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도개피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도개피속(Eragrostis)은 벼과에 속하는 식물 속이다. 나도개피속에는 나도개피를 포함하여 다양한 종들이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한국에서는 나도개피가 자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16년 기재된 식물 - 담팔수과
    담팔수과는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며 약 12속 600종을 포함하는 식물 과로, 목재, 약재, 관상용 등으로 활용되지만 서식지 파괴와 기후 변화로 멸종 위기에 놓여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 1816년 기재된 식물 - 차나무과
    차나무과는 나선형 또는 이열로 배열되는 잎과 크고 화려한 꽃을 가진 동남아시아, 열대 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하는 식물군으로, 차, 동백나무, 노각나무 등이 속하며 차나무속은 차 생산 및 관상용으로 가치가 높다.
  • 기장족 - 기장속
    기장속은 벼과에 속하는 큰 속으로,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며 식량 자원, 가축 사료, 토양 안정화, 환경 정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기장, 누카기비, 하이키비, 오오쿠사키비, 하나쿠사키비 등의 종을 포함한다.
  • 기장족 - 바랭이속
    바랭이속은 전 세계 따뜻한 지역에 분포하는 벼과 식물 속으로, 일부 종은 식용이나 주요 작물로 재배되지만, 다른 일부 종은 잡초로 취급받으며, 바이오 에너지 자원으로서의 가능성도 연구되고 있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나도개피속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Eriochloa polystachya
학명Eriochloa
명명자Kunth
모식종Eriochloa distachya
모식종 명명자Kunth
이명Helopus Trin.
Oedipachne Link
Aglycia Willd. ex Steud.
Alycia Willd. ex Steud.
분류학적 정보
식물계
미분류 문속씨식물군
미분류 강외떡잎식물군
미분류 목닭의장풀군
벼목
벼과
아과기장아과
기장족
아족멜리니스아족
하위 종

2. 하위 종

나도개피속에는 35종이 속한다.[1]

2. 1. 주요 종 목록

개피속의 주요 종은 다음과 같다.

이름학명
나도개피E. villosa (Thunb.) Kunth
E. acuminata (J.Presl) Kunth
E. aristata Vasey
E. australiensis Stapf & Thell.
E. boliviensis Renvoize
E. boxiana Hitchc.
E. contracta Hitchc.
E. crebra S.T.Blake
E. distachya Kunth
E. fatmensis (Hochst. & Steud.) Clayton
E. grandiflora (Trin.) Benth.
E. lemmonii Vasey & Scribn.
E. longiflora S.T.Blake
E. macclounii Stapf
E. meyeriana (Nees) Pilg.
E. michauxii (Poir.) Hitchc.
E. montevidensis Griseb.
E. nana Arriaga
E. nelsonii Scribn. & J.G.Sm.
E. pacifica Mez
E. parvispiculata C.E.Hubb.
E. peruviana Mez
E. polystachya Kunth
E. procera (Retz.) C.E.Hubb.
E. pseudoacrotricha (Stapf ex Thell.) J.M.Black
E. punctata (L.) Ham.
E. rovumensis (Pilg.) Clayton
E. sericea (Scheele) Munro ex Vasey
E. setosa (A.Rich.) C.L.Hitchc.
E. stapfiana Clayton
E. stevensii Davidse
E. subulifera Stapf
E. succincta (Trin.) Kunth
E. tridentata (Trin.) Kuhlm.
E. weberbaueri Mez


2. 1. 1. 한국 자생종

나도개피 ''E. villosa'' (Thunb.) Kunth

2. 1. 2. 기타 종


  • ''E. acuminata'' (J.Presl) Kunth
  • ''E. aristata'' Vasey
  • ''E. australiensis'' Stapf & Thell.
  • ''E. boliviensis'' Renvoize
  • ''E. boxiana'' Hitchc.
  • ''E. contracta'' Hitchc.
  • ''E. crebra'' S.T.Blake
  • ''E. distachya'' Kunth
  • ''E. fatmensis'' (Hochst. & Steud.) Clayton
  • ''E. grandiflora'' (Trin.) Benth.
  • ''E. lemmonii'' Vasey & Scribn.
  • ''E. longiflora'' S.T.Blake
  • ''E. macclounii'' Stapf
  • ''E. meyeriana'' (Nees) Pilg.
  • ''E. michauxii'' (Poir.) Hitchc.
  • ''E. montevidensis'' Griseb.
  • ''E. nana'' Arriaga
  • ''E. nelsonii'' Scribn. & J.G.Sm.
  • ''E. pacifica'' Mez
  • ''E. parvispiculata'' C.E.Hubb.
  • ''E. peruviana'' Mez
  • ''E. polystachya'' Kunth
  • ''E. procera'' (Retz.) C.E.Hubb.
  • ''E. pseudoacrotricha'' (Stapf ex Thell.) J.M.Black
  • ''E. punctata'' (L.) Ham.
  • ''E. rovumensis'' (Pilg.) Clayton
  • ''E. sericea'' (Scheele) Munro ex Vasey
  • ''E. setosa'' (A.Rich.) C.L.Hitchc.
  • ''E. stapfiana'' Clayton
  • ''E. stevensii'' Davidse
  • ''E. subulifera'' Stapf
  • ''E. succincta'' (Trin.) Kunth
  • ''E. tridentata'' (Trin.) Kuhlm.
  • ''E. weberbaueri'' Mez

참조

[1] 문서 lectotype designated by G.V. Nash, N. Amer. Fl. 17: 157 (18 Sep 1912)
[2] 서적 Kunth, Karl Sigismund 1815. ''Nova Genera et Species Plantarum'' (quarto ed.) 1: 94–95 https://www.biodiver[...]
[3] 문서 Kunth, Karl Sigismund 1815. ''Nova Genera et Species Plantarum'' (quarto ed.) 1: plates XXX-XXXI (30-31) line drawings of ''Eriochloa distachya'' and ''Eriochloa polystachya'' https://www.biodiver[...]
[4] 웹사이트 Tropicos, ''Eriochloa'' Kunth http://www.tropicos.[...]
[5] 웹사이트 Flora of China Vol. 22 Page 500, 524 野黍属 ye shu shu ''Eriochloa'' Kunth, Nov. Gen. Sp. 1: 94. 1816. http://www.efloras.o[...]
[6] 웹사이트 Atlas of Living Australia http://bie.ala.org.a[...]
[7] 웹사이트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Plants Database, Classification for Kingdom Plantae Down to Genus ''Eriochloa'' Kunth http://plants.usda.g[...]
[8] 웹사이트 Jepson Manual Treatment http://ucjeps.berkel[...]
[9] 웹사이트 Grass Manual Treatment http://herbarium.usu[...] 2011-06-11
[10] 웹사이트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http://apps.kew.org/[...]
[11] 웹사이트 Biota of North America Program 2013 county distribution maps http://bonap.net/NAP[...]
[12] 서적 Kunth, Karl Sigismund (1816) Nova Genera et Species Plantarum (quarto ed.) 1: 94–95. https://www.biodiver[...]
[13] 문서 Kunth, Karl Sigismund (1816) Nova Genera et Species Plantarum (quarto ed.) 1: pl. 30, 31. https://www.biodi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