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수리과학연구소는 수학 분야의 국가 경쟁력 확보, 전문 인력 양성, 과학 기술 및 산업과의 연계 강화를 위해 설립된 연구기관이다. 2005년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부설로 설립되어, 2012년 기초과학연구원 부설 연구소로 이관되었다. 수리과학 연구 수행, 학술 정보 제공, 인력 양성, 대내외 협력, 수리과학 대중화 사업 등을 주요 임무로 하며, 공공문제연구팀, 암호기술연구팀 등 다양한 연구팀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전 유성구 - 진잠군
    진잠군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서구, 계룡시에 걸쳐 있던 옛 행정 구역으로, 백제 시대부터 역사가 시작되어 고려 시대에는 고려청자 도요지가 운영되었고, 일제강점기에 대전군에 합병되었다.
  • 대전 유성구 - 노은동
    노은동은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있는 행정동으로 백제 시대부터 유래한 오랜 역사를 지니며, 월드컵 개최 후 인구 증가로 분동되어 현재 3개의 행정동으로 나뉘었고, 도시철도와 도로망이 잘 갖춰져 있으며 연구 시설, 주요 기관, 월드컵경기장, 현충원, 아파트 단지 등이 위치한다.
  • 수학 연구소 - 중국과학원
    중국과학원은 1949년 설립된 중화인민공화국의 국립 과학 학술기관이자 세계 최대 규모의 연구 기관으로, 12개 분원, 100개 이상의 연구소, 3개의 대학교 등을 산하에 두고 자연과학 분야 연구와 기술 개발을 수행하며 중국 과학기술 발전을 주도하고 국가 정책에 자문하는 역할을 한다.
  • 수학 연구소 - 스테클로프 수학 연구소
  • 대전광역시 - 토지주택연구원
    토지주택연구원은 2009년 대한주택공사와 한국토지공사의 통합으로 설립된 연구 기관이며, 주택문제연구소에서 시작하여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대전 대덕연구단지 내에 위치하며 토지주택대학을 소속 기관으로 두고 있다.
  • 대전광역시 - 기초과학연구원
    기초과학연구원은 대한민국의 기초과학 연구를 목표로 2011년 설립되었으며, 대전 본원을 중심으로 다양한 분야의 연구단을 운영하고 노벨상 수상을 목표로 하는 연구 기관이다.
국가수리과학연구소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국가수리과학연구소 표지판
국가수리과학연구소 표지판
공식 명칭국가수리과학연구소
영문 명칭National Institute for Mathematical Sciences
종류정부 조직
목적수학
설립일2005년 10월 1일
소재지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대로1689번길 70
웹사이트국가수리과학연구소
조직
소속기초과학연구원
기관장 직책소장
기관장 성명현윤경 (직무대행)
규모
직원 수61명
기타
연구 분야수학
인공지능
사명/비전수학 연구 및 응용을 통한 국가 경쟁력 강화

2. 설립 목적

전문적인 수학 연구를 통해 수학 분야의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전문 인력을 양성하며, 수학을 기반으로 과학 기술 및 산업과의 연계를 강화한다.

3. 연혁


  • 2005년 10월 1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부설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설립[7]
  • 2005년 10월: 초대 소장 조용승 박사 취임
  • 2008년 10월: 제2대 소장 김정한 박사 취임[8]
  • 2010년 8월: KT대덕제2연구센터로 청사 이전
  • 2012년 8월: 교육과학기술부 직할기관 기초과학연구원 부설연구소로 이관
  • 2012년 9월: 제3대 소장 김동수 박사 취임[9][10]
  • 2013년 11월: 수학원리응용센터(CAMP) 출범
  • 2014년 10월: '산업과 수학' 국제 워크숍 개최
  • 2015년 9월 18일: 제4대 소장 박형주 박사 취임[11][12]
  • 2016년 3월 24일: 산업수학혁신센터 개소(판교 스타트업캠퍼스 내)
  • 2018년 1월 30일: 제5대 소장 정순영 박사 취임[13][14]
  • 2019년 2월 15일: 산업수학혁신센터 이전(광교 경기도 경제진흥원 R&DB센터 내)
  • 2019년 2월 21일: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의료수학센터 개소(대전 본원)
  • 2020년 4월 1일: 국가수리과학연구소 부산의료수학센터 개소(부산대학교병원 융합의학연구동 내)
  • 김현민[15] (2021년 3월 15일–현재)

4. 주요 임무

국가수리과학연구소

  • 수학 분야의 국가 경쟁력 확보 및 전문 인력 양성, 과학 기술 및 산업과의 연계 강화를 위한 전문적인 수학 연구를 수행한다.
  • 수리과학 관련 연구를 진행한다.
  • 수리과학 관련 학술 및 연구 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한다.
  • 수리과학 관련 인력을 양성하고 대내외 협력을 추진한다.
  • 수리과학 대중화 및 기타 필요한 사업을 운영한다.

5. 주요 연구팀

연구팀명센터명
공공문제연구팀
암호기술연구팀
산업수학혁신팀광교 산업수학혁신센터
수학원리응용팀수학원리응용센터
의료영상연구팀
의료데이터분석연구팀
수리모델링팀
감염병연구팀
의료수학전략연구팀
부산의료수학팀부산의료수학센터


6. 역대 원장

취임일이름
2005년 10월 1일조용승[7]
2008년 10월 17일김정한[8]
2012년 9월 11일김동수[9][10]
2015년 9월 18일박형주[11][12]
2018년 1월 30일정순영[13][14]
2021년 3월 15일김현민[15]


참조

[1] 웹사이트 Research Fields https://www.nims.re.[...] 2022-04-05
[2] 웹사이트 김현민 수리연 소장 "수학, AI의 핵심…투자 턱없이 부족해" https://www.fnnews.c[...] Newsis 2023-05-26
[3]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nims.re.[...] 2022-04-05
[4] 웹사이트 "[기고] 수학이 국가의 미래다" https://m.khan.co.kr[...] Kyunghyang Shinmun 2022-04-05
[5] 웹사이트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신청사 이전 속도낼까 http://m.daejonilbo.[...] 대전일보 2022-04-05
[6] 웹사이트 Mission/Vision https://www.nims.re.[...] 2023-05-26
[7] 웹사이트 역대 기관장 https://www.nims.re.[...] 2022-04-05
[8] 뉴스 수리硏 김정한 소장 성급한 해임 논란 http://news.hankooki[...] 2011-08-18
[9] 웹사이트 국가수리과학연구소 김동수 신임 소장 취임 https://www.kms.or.k[...] 2022-04-05
[10] 웹사이트 국가수리과학연구소, 김동수 소장 https://science.ytn.[...] 2022-04-05
[11] 웹사이트 박형주 수리과학硏 소장 1년 9개월 만에 돌연 사표 https://www.dongasci[...] 2022-04-05
[12] 웹사이트 ‘나이팅게일 리더십’이 필요한 사회 https://topclass.cho[...] 2022-04-05
[13] 웹사이트 정순영 국가수리과학연구소장, 2019년 교육부 선정 이공계 우수 연구자 https://www.hankyung[...] 2022-04-05
[14] 웹사이트 후보 재공모, 후보사퇴, 노조성명까지...국가수리연 진통 끝 새 소장에 김현민 교수 https://www.dongasci[...] 2022-04-05
[15] 웹사이트 김현민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소장 “4차 산업혁명 성공하려면 수학에 투자해야” https://www.futureko[...] null 2022-04-05
[16] 웹인용 3. 임직원 수 https://alio.go.kr/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