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는 생명 연구 자원 정보 관리 및 활용을 위해 설립된 기관이다. 2001년 10월 과학기술부 지정 국가유전체정보센터로 설립되었으며, 2006년 "국가생물자원정보관리센터"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10년 3월 현재의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로 명칭을 변경하고 교육과학기술부 지정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물학 연구소 - 파스퇴르 연구소
프랑스의 화학자이자 미생물학자인 루이 파스퇴르가 1887년 설립한 파스퇴르 연구소는 의학 발전과 전 세계적인 질병 대응에 기여하며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연구 기관이다. - 생물학 연구소 - 워싱턴 카네기 연구소
워싱턴 카네기 연구소는 1902년 앤드루 카네기가 설립한 과학 연구 기관으로, 천문학, 지구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며 과학 교육에도 기여한다. - 대전광역시 - 토지주택연구원
토지주택연구원은 2009년 대한주택공사와 한국토지공사의 통합으로 설립된 연구 기관이며, 주택문제연구소에서 시작하여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대전 대덕연구단지 내에 위치하며 토지주택대학을 소속 기관으로 두고 있다. - 대전광역시 - 기초과학연구원
기초과학연구원은 대한민국의 기초과학 연구를 목표로 2011년 설립되었으며, 대전 본원을 중심으로 다양한 분야의 연구단을 운영하고 노벨상 수상을 목표로 하는 연구 기관이다. - 생물정보학 - Rosetta@home
Rosetta@home은 분산 컴퓨팅 플랫폼 BOINC를 활용하여 단백질 구조 예측 연구를 수행하며, 신약 개발 및 질병 연구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생물정보학 - 발현체학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명칭 |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 |
영문 명칭 | Korean Bioinformation Center |
약칭 | KOBIC |
유형 | 연구 센터 |
산업 분야 | 생물정보학 |
본사 위치 |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
주요 인물 | 초대 센터장: 박종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KOBIC 공식 웹사이트 |
주요 사업 | |
주요 사업 | 생물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서비스 생물정보 분석 파이프라인 개발 및 서비스 생물정보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운영 생물정보 관련 연구 개발 |
보유 자원 | |
데이터베이스 | Patome (Patome 데이터베이스) miRGator (miRGator 데이터베이스) Korean Genome (Korean Genome 데이터베이스) |
관련 단체 | |
관련 단체 | 한국생물정보학회 |
2. 연혁
2. 1. 국가유전체정보센터 설립 (2001)
2001년 4월, 국가유전체정보센터 설치 및 운영 기본계획이 수립되었다.[1] 같은 해 7월에는 국가유전체정보센터의 세부 사업추진계획이 확정되었다.[1] 이후 2001년 10월, 과학기술부(과기부) 지정 국가유전체정보센터가 설립되었다.[1]2. 2. 국가생물자원정보관리센터 시기 (2006-2009)
- 2006년 3월, "국가생물자원정보관리센터"로 명칭을 변경하고 개소하였다.[1]
- 2007년 1월, 센터 사업이 기관 고유 일반사업으로 전환되었다.[1]
- 2007년 12월, "국가생명연구자원 확보 · 관리 및 활용 마스터플랜"이 수립되었다.[1]
- 2008년 8월, "국가연구개발사업관리규정"이 대통령령으로 개정되었다.[1]
- 2009년 5월, "생명연구자원의 확보 · 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이 공표되었다.[1]
2. 3.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 시기 (2010-현재)
2010년 3월, 교육과학기술부(현 교육부) 지정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로 명칭이 변경 및 개소되었다.[1]참조
[1]
웹사이트
About Us
http://www.kobic.re.[...]
2014-09-05
[2]
간행물
Bioinformatics Resources of the Korean Bioinformation Center (KOBIC)
2010-12-31
[3]
웹사이트
Korean Society for Bioinformatics (KSBI)
http://www.asiabiote[...]
2014-09-05
[4]
간행물
miRGator v3.0: a microRNA portal for deep sequencing, expression profiling and mRNA targeting
2012-11-27
[5]
간행물
Patome: a database server for biological sequence annotation and analysis in issued patents and published patent applications
2007-01
[6]
웹사이트
:: Korean Genome
http://koreagenome.k[...]
2014-09-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