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다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다마는 '나무의 정령' 또는 '나무의 메아리'를 의미하는 일본의 민속 신앙 속 존재이다. 산의 신으로 여겨지며, 요괴와 유사한 존재로 묘사되기도 한다. 코다마가 깃든 나무를 베면 불행이 따른다는 믿음이 있으며, 오키나와에서는 '키이누시이'라고 불린다. 일본의 다양한 지역에서 코다마 숭배와 관련된 신앙이 존재하며, 현대에는 애니메이션 '모노노케 히메'와 같은 대중문화 작품에서도 소재로 활용된다. 한국의 당산나무 신앙과 유사하게 자연을 숭배하는 문화적 특징을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무의 신 - 드리아데스
    드리아데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나무의 님프들을 통칭하며, 나무와 관련된 존재로 묘사되고 나무와 생명을 함께 하는 하마드리아스는 나무를 해치는 행위에 대해 벌을 받기도 한다.
  • 도리야마 세키엔의 요괴 - 살생석
    살생석은 일본 도치기현 나스 지역의 화산암으로, 구미호가 변한 것이라는 전설이 깃들어 있으며, 유독성 가스를 분출하여 주변 생물에게 해를 끼쳐 '살생석'이라 불리며, 승려 겐노의 퇴마 의식으로 원한이 달래졌다고 전해지고, 2022년 3월에는 두 조각으로 갈라져 화제가 되기도 했다.
  • 도리야마 세키엔의 요괴 - 텐구
    텐구는 일본의 요괴로, 긴 코와 붉은 얼굴을 가진 인간형의 모습에 야마부시 복장을 하고 하늘을 나는 능력과 뛰어난 무술 실력을 지녔으며, 중국의 티앤거우나 힌두교의 가루다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산악 신앙과 결합되어 발전, 오만함의 상징이자 산의 신으로 숭배받기도 하며 대중문화에도 등장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고다마
요괴 정보
이름코다마 (나무 요괴)
다른 이름목매 (木魅)
목령 (木霊)
목혼 (木魂)
설명나무에 깃든 정령 또는 요괴
특징산울림 현상과 관련 있다고 여겨짐
기원오래된 나무 또는 신성한 나무
출현 장소숲, 산
토리야마 세키엔의 '화도백귀야행'에 묘사된 코다마
토리야마 세키엔의 화도백귀야행에 묘사된 코다마
전승
지역일본 전역
관련 설화나무를 베거나 훼손하면 재앙을 불러온다고 함
현대적 해석자연 보호의 중요성을 상징
문화적 영향
대중 문화영화 모노노케 히메
다양한 애니메이션, 만화, 게임 등에 등장
상징성자연과의 조화, 신성한 존재
참고 문헌
관련 서적구사노 다쿠미, 《환상동물사전》, 신기원사, 1997
곤노 엔스케 편저, 《일본괴담집 요괴편》, 사회사상사, 1981
다다 가쓰미, 《환상세계의 주민들 IV》, 신기원사, 1990
하기와라 다쓰오 외, 야나기타 구니오 감수, 《종합일본민속어휘》, 헤이본샤, 1977
무라카미 겐지 편저, 《일본요괴대사전》, 가도카와 서점, 2005
이나다 아쓰노부, 다나카 나오비 편집, 다카다 마모루 감수, 《鳥山石燕 화도백귀야행》, 국서간행회, 1992

2. 어원 및 명칭

코다마는 '나무의 정령' 또는 '나무의 메아리'라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712년 고지키에는 나무의 신 '쿠쿠노치노 카미'가 등장하는데, 이는 코다마와 연관된 것으로 해석된다.[2] 헤이안 시대의 사전 와묘루이쥬쇼에는 나무의 신을 가리키는 일본 이름으로 '코다마(古多万일본어)'가 기록되어 있다.[2] 겐지모노가타리에는 "귀신인가 신(가미)인가 여우(키츠네)인가 코다마인가", "코다마의 오니"와 같은 구절이 있는데, 이를 통해 코다마가 요괴와 비슷한 존재로 여겨졌음을 알 수 있다.[2]

3. 특징 및 신앙

코다마는 산신 신앙과 연관되어 있으며, 산속을 자유롭게 돌아다닌다고 여겨진다. 코다마가 깃든 나무는 신성시되어 함부로 벨 수 없으며, 이를 어기면 저주를 받는다고 믿어졌다.[1] 코다마가 깃든 나무는 특정 종이라고 전해지며, 지역 노인들에 의해 대대로 보호되었다. 늙은 나무를 베면 피가 나온다는 이야기도 있다.[1]

