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금도마뱀붙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도마뱀붙이는 베트남 남부에 분포하는 도마뱀붙이의 일종이다. 몸통이 금색 비늘로 덮여 있으며, 수컷은 꼬리 밑동에 혹덩어리와 대퇴공이 있는 반면 암컷은 이러한 특징이 없다. 주로 곤충을 먹고 과일도 섭취하며, 난생을 한다. 애완동물 시장에서 활발하게 거래되지 않으며, 사육 시에는 암컷은 합사 가능하지만 수컷은 분리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마뱀붙이속 - 모나크도마뱀붙이
    모나크도마뱀붙이는 납작한 체형에 혹이 난 거친 피부를 가지고 꼬리가 재생되며, 수컷은 소리를 내어 구애하고 뒤통수에 W자 무늬가 있으며 곤충을 먹는 도마뱀붙이류이다.
  • 도마뱀붙이속 - 큰숲도마뱀붙이
    큰숲도마뱀붙이는 최대 35cm까지 성장하는 대형 도마뱀붙이류의 일종으로, 동남아시아 숲에 분포하며 곤충을 포식하고 한 번에 두 개의 알을 낳는다.
  • 1994년 기재된 파충류 - 쓰시마살무사
    쓰시마살무사는 난태생으로 번식하고 개구리나 땃쥐 등을 먹으며 서식지를 깨끗하게 유지하려는 본능이 강해 먹이 찌꺼기나 배설물을 치우는 독특한 청소 행동을 보인다.
  • 1994년 기재된 파충류 - 프롱낮도마뱀붙이
    프롱낮도마뱀붙이는 최대 11cm까지 자라는 낮도마뱀붙이류의 도마뱀붙이로, 회색 몸에 노란색 머리와 검은색 줄무늬를 가지며 마다가스카르 고지대 우림에 서식하며 곤충 등을 먹고 심각한 멸종위기종이다.
금도마뱀붙이
기본 정보
금도마뱀붙이
금도마뱀붙이
학명Gekko badenii
명명자Szczerbak & Nekrasova, 1994
이명Gekko ulikovskii
이명 명명자Darevsky & Orlov, 1994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파충류강
뱀목
하목도마뱀붙이하목
도마뱀붙이과
도마뱀붙이속
금도마뱀붙이
보존 상태
IUCNEN (멸종 위기)
IUCN 버전3.1
IUCN 참고Nguyen, N.S., Golynsky, E., Milto, K. & Nguyen, T.Q. 2018. Gekko badenii.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8: e.T178554A112309489. https://dx.doi.org/10.2305/IUCN.UK.2018-2.RLTS.T178554A112309489.en
분포
금도마뱀붙이 분포도
금도마뱀붙이 분포도

2. 어원

종명 ''badenii''는 금도마뱀붙이가 토착하는 바댄산(Núi Bà Đen)을 의미하며, Bà Đen은 '검은 여인'을 뜻한다.[6][2]

3. 형태

금도마뱀붙이는 이름처럼 온몸이 금색 비늘로 뒤덮여있다. 수컷은 꼬리까지 7cm~8cm까지 자라는 반면, 암컷은 5cm~6cm까지 자란다.[7][3] 수컷은 꼬리 밑동이 더 길고, 꼬리 밑동에 혹덩어리가 있다. 대퇴공은 다리 밑에 있지만 암컷은 혹덩어리도 대퇴공도 없다. 금도마뱀붙이는 몸에 있는 금색 비늘에서 일반명을 얻었다.

4. 분포와 서식지

금도마뱀붙이는 베트남 남부 떠이닌성과 학명의 이명 ''Gekko ulikovskii'' 유래인 꼰뚬성에 분포한다.[5] 서식지에 대해서는 정확한 정보가 없지만, 저지대 우림에 서식하는 것으로 보인다.[5]

''G. badenii''의 자연 서식지는 해발 986m 고도까지의 저지대 열대 우림을 포함한 화강암 바위 지역이다.[1]

5. 식단

금도마뱀붙이는 주로 곤충을 먹지만, 과일도 섭취하며 잎에 고인 빗물을 마셔 수분을 보충한다.[1]

6. 번식

금도마뱀붙이는 난생한다.[8][4]

7. 사육

금도마뱀붙이는 애완동물 시장에서 활발하게 거래되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 야생에서 잡은 것이다.[7] 성체를 사육하려면 가급적 80L 이상의 크기의 테라리움을 준비해야 하지만, 40L~60L 크기의 수직형 테라리움을 사용할 수도 있다. 암컷은 합사할 수 있지만 수컷은 서로 싸우기 때문에 함께 사육해서는 안 된다.[3][7] 유체를 사육할 때는 먹이를 매일 줘야 하지만, 성체는 5-6일마다 주면 된다. 아성체와 성체는 귀뚜라미, 밀웜, 왁스웜, 바나나나 망고 등의 과일 따위의 칼슘이 풍부한 음식을 먹이는 게 좋다.[7]

참조

[1] 간행물 "''Gekko badenii ''" 2018
[2]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Golden Gecko Care Guide http://www.reptilesn[...] 2016-05-16
[4] EMBL www.reptile-database[...]
[5] 간행물 Gekko badenii https://dx.doi.org/1[...] 2018
[6]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7] 웹인용 Golden Gecko Care Guide http://www.reptilesn[...] 2016-05-16
[8] 문서 "''Gekko badenii'' " www.reptile-databa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