust. (23)
  • 고체첼리아속(Gottschelia) Grolle (5)
  • 짐노콜레옵시스속(Gymnocoleopsis) (R.M.Schust.) R.M.Schust. (3)
  • 헤르조고브리움속(Herzogobryum) Grolle (6)
  • 키마토칼릭스속(Kymatocalyx) Herzog (5)
  • 로포나르디아속(Lophonardia) R.M.Schust. (4)
  • 노토짐노미트리온속(Nothogymnomitrion) R.M.Schust. (1)
  • 옵투시폴리움속(Obtusifolium) S.W.Arnell (1)
  • 올레올로포지아속(Oleolophozia) L.Söderstr., De Roo & Hedd. (1)
  • 피콜레피도지아속(Phycolepidozia) R.M.Schust. (2)
  • 프로톨로포지아속(Protolophozia) (R.M.Schust.) Schljakov (17)
  • 루트네렐라속(Ruttnerella) (1)

2. 1. 겉게발이끼과에 속하는 속 목록 (2016년 기준)


  • 앨리소니엘라속(Allisoniella) E.A.Hodgs. (5)
  • 암피세팔로지아속(Amphicephalozia) R.M.Schust. (3)
  • 아나스트로필롭시스속(Anastrophyllopsis) (R.M.Schust.) Vána & L.Söderstr. (3)
  • 세팔로조네시아속(Cephalojonesia) Grolle (1)
  • 세팔로미트리온속(Cephalomitrion) R.M.Schust. (1)
  • 겉게발이끼속(Cephaloziella) (Spruce) Schiffn. (112)
  • 세팔로지옵시스속(Cephaloziopsis) (Spruce) Schiffn. (5)
  • 케토필롭시스속(Chaetophyllopsis) R.M.Schust. (1)
  • 코네콜레아속 (Chonecolea)
  • 실린드로콜레아속(Cylindrocolea) R.M.Schust. (23)
  • 고체첼리아속(Gottschelia) Grolle (5)
  • 짐노콜레옵시스속(Gymnocoleopsis) (R.M.Schust.) R.M.Schust. (3)
  • 헤르조고브리움속(Herzogobryum) Grolle (6)
  • 키마토칼릭스속(Kymatocalyx) Herzog (5)
  • 로포나르디아속(Lophonardia) R.M.Schust. (4)
  • 노토짐노미트리온속(Nothogymnomitrion) R.M.Schust. (1)
  • 옵투시폴리움속(Obtusifolium) S.W.Arnell (1)
  • 올레올로포지아속(Oleolophozia) L.Söderstr., De Roo & Hedd. (1)
  • 피콜레피도지아속(Phycolepidozia) R.M.Schust. (2)
  • 프로톨로포지아속(Protolophozia) (R.M.Schust.) Schljakov (17)
  • 루트네렐라속(Ruttnerella) (1)

2. 1. 1. 가-사 (ㄱ-ㅅ)


  • 앨리소니엘라속(Allisoniella) E.A.Hodgs. (5)
  • 암피세팔로지아속(Amphicephalozia) R.M.Schust. (3)
  • 아나스트로필롭시스속(Anastrophyllopsis) (R.M.Schust.) Vána & L.Söderstr. (3)
  • 세팔로조네시아속(Cephalojonesia) Grolle (1, ''C. incuba'' )
  • 세팔로미트리온속(Cephalomitrion) R.M.Schust. (1, ''C. aterrimum'' )
  • 세팔로지에라속(Cephaloziella) (Spruce) Schiffn. (112)
  • 세팔로지옵시스속(Cephaloziopsis) (Spruce) Schiffn. (5)
  • 케토필롭시스속(Chaetophyllopsis) R.M.Schust. (1, ''C. whiteleggei'' )
  • 코네콜레아속 (''Chonecolea'')
  • 실린드로콜레아속(Cylindrocolea) R.M.Schust. (23)
  • 고체첼리아속(Gottschelia) Grolle (5)
  • 짐노콜레옵시스속(Gymnocoleopsis) (R.M.Schust.) R.M.Schust. (3)
  • 헤르조고브리움속(Herzogobryum) Grolle (6)
  • 키마토칼릭스속(Kymatocalyx) Herzog (5)
  • 로포나르디아속(Lophonardia) R.M.Schust. (4)
  • 노토짐노미트리온속(Nothogymnomitrion) R.M.Schust. (1, ''N. erosum'' )
  • 옵투시폴리움속(Obtusifolium) S.W.Arnell (1, ''O. obtusum'' )
  • 올레올로포지아속(Oleolophozia) L.Söderstr., De Roo & Hedd. (1, ''O. perssonii'' )
  • 피콜레피도지아속(Phycolepidozia) R.M.Schust. (2)
  • 프로톨로포지아속(Protolophozia) (R.M.Schust.) Schljakov (17)

2. 1. 2. 아-하 (ㅇ-ㅎ)


  • 앨리소니엘라속(''Allisoniella'') (5)
  • 암피세팔로지아속(''Amphicephalozia'') (3)
  • 아나스트로필롭시스속(''Anastrophyllopsis'') (3)
  • 세팔로조네시아속(''Cephalojonesia'') (1, ''C. incuba'')
  • 세팔로미트리온속(''Cephalomitrion'') (1, ''C. aterrimum'')
  • 겉게발이끼속(''Cephaloziella'') (112)
  • 세팔로지옵시스속(''Cephaloziopsis'') (5)
  • 케토필롭시스속(''Chaetophyllopsis'') (1, ''C. whiteleggei'')
  • 코네콜레아속 (''Chonecolea'')
  • 실린드로콜레아속(''Cylindrocolea'') (23)
  • 고체첼리아속(''Gottschelia'') (5)
  • 짐노콜레옵시스속(''Gymnocoleopsis'') (3)
  • 헤르조고브리움속(''Herzogobryum'') (6)
  • 키마토칼릭스속(''Kymatocalyx'') (5)
  • 로포나르디아속(''Lophonardia'') (4)
  • 노토짐노미트리온속(''Nothogymnomitrion'') (1, ''N. erosum'')
  • 옵투시폴리움속(''Obtusifolium'') (1, ''O. obtusum'')
  • 올레올로포지아속(''Oleolophozia'') (1, ''O. perssonii'')
  • 피콜레피도지아속(''Phycolepidozia'') (2)
  • 프로톨로포지아속(''Protolophozia'') (17)
  • 루트네렐라속(''Ruttnerella'') (1, ''R. rhizocaula'')

2. 2. 추가 정보

2. 2. 1. 연구 및 분류

겉게발이끼과의 분류학적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며, 새로운 종이 발견되거나 기존 속(屬)의 분류가 재조정되기도 한다.

2. 2. 2. 한국의 겉게발이끼과

한국에는 겉게발이끼속(Cephaloziella)을 비롯한 여러 겉게발이끼과 식물이 자생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Cephaloziellaceae https://www.gbif.org[...] 2021-05-12
[2] 웹인용 Species 2000 & ITIS Catalogue of Life: 2014 Annual Checklist. http://www.catalogue[...] Species 2000: Reading, UK. 2015-07-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