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깃복슬털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깃복슬털과는 홍조식물문의 진정홍조강에 속하는 과이다. Algaebase에 따르면 깃복슬털과에는 Compsothamnioideae와 Spongoclonioideae 두 아과가 있으며, 여러 속과 족으로 세분된다. 한국 해역에서는 비단잘록이속, 오디풀속, 빗가지속, 깃복슬털속 등이 발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정홍조강 - 우뭇가사리
    우뭇가사리는 피코빌리단백질 색소를 가진 연골질 해조류로, 동아시아에서 식량으로 이용되며 우무, 샐러드, 푸딩, 잼 등으로 섭취하거나 한천의 원료, 바이오 연료로도 연구되는 수배우체, 암배우체, 포자체의 세 몸체를 가진 해조류이다.
  • 진정홍조강 - 분홍국수말과
    분홍국수말과는 불규칙적이고 원추형 형태를 가지며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홍조류의 한 과이다.
깃복슬털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학명Wrangeliaceae J. Agardh, 1851
분류
진핵생물
원시색소체생물 (미분류)
홍조식물문
진정홍조강
비단풀목
깃복슬털과

2. 하위 속

깃복슬털과는 다양한 속을 포함하며, 이들 속은 다시 여러 종으로 나뉜다. Algaebase에 따르면, 깃복슬털과에는 다음과 같은 속들이 속한다.[2]


  • ''Anisoschizus''
  • 민털이풀속 (''Anotrichium'')
  • ''Antarcticothamnion''
  • ''Baldockia''
  • ''Boreothamnion''
  • ''Compsothamnion''
  • ''Dasyphila''
  • ''Dasyptilon''
  • ''Dasythamniella''
  • ''Desikacharyella''
  • ''Deucalion''
  • ''Diplothamnion''
  • ''Drewiana''
  • ''Gordoniella''
  • ''Grallatoria''
  • 비단잘록이속 (''Griffithsia'')
  • ''Guiryella''
  • ''Gymnophycus''
  • 공작풀속 (''Gymnothamnion'')
  • ''Haloplegma''
  • ''Halurus''
  • ''Hommersandiella''
  • ''Interthamnion''
  • ''Involucrana''
  • ''Lejolisia''
  • ''Lomathamnion''
  • ''Lophothamnion''
  • ''Mazoyerella''
  • ''Medeiothamnion''
  • 외포자비단풀속 (''Monosporus'')
  • ''Mortensenia''
  • ''Muellerena''
  • ''Neoptilota''
  • 오디풀속 (''Pleonosporium'')
  • ''Plumaria''
  • 깃가지덮개속 (''Plumariella'')
  • ''Plumariopsis''
  • 빗가지속 (''Ptilota'')
  • ''Ptilothamnion''
  • ''Ptilothamnionopsis''
  • ''Rhipidothamnion''
  • ''Rhododictyon''
  • ''Scagelonema''
  • ''Shepleya''
  • ''Spencerella''
  • ''Spermothamnion''
  • ''Sphondylothamnion''
  • 돌림가지말속 (''Spongoclonium'')
  • ''Stegengaea''
  • ''Tanakaella''
  • ''Tiffaniella''
  • ''Tokidaea''
  • ''Vickersia''
  • ''Woelkerlingia''
  • ''Wollastoniella''
  • 깃복슬털속 (''Wrangelia'')

2. 1. Compsothamnioideae 아과

콤프소탐니온아과(Compsothamnioideae)는 De Toni가 명명한 아과이다.[2] Algaebase 기준으로 다음 3개 족, 21개 속을 포함한다.[2]

  • Compsothamnieae 족: F.Schmitz와 Hauptfleisch가 명명하였으며 17개 속을 포함한다.
  • Lasiothalieae 족: H.B.S.Womersley가 명명하였으며 1개 속을 포함한다.
  • Radiathamnieae 족: Gordon-Mills와 Kraft가 명명하였으며 3개 속을 포함한다.

2. 1. 1. Compsothamnieae 족

Algaebase에서 인정된 종(속당 대략적인 종 수)을 기준으로 한다.[2] 콤프소탐니온족(Compsothamnieae)은 다음 8개 속에 17종을 포함한다.

  • ''Antarcticothamnion'' R.L.Moe & P.C.Silva (1종)
  • ''Compsothamnion'' (Nägeli) F.Schmitz (4종)
  • ''Dasythamniella'' P.C.Silva (5종)
  • ''Gymnophycus'' Huisman & Kraft (3종)
  • ''Mortensenia'' Weber Bosse (1종)
  • ''Rhododictyon'' W.R.Taylor (1종)
  • ''Scagelonema'' R.E.Norris & M.J.Wynne (1종)
  • ''Spencerella'' Darbishire (1종)

2. 1. 2. Lasiothalieae 족


  • ''Lasiothalieae'' H.B.S.Womersley (1)
  • * ''Lasiothalia'' Harvey (1)

2. 1. 3. Radiathamnieae 족

Algaebase에서 인정된 종(속당 대략적인 종 수)을 기준으로 한다.[2]

  • ''Laurenciophila'' Stegenga (1)
  • ''Ochmapexus'' Womersley (1)

2. 2. Spongoclonioideae 아과

'''Spongoclonioideae''' 아과는 De Toni가 명명하였다.[2] Algaebase의 분류 체계에 따르면, 이 아과는 총 42개 속을 포함하고 있다.[2]

