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몸초롱이끼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긴몸초롱이끼과는 굴곡진 캡슐, 탈락성 잎 끝, 물결 모양의 타원형 및 비대칭 잎, 거친 톱니 모양의 가장자리, 매끄러운 잎 세포 등의 형태적 특징을 공유하는 이끼 과이다. 분류는 수정 과정을 거쳐왔으며, 1860년 빌헬름 필리프 쉼퍼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 긴몸초롱이끼속, Mesochaete, Hymenodontopsis 속을 포함하며, 참이끼아강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끼 - 물이끼강
물이끼강은 선태식물문에 속하는 이끼류의 한 강으로, 물이끼목과 멸종된 Protosphagnales을 포함하며 타카키아강, 검정이끼강 등과 함께 선태식물문을 구성한다. - 이끼 - 안드레아에오브리움 마크로스포룸
긴몸초롱이끼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 | |
학명 | Aulacomniaceae |
명명자 | Schimp. |
속 | 긴몸초롱이끼속 |
2. 형태적 특징
Bell 등(2007)은 긴몸초롱이끼과 구성원들이 굴곡진 캡슐, 탈락성 잎 끝, 물결 모양의 타원형 및 비대칭 잎, 거친 톱니 모양의 가장자리, 매끄러운 잎 세포 등을 공유하는 형태학적 특징을 보인다고 설명한다.[2]
긴몸초롱이끼과의 분류는 여러 차례 수정되었다. 1860년 빌헬름 필리프 쉼퍼가 자신의 저서 ''Synopsis Muscorum Europaeorum''에서 처음 기술했다.[3] Bell et al. (2007)은 이 과를 Aulacomniales으로 격상시켰으나,[2] Goffinet et al. (2009)의 분류에서는 Rhizogoniales에 포함시켰다.[1]
긴몸초롱이끼과의 분류는 여러 차례 수정되었다. 1860년 빌헬름 필리프 쉼퍼가 자신의 저서 ''Synopsis Muscorum Europaeorum''에서 처음 기술했다.[3] Bell et al. (2007)은 이 과를 긴몸초롱이끼목으로 격상시켰으나,[2] Goffinet et al. (2009)의 분류에서는 Rhizogoniales에 포함시켰다.[1]
[1]
논문
Morphology and classification of the Bryophyta
2009
3. 분류
2019년 콜(Cole)과 힐거(Hilger), 고피넷(Goffinet) 연구에 기초한 참이끼아강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5]
{| class="wikitable"
|-
| 참이끼아강
|-
| {| class="wikitable"
|-
| 화병이끼목
|-
| {| class="wikitable"
|-
| 톳이끼목
|-
| {| class="wikitable"
|-
| 구슬이끼과
|-
| {| class="wikitable"
|-
| 참이끼목
|-
| {| class="wikitable"
|-
| 너구리꼬리이끼목
|-
| 털깃털이끼상목
|-
| {| class="wikitable"
|-
| 선주름이끼과
|-
| {| class="wikitable"
|-
| 오르토돈티움과
|-
| {| class="wikitable"
|-
| 긴몸초롱이끼과
|-
| {| class="wikitable"
|-
| 히프노덴드론목
|-
| {| class="wikitable"
|-
| 프티콤니온과
|-
| {| class="wikitable"
|-
| 공작이끼과
|-
|
|}
|}
|}
|}
|}
|}
|}
|}
|}
|}
|}
|}
3. 1. 하위 속
4. 계통 분류
이 과에는 다음 속들이 포함된다.4. 1. 계통도
2019년 콜(Cole)과 힐거(Hilger), 고피넷(Goffinet) 연구에 기초한 참이끼아강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5]
{| class="wikitable"
|-
! 참이끼아강
|-
|
{| class="wikitable"
|-
| 화병이끼목
|-
|
{| class="wikitable"
|-
| 톳이끼목
|-
|
{| class="wikitable"
|-
| 구슬이끼과
|-
|
{| class="wikitable"
|-
| 참이끼목
|-
|
{| class="wikitable"
|-
| 너구리꼬리이끼목
|-
! 털깃털이끼상목
|-
|
{| class="wikitable"
|-
| 선주름이끼과
|-
|
{| class="wikitable"
|-
| 오르토돈티움과
|-
|
{| class="wikitable"
|-
| 긴몸초롱이끼과
|-
|
{| class="wikitable"
|-
| 히프노덴드론목
|-
|
{| class="wikitable"
|-
| 프티콤니온과
|-
|
{| class="wikitable"
|-
| 공작이끼과
|-
|기름종이이끼목 털깃털이끼목
|}
|}
|}
|}
|}
|}
|}
|}
|}
|}
|}
|}
참조
[2]
간행물
Taxonomy and Phylogeny in the Earliest Diverging Pleurocarps: Square Holes and Bifurcating Pegs
http://www.jstor.org[...]
2007
[3]
웹사이트
''Aulacomniaceae''
http://www.tropicos.[...]
[4]
웹인용
Species 2000 & ITIS Catalogue of Life: 2014 Annual Checklist.
http://www.catalogue[...]
Species 2000: Reading, UK.
2015-07-14
[5]
저널
Bryophyte Phylogeny Poster (BP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