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양하아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꽃양하아과는 생강과에 속하는 아과로, 꽃양하족과 리에델리아족의 두 족으로 분류된다. 꽃양하족은 꽃양하속, 두구속, 아프리카두구속, 초과속 등을 포함하며, 리에델리아족은 리에델리아속, 벌비지아속, 플루란토디움속, 시암안투스속 등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4년 기재된 식물 - 개암나무
개암나무는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3-4월에 개화하여 식용 가능한 견과를 맺으며, 열매는 식용 및 강장제로 사용되고 조경수로도 활용된다. - 1844년 기재된 식물 - 화백나무
화백은 일본 고유종으로 건축 자재나 관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측백나무과 상록 교목이며, 편백과 유사하나 가지가 드문드문하고 잎 끝이 뾰족한 특징을 가진다. - 생강과 - 카다멈
카다멈은 그린 카다멈과 블랙 카다멈을 포함하는 향신료로, 인도, 과테말라,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생산되며 요리와 음료에 사용되는 고급 향신료이자 고대부터 사용된 사프란, 바닐라 다음으로 비싼 향신료이다. - 생강과 - 봉술
봉술은 남아시아 원산의 열대 및 아열대 식물로, 뿌리줄기는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며 인도네시아와 태국 요리에 활용되고 한의학에서는 봉출이라는 약재로, 전통 의학에서는 염증, 통증, 피부 질환 등에 사용되었으며, 에센셜 오일은 향수, 비누 제조 등에 사용된다.
| 꽃양하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 |
| 학명 | Alpinioideae |
| 명명자 | Hassk. |
| 하위 분류 | 본문 참조 |
| 하위 분류 | |
| 계 | 식물계 |
| 미분류 군 | 속씨식물군 외떡잎식물군 닭의장풀군 |
| 목 | 생강목 |
| 과 | 생강과 |
| 모식 속 | 꽃양하속 (Alpinia Roxb.) |
| 하위 분류 | tribes & Genera (족 및 속) 본문 참조 |
2. 하위 분류
꽃양하아과(Alpinioideae영어)는 크게 꽃양하족(Alpinieae)과 리에델리아족(Riedelieae)의 두 족(tribe)으로 나뉜다.[4][5]
| 족(Tribe) | 속(Genus) |
|---|---|
| 꽃양하족(Alpinieae) | 꽃양하속, 두구속, 아프리카두구속, 초과속 등 |
| 리에델리아족(Riedelieae) | 리에델리아속, Burbidgea, Pleuranthodium, Siamanthus |
꽃양하족의 주요 속에 대해서는 하위 섹션에 자세히 나와있다.
2. 1. 꽃양하족 (Alpinieae)
Orb.가 명명한[4] 꽃양하족은 생강과에서 가장 큰 족으로, 다양한 속을 포함한다.| 속(Genus) |
|---|
| 꽃양하속 (Alpinia Roxb.) |
| 두구속 (Amomum Roxb.) |
| 아프리카두구속 (Aframomum K.Schum.) |
| 초과속 (Lanxangia M.F.Newman & Skornick.) |
| Aulotandra Gagnep. |
| Conamomum Ridl. |
| Cyphostigma Benth. |
| Elettaria Maton |
| Epiamomum A.D.Poulsen & Skornick. |
| Etlingera Giseke |
| Geocharis (K.Schum.) Ridl. |
| Geostachys (Baker) Ridl. |
| Hornstedtia Retz. |
| Leptosolena C.Presl |
| Meistera Giseke |
| Plagiostachys Ridl. |
| Renealmia L.f. |
| Siliquamomum Baill. |
| Sundamomum A.D.Poulsen & M.F.Newman |
| Vanoverberghia Merr. |
| Wurfbainia Giseke |
하위 섹션 "주요 속"에 꽃양하족의 속 목록이 이미 상세하게 제시되어 있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속의 목록을 간략하게 표 형태로 나열했다.
