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자수선생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김자수 선생 묘(金自粹先生墓)는 경기도 광주시 신현동에 있는 고려 시대 문신 상촌(桑村) 김자수(金自粹, 1350~1413) 선생의 묘소입니다. 1987년 2월 12일에 경기도 기념물 제98호로 지정되었습니다.
김자수 선생에 대하여


  •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자는 순중(純仲), 호는 상촌(桑村)입니다.
  • 1374년(공민왕 23년)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거쳐 충청도도관찰사에 이르렀습니다.
  • 우왕 초 사간원의 정언으로 있을 때, 왜구 토벌의 공로로 포상받은 조민수의 사은편지에 회답하는 교서를 지으라는 왕명을 받았으나, 조민수가 왜구와의 전투에서 도망쳐 많은 병사를 죽게 하였다는 이유로 거절하여 전라도 돌산에 유배되기도 하였습니다.
  • 고려 말 정치 상황이 혼란해지자 관직을 버리고 낙향하여 두문불출하였습니다.
  • 조선 개국 후 태종이 형조판서를 제수하였으나, 이를 거절하고 고려의 망국을 비관하다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습니다.

묘소의 특징

  •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 불곡산(335m) 동남쪽 지맥의 북서 사면에 위치합니다.
  • 묘역은 골짜기 사이로 남동-북서 방향으로 뻗어 내린 작은 능선 위에 조성되어 있으며, 좌향은 북서향입니다.
  • 원형의 봉분 앞에는 1단의 계체석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 김자수 선생의 유언으로 묘비는 세우지 않았습니다.
  • 신도비는 땅에 묻혀 있던 것을 1926년에 후손들이 발굴하였으나, 비문의 마모가 심하여 새로 채유후(蔡裕後)가 내용을 지어 건립하였습니다. 옛 신도비는 누워 있기에 '와비(臥碑)'라고 불립니다.


김자수 선생 묘는 고려 말 충신의 절개와 조선 건국에 반대한 그의 굳은 의지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유적입니다.

김자수선생묘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대체 이미지 남성-ko.svg
김자수 선생 묘
유형기념물
지정 번호98
지정일1987년 2월 12일
주소경기도 광주시 신현동 산120-1번지
관리경주김씨종중
꼬리표광주 신현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