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금양잡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금양잡록(衿陽雜錄)은 조선 성종 때의 문신 강희맹(姜希孟)이 1492년에 저술한 농업 서적입니다. 강희맹이 관직에서 물러나 경기도 금양현(衿陽縣, 현재의 서울 서남부 지역, 광명시, 옛 시흥군 일대)에서 직접 농사를 지으면서 얻은 경험과 그 지역 농민들에게서 배운 지식을 바탕으로 쓰여졌습니다.
주요 내용:


  • 농가곡품(農家穀品): 벼, 콩 등 여러 곡식의 품종과 특성을 설명합니다.
  • 농담(農談): 농사와 관련된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 농자대(農者對): 농부와의 대화 형식을 빌려 농사 기술을 설명합니다.
  • 제풍변(諸風辨): 바람의 성격과 농사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합니다.
  • 종곡의(種穀宜): 씨앗 뿌리기에 적합한 시기를 다룹니다.
  • 농구(農謳): 농가(農歌)를 채록하여 수록했습니다.

특징 및 의의:

  • 사찬(私撰) 농서: 국가 주도로 편찬된 《농사직설(農事直說)》과 달리, 금양잡록은 강희맹 개인이 경험과 견문을 바탕으로 저술한 사찬 농서입니다.
  • 지역 농서: 금양현 지역의 농사 기술과 특색을 담고 있는 지역 농서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닙니다.
  • 농업 기술: 한국 고유의 농사 기술과 벼 품종에 대한 자세한 기록이 담겨 있습니다. 특히, 중국과 일본에서 들여온 벼 품종에 대한 소개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 국어사적 가치: 이두와 한글이 많이 사용되어 15세기 조선 전기의 언어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로 활용됩니다.
  • 후대 영향: 이후에 편찬된 농서인 《농가집성(農家集成)》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금양잡록은 조선 전기 농업 기술과 농촌 사회의 모습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며, 현재 일본 도쿄 내각문고(內閣文庫)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