코다마는 산의 신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712년 ''고지키''에 등장하는 나무의 신인 구쿠노치노 카미(Kukunochi no Kami)는 코다마로 해석되기도 하며, 헤이안 시대의 사전인 ''와묘루이쥬쇼''에는 "코다마"(古多万|고다마일본어)라는 이름으로 나무의 신에 대한 설명이 있다.[2] ''겐지모노가타리''에는 "오니, 신(가미), 여우(키츠네), 나무 정령(코다마)인가"와 "코다마의 오니"와 같은 구절이 있어, 코다마가 요괴와 가까운 존재로 여겨졌음을 알 수 있다.[2] 코다마는 대기 중의 유령불, 짐승, 인간의 모습을 취한다고 하며, 사랑하는 인간을 만나기 위해 인간의 모습으로 변한 코다마에 대한 이야기도 전해진다.[3]

이즈 제도 아오가시마에서는 큰 삼나무 밑에 사당을 짓고 '키다마사마', '코다마사마'로 숭배하는 등 수목 신앙의 흔적이 남아있다.[2] 하치조지마 미츠네 촌에서는 나무를 벨 때마다 나무의 정령인 '키다마사마'에게 제사를 지내는 전통이 있었다.[4]

오키나와 섬에서는 나무 정령을 "키이누시이"라고 부르며, 나무를 벨 때 먼저 키이누시이에게 기도를 드린 후 나무를 벤다. 한밤중에 나무가 쓰러지는 듯한 메아리가 들리지만 실제 쓰러진 나무가 없을 경우, 키이누시이의 고통스러운 목소리라고 하며, 며칠 후 나무가 시든다고 한다. 오키나와의 요괴로 알려진 키지무나는 때때로 키이누시이의 일종 또는 키이누시이의 의인화로 여겨지기도 한다.[2][5]

도리야마 세키엔의 ''화도백귀야행''에는 木魅("코다마")라는 제목 아래, 늙은 남녀가 나무 옆에 서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으며, 백 년을 넘은 나무에는 신령이 깃들어 모습을 드러낸다고 적혀 있다.[6]

현대에는 코다마가 깃든 나무를 베는 것은 불행을 가져온다고 여겨지며, 이러한 나무는 종종 ''시메나와'' 밧줄로 표시된다.[8]

4. 요괴로서의 코다마

겐지모노가타리에는 "오니, 신(가미), 여우(키츠네), 나무 정령(코다마)인가"와 같은 구절이 있어, 코다마가 요괴와 가까운 존재로 여겨졌음을 알 수 있다.[2] 코다마는 대기 중의 유령불, 짐승, 인간의 모습을 취한다고 하며, 사랑하는 인간을 만나기 위해 인간의 모습으로 변한 코다마에 대한 이야기도 있다.[3]

토리야마 세키엔의 화도백귀야행에는 '木魅일본어'(코다마)라는 제목 아래, 늙은 남녀가 나무 옆에 서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나무가 백 년을 넘으면 신령이 깃들어 모습을 드러낸다고 적혀 있다.[6] 13세기 료부 신토 지침서 ''레이키키''에 따르면, 코다마는 산의 깊은 곳에서 무리를 지어 발견될 수 있다. 그들은 가끔 말을 하며, 특히 사람이 죽을 때 들을 수 있다고 한다.[7]

5. 현대의 코다마

오늘날에도 코다마가 깃든 나무를 베는 것은 불행을 가져온다고 여겨지며, 이러한 나무는 시메나와 밧줄로 표시되기도 한다.[8] 코다마 신앙은 일본의 수목 숭배 사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며, 북유럽 등 다른 나라에서도 유사한 신앙 형태를 찾아볼 수 있다.

참조

[1] 서적 幻想動物事典 新紀元社
[2] 서적 日本怪談集 妖怪篇 社会思想社
[3] 서적 幻想世界の住人たち 新紀元社
[4] 서적 綜合日本民俗語彙 平凡社
[5] 서적 日本妖怪大事典 角川書店
[6] 서적 鳥山石燕 画図百鬼夜行 国書刊行会
[7] 웹사이트 '"もののけ姫"を読み解く' http://ghibli-fc.net[...] Tokyo: Comic Box 1997
[8] 서적 Mujara 1: Kantō, Hokkaidō, Okinawa-hen Soft Garage
[9] 서적 幻想動物事典 新紀元社
[10] 서적 日本怪談集 社会思想社
[11] 서적 幻想世界の住人たち 新紀元社
[12] 서적 綜合日本民俗語彙 平凡社
[13] 서적 日本妖怪大事典 角川書店
[14] 서적 鳥山石燕 画図百鬼夜行 国書刊行会
[15] 서적 幻想動物事典 新紀元社
[16] 서적 日本怪談集 社会思想社
[17] 서적 幻想世界の住人たち 新紀元社
[18] 서적 綜合日本民俗語彙 平凡社
[19] 서적 日本妖怪大事典 角川書店
[20] 서적 鳥山石燕 画図百鬼夜行 国書刊行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