2. 1. 1. 주요 속
꽃양하족(Alpinieae)[4]- 꽃양하속(Alpinia) (''Alpinia'' Roxb.)
- 두구속(Amomum) (''Amomum'' Roxb.)
- 아프리카두구속(Aframomum) (''Aframomum'' K.Schum.)
- 초과속(Lanxangia) (''Lanxangia'' M.F.Newman & Skornick.)
- ''Aulotandra'' Gagnep.
- ''Conamomum'' Ridl.
- ''Cyphostigma'' Benth.
- ''Elettaria'' Maton
- ''Epiamomum'' A.D.Poulsen & Skornick.
- ''Etlingera'' Giseke
- ''Geocharis'' (K.Schum.) Ridl.
- ''Geostachys'' (Baker) Ridl.
- ''Hornstedtia'' Retz.
- ''Leptosolena'' C.Presl
- ''Meistera'' Giseke
- ''Plagiostachys'' Ridl.
- ''Renealmia'' L.f.
- ''Siliquamomum'' Baill.
- ''Sundamomum'' A.D.Poulsen & M.F.Newman
- ''Vanoverberghia'' Merr.
- ''Wurfbainia'' Giseke
리에델리아족(Riedelieae)[5]
- 리에델리아속(Riedelia) (''Riedelia'' Oliv.)
- ''Burbidgea'' Hook.f.
- ''Pleuranthodium'' (K.Schum.) R.M.Sm.
- ''Siamanthus'' K.Larsen & J.Mood
기타 속
- 아델메리아속(Adelmeria)
- 아프리카두구속(Aframomum)
- 꽃양하속(Alpinia)
- 두구속(Amomum) (동의어: 엘레타리오프시스속(Elettariopsis))
- 아울로탄드라속(Aulotandra)
- 코나모뭄속(Conamomum)
- 키포스티그마속(Cyphostigma)
- 엘레타리아속(Elettaria)
- 에피아모뭄속(Epiamomum)
- 에틀링게라속(Etlingera)
- 지오카리스속(Geocharis)
- 지오스타키스속(Geostachys)
- 호른스테티아속(Hornstedtia)
- 초과속(Lanxangia)
- 렙토솔레나속(Leptosolena)
- 마이스테라속(Meistera)
- 플라지오스타키스속(Plagiostachys)
- 레넬미아속(Renealmia)
- 실리콰모뭄속(Siliquamomum)
- 수레타리아속(Sulettaria)
- 선다모뭄속(Sundamomum)
- 바노버그히아속(Vanoverberghia)
- 우르바니아속(Wurfbainia)
2. 2. 리에델리아족 (Riedelieae)
W.J.Kress가 명명한[5] 리에델리아족은 꽃양하족에 비해 비교적 작은 족이다. 리에델리아족에는 다음 속들이 속한다.- 리에델리아속(Riedelia)
- 벌비지아 (Burbidgea)
- 플루란토디움 (Pleuranthodium)
- 시암안투스 (Siamanthus)
2. 2. 1. 주요 속
- 리에델리아속(''Riedelia'' Oliv.)
- 벌비지아 (''Burbidgea'' Hook.f.)
- 플루란토디움 (''Pleuranthodium'' (K.Schum.) R.M.Sm.)
- 시암안투스 (''Siamanthus'' K.Larsen & J.Mood)

참조
[1]
서적
Cat. Hort. Bot. Bogor.
1844
[2]
웹사이트
USDA, ARS, National Genetic Resources Program. Germplasm Resources Information Network - (GRIN Online Database). National Germplasm Resources Laboratory, Beltsville, Maryland
https://npgsweb.ars-[...]
2018-06-11
[3]
서적
Catalogus Plantarum in Horto Botanico Bogoriensi Cultarum Alter
1844
[4]
서적
Dictionnaire Universel d'Histoire Naturelle
1841
[5]
저널
The phylogeny and a new classification of the gingers (Zingiberaceae): evidence from molecular dat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