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괘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괘불은 17세기 초부터 20세기 초까지 제작된 불교 미술 작품으로, 비로자나불, 영산회상, 미륵보살 등 다양한 소재로 그려졌다. 괘불에는 조성 연대, 화승, 시주자 등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며, 불교 문화와 신앙 형태의 변화를 보여준다. 현재 7점이 국보, 47점이 보물, 8점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괘불 - 서울 화계사 아미타괘불도 및 오여래도
    현재 제공된 정보 부족으로 서울 화계사 아미타괘불도 및 오여래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 작성이 어려우며, 관련 정보가 추가적으로 필요합니다.
  • 괘불 - 진천 영수사 영산회괘불탱
    진천 영수사 영산회괘불탱은 1730년 영수사에서 조성된 영산회상도로,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보살, 제자 등을 묘사한 17세기 후반 불교 미술의 특징을 보여주는 밝고 선명한 채색과 섬세한 묘사가 돋보이는 조선 후기 불교 회화이다.
괘불
개요
괘불
괘불
정의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할 때 법당 앞뜰에 걸어놓는 대형 불화
다른 이름불화 (佛畫)
불탱 (佛幀)
괘불탱 (掛佛幀)
역사
기원통일신라 시대
발전고려 시대
융성조선 시대
현존하는 괘불약 160여 점
특징
크기가로와 세로가 수 미터에 달하는 대형 그림
재료
종이
기법채색
주제부처
보살
나한
신중
보관 장소평소에는 사찰의 불전에 보관, 필요시에만 꺼내어 사용
종교적 의미부처의 공덕을 기리고 예배
재앙을 막고 복을 기원
불교 신앙의 상징
문화재 지정 현황
국가지정문화재 (보물)영주 부석사 괘불탱
곡성 태안사 괘불탱
구례 화엄사 괘불탱
합천 해인사 괘불탱
안성 석남사 괘불탱
청도 운문사 괘불탱
예천 용문사 괘불탱
상주 남장사 괘불탱
서울 호압사 괘불탱
순천 송광사 괘불탱
고흥 능가사 괘불탱
경산 환성사 괘불탱
김천 직지사 괘불탱
하동 쌍계사 괘불탱
제천 신륵사 괘불탱
보은 법주사 괘불탱
김제 금산사 괘불탱
영광 불갑사 괘불탱
장성 백양사 괘불탱
서울 봉은사 괘불탱
양산 통도사 괘불탱
영천 은해사 괘불탱
구례 천은사 괘불탱
남원 실상사 괘불탱
의성 고운사 괘불탱
군위 법주사 괘불탱
안동 광흥사 괘불탱
청양 장곡사 괘불탱
시도지정문화재각 지역의 괘불탱

2. 구성

괘불은 현존하는 작품을 기준으로 17세기 초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꾸준히 제작되었으며, 비로자나 삼신불, 영산회상, 미륵보살, 석가삼존불 등 다양한 소재로 그려졌고, 지역적인 제작 특징도 보인다. 또한, 각 시기마다 제작되는 도상의 내용과 표현 형식이 변화하는데, 이는 불교의 문화 역량과 신앙 형태의 변화에 따른 것으로 그 역사성과 문화적 가치를 살펴볼 수 있다.[4]

괘불의 화기(畵記)[5]에는 조성 연대와 화승, 제작에 필요한 각각의 공양물 등을 시주한 인명이 기록되어 있다.[6]

3. 문화재 지정 현황

괘불은 여러 점이 국보나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4] 현재 알려진 괘불 중 국보 7점, 보물 47점, 등록문화재 8점이 지정되었다.[2]

이름지정 상태
칠장사 오불회 괘불국보 296호
안심사 영산회 괘불국보 297호
갑사 삼세불 괘불국보 298호
신원사 노사나불 괘불국보 299호
장곡사 미륵불 괘불국보 300호
화엄사 영산회 괘불국보 301호
청곡사 영산회 괘불국보 302호
청량산 보광사 괘불보물 1210호
칠장사 삼불회 괘불보물 1256호
청룡사 영산회 괘불보물 1257호
보살사 영산회 괘불보물 1258호
법주사 괘불보물 1259호
마곡사 석가여래 괘불보물 1260호
광덕사 노사나불 괘불보물 1261호
용봉사 영산회 괘불보물 1262호
수덕사 노사나불 괘불보물 1263호
개심사 영산회 괘불보물 1264호
무량사 미륵불 괘불보물 1265호
금당사 괘불보물 1266호
안국사 영산회 괘불보물 1267호
내소사 영산회 괘불보물 1268호
개암사 괘불 및 초본보물 1269호
은해사 괘불보물 1270호
수도사 노사나불 괘불보물 1271호
북장사 영산회 괘불보물 1278호
중림사 석가여래 괘불보물 1279호
율곡사 괘불보물 1316호
운흥사 괘불 및 복장물보물 1317호
흥국사 노사나불 괘불보물 1331호
오덕사 괘불보물 1339호
천은사 괘불보물 1340호
도림사 괘불보물 1341호
미황사 괘불보물 1342호
다보사 괘불보물 1343호
금탑사 괘불보물 1344호
만연사 괘불보물 1345호
통도사 석가여래 괘불보물 1350호
통도사 괘불보물 1351호
용흥사 삼불회 괘불보물 1374호
축서사 괘불보물 1379호
선암사 석가여래 괘불보물 1419호
적천사 괘불 및 지주보물 1432호
예천 용문사 영산회 괘불보물 1445호
남해 용문사 괘불보물 1446호
진천 영수사 영산회 괘불보물 1551호
해남 대흥사 영산회 괘불보물 1552호
영주 부석사 오불회 괘불보물 1562호
성주 선석사 영산회 괘불보물 1608호
포항 보경사 괘불보물 1609호
문경 김룡사 영산회 괘불보물 1640호
안동 봉정사 영산회 괘불보물 1642호
통영 안정사 영산회 괘불보물 1692호
하동 쌍계사 괘불보물 1695호
남양주 봉선사 비로자나삼존 괘불보물 1792호
통영 용화사 괘불등록문화재 622호
사천 다솔사 괘불등록문화재 623호
진주 의곡사 괘불등록문화재 624호
완주 화암사 괘불등록문화재 625호
천황사 괘불등록문화재 626호
불교 의례 괘불등록문화재 627호
대구 동화사 괘불등록문화재 628호
고양 대성암 아미타삼존 괘불등록문화재 649호