Spongoclonioideae 아과에 속하는 족(Tribe)은 다음과 같다.[2] 각 족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해당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 Spongoclonieae 족 F.Schmitz & Hauptfleisch
  • Dasyphileae 족 F.Schmitz & Hauptfleisch
  • Griffithsieae 족 Schmitz & Hauptfleisch
  • Halosieae 족 M.Cormaci & G.Furnari
  • Lejolisieae 족 Feldmann-Mazoyer
  • Monosporeae 족 F.Schmitz & Hauptfleisch
  • Ptiloteae 족 F.Schmitz & Hauptfleisch
  • Spermothamnieae 족 F.Schmitz & Hauptfleisch
  • Sphondylothamnieae 족 Feldmann-Mazoyer
  • Wrangelieae 족 Schmitz & Hauptfleisch

2. 2. 1. Spongoclonieae 족

Algaebase에서 인정된 종 수를 기준으로 한다.[2] Spongoclonioideae 아과에 속하는 족이다.

  • ''Lophothamnion'' J.Agardh (1종)
  • ''Pleonosporium'' Nägeli (31종)
  • ''Spongoclonium'' Sonder (10종)

2. 2. 2. Dasyphileae 족


  • ''Dasyphila'' Sonder (4종)
  • ''Muellerena'' F.Schmitz (1종)

2. 2. 3. Griffithsieae 족


  • ''Anotrichium'' Nägeli (14)
  • ''Baldockia'' A.J.K.Millar (1)
  • ''Bornetia'' Thuret (5)
  • ''Griffithsia'' C.Agardh (42)
  • ''Halurus'' Kützing (2)
  • ''Vickersia'' Karsakoff (1)

2. 2. 4. Halosieae 족


  • Halosieae 족 M.Cormaci & G.Furnari (1종)[2]
  • * ''Halosia'' Cormaci & G.Furnari (1종)[2]

2. 2. 5. Lejolisieae 족


  • Lejolisia Bornet (7)
  • Ptilothamnion Thuret (13)

2. 2. 6. Monosporeae 족

Monosporeae 족은 F.Schmitz & Hauptfleisch가 명명했으며, 아래 7개 속에 17종을 포함하고 있다.[2]

속명명명자종 수
AnisoschizusHuisman & Kraft1
DesikacharyellaB.Subramanian2
DeucalionHuisman & Kraft1
GuiryellaHuisman & Kraft1
MazoyerellaGordon-Mills & Womersley4
MonosporusSolier5
TanakaellaItono3


2. 2. 7. Ptiloteae 족


  • ''Boreothamnion'' M.J.Wynne (1)
  • ''Dasyptilon'' G.Feldmann (3)
  • ''Plumaria'' F.Schmitz (1)
  • ''Plumariopsis'' De Toni (2)
  • ''Ptilota'' C.Agardh (14)
  • ''Tokidaea'' Yoshida (4)

2. 2. 8. Spermothamnieae 족


  • ''Gordoniella'' Itono (1)
  • ''Hommersandiella'' Alongi, Cormaci & G.Furnari (1)
  • ''Interthamnion'' E.M.Gordon (1)
  • ''Lomathamnion'' E.M.Gordon (1)
  • ''Ptilothamnionopsis'' P.S.Dixon (1)
  • ''Rhipidothamnion'' Huisman (1)
  • ''Spermothamnion'' Areschoug (17)
  • ''Stegengaea'' Alongi, Cormaci & G.Furnari (1)
  • ''Tiffaniella'' Doty & Meñez (12)
  • ''Woelkerlingia'' Alongi, Cormaci & G.Furnari (2)

2. 2. 9. Sphondylothamnieae 족


  • ''Diplothamnion'' A.B.Joly & Yamaguishi (3)
  • ''Grallatoria M.Howe (2)
  • ''Involucrana'' Baldock & Womersley (2)
  • ''Medeiothamnion'' Pujals (6)
  • ''Shepleya'' E.M.Gordon (5)
  • ''Sphondylothamnion'' Nägeli (1)
  • ''Wollastoniella'' E.M.Gordon (2)

2. 2. 10. Wrangelieae 족

Algaebase에서 인정된 종(속당 대략적인 종 수)을 기준으로 한다.[2]

  • 족 '''Wrangelieae''' Schmitz & Hauptfleisch (27종)
  • * ''Plumariella'' Okamura (2종)
  • * ''Wrangelia'' C.Agardh (25종)

3. 한국의 비단풀과

한국 연안에는 다양한 종류의 비단풀과 해조류가 서식하고 있다. 이들 중 한국에서 보고된 속으로는 민털이풀속(''Anotrichium''), 공작풀속(''Gymnothamnion''), 외포자비단풀속(''Monosporus''), 깃가지덮개속(''Plumariella''), 돌림가지말속(''Spongoclonium'')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여러 주요 속들이 한국 해역에서 발견된다.

3. 1. 주요 서식종

한국 해역에서 발견되는 주요 깃복슬털과의 속으로는 비단잘록이속(''Griffithsiala''), 오디풀속(''Pleonosporiumla''), 빗가지속(''Ptilotala''), 깃복슬털속(''Wrangeliala'') 등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Species, genera et ordines algarum : seu descriptiones succinctae specierum, generum et rodinum, quibus algarum regnum constituitur https://www.biodiver[...] apud C.W.K. Gleerum 2022-12-06
[2] 웹사이트 Taxonomy Browser :: AlgaeBase https://www.algaebas[...] 2022-12-06
[3] 웹인용 Family: Wrangeliaceae http://www.algaebase[...] AlgaeBase 2015-09-12
[4] 웹인용 깃복슬털속 https://www.nibr.go.[...]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 2015-09-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