3. 1. 국보 괘불

여러 점의 괘불이 국보나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4] 현재까지 알려진 괘불 중 7점이 국보로 지정되었다.[2]

이름지정 상태
칠장사 오불회 괘불국보 296호
안심사 영산회 괘불국보 297호
갑사 삼세불 괘불국보 298호
신원사 노사나불 괘불국보 299호
장곡사 미륵불 괘불국보 300호
화엄사 영산회 괘불국보 301호
청곡사 영산회 괘불국보 302호


3. 2. 보물 괘불

현재까지 알려진 괘불 가운데 47점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2]

이름지정 상태
청량산 보광사 괘불보물 제1210호
칠장사 삼불회 괘불보물 제1256호
청룡사 영산회 괘불보물 제1257호
보살사 영산회 괘불보물 제1258호
법주사 괘불보물 제1259호
마곡사 석가여래 괘불보물 제1260호
광덕사 노사나불 괘불보물 제1261호
용봉사 영산회 괘불보물 제1262호
수덕사 노사나불 괘불보물 제1263호
개심사 영산회 괘불보물 제1264호
무량사 미륵불 괘불보물 제1265호
금당사 괘불보물 제1266호
안국사 영산회 괘불보물 제1267호
내소사 영산회 괘불보물 제1268호
개암사 괘불 및 초본보물 제1269호
은해사 괘불보물 제1270호
수도사 노사나불 괘불보물 제1271호
북장사 영산회 괘불보물 제1278호
중림사 석가여래 괘불보물 제1279호
율곡사 괘불보물 제1316호
운흥사 괘불 및 복장물보물 제1317호
흥국사 노사나불 괘불보물 제1331호
오덕사 괘불보물 제1339호
천은사 괘불보물 제1340호
도림사 괘불보물 제1341호
미황사 괘불보물 제1342호
다보사 괘불보물 제1343호
금탑사 괘불보물 제1344호
만연사 괘불보물 제1345호
통도사 석가여래 괘불보물 제1350호
통도사 괘불보물 제1351호
용흥사 삼불회 괘불보물 제1374호
축서사 괘불보물 제1379호
선암사 석가여래 괘불보물 제1419호
적천사 괘불 및 지주보물 제1432호
예천 용문사 영산회 괘불보물 제1445호
남해 용문사 괘불보물 제1446호
진천 영수사 영산회 괘불보물 제1551호
해남 대흥사 영산회 괘불보물 제1552호
영주 부석사 오불회 괘불보물 제1562호
성주 선석사 영산회 괘불보물 제1608호
포항 보경사 괘불보물 제1609호
문경 김룡사 영산회 괘불보물 제1640호
안동 봉정사 영산회 괘불보물 제1642호
통영 안정사 영산회 괘불보물 제1692호
하동 쌍계사 괘불보물 제1695호
남양주 봉선사 비로자나삼존 괘불보물 제1792호


3. 3. 등록문화재 괘불

현재까지 알려진 괘불 가운데 8점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2]

이름지정 상태
통영 용화사 괘불등록문화재 제622호
사천 다솔사 괘불등록문화재 제623호
진주 의곡사 괘불등록문화재 제624호
완주 화암사 괘불등록문화재 제625호
천황사 괘불등록문화재 제626호
불교 의례 괘불등록문화재 제627호
대구 동화사 괘불등록문화재 제628호
고양 대성암 아미타삼존 괘불등록문화재 제649호


참조

[1] 웹사이트 RESEARCH ON TRADITIONAL PAINTINGS http://nrich.go.kr/e[...] 2017-07-15
[2] 웹사이트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ttp://www.cha.go.kr[...]
[3] 웹인용 괘불 https://stdict.korea[...] 2020-09-14
[4] 웹인용 "[괘불(掛佛)조사 보고서 제3집] 발간" https://www.cha.go.k[...] 2005-07-08
[5] 문서 화기(畵記)란 불화에 기록된 명문을 말한다.
[6] 웹인용 괘불(掛佛)이란 무엇인가요? http://www.nrich.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