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여로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도여로속은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 속이다. 나도여로속에는 여러 종이 있으며, 그 중 나도여로(A. sibirica)는 한국에 자생하는 유일한 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로과 - 실꽃풀속
실꽃풀속은 북아메리카 온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햇빛이 잘 들고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서 자라는 식물 속으로, 뿌리줄기는 약재로 사용되며 다양한 생리 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의학 연구에서 주목받고 있다. - 여로과 - 처녀치마
처녀치마는 한국과 일본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의 습한 곳에서 자라며 꽃이 활짝 핀 모습이 처녀의 치마와 같아 붙여진 이름이며, 이른 봄에 잎 중앙에서 꽃줄기가 나와 연한 홍색에서 자주색으로 변하는 꽃이 핀다. - 1843년 기재된 식물 - 마카
마카는 페루 안데스 산맥 원산의 십자화과 식물로, 뿌리는 식품 및 건강 보조 식품으로 사용되며, 갱년기 장애 완화, 항피로, 항비만 및 성욕 증진에 대한 잠재적 효능이 연구되고 있다. - 1843년 기재된 식물 - 왕대속
왕대속은 맹종죽, 오죽, 왕대 등을 포함하는 대나무속으로, 죽순의 식용 이용, 건축 및 공예 재료, 조경 활용 등 다양한 용도가 있지만, 번식력이 강해 확산과 병충해 문제 발생 우려로 재배 시 주의가 필요하며, 일부 국가에서는 법적 규제를 시행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생태계 교란 방지를 위한 정책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나도여로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Anticlea (plant) |
명명자 | Kunth |
이명 | Monadenus Salisb. Stenanthella Rydb. |
생물 분류 | |
계 | 식물계 |
미분류 군 | 속씨식물군 외떡잎식물군 |
목 | 백합목 |
과 | 여로과 |
족 | 여로족 |
속 | 나도여로속 |
학명 | Anticlea |
학명 명명자 | Kunth |
모식종 | 나도여로(Anticlea sibirica (L.) Kunth) |
2. 하위 종
나도여로속에는 다음 종들이 속한다.
- 나도여로 ''A. sibirica''
- ''A. elegans''
- ''A. elegans'' var. ''glaucus''
- ''A. frigida''
- ''A. hintoniorum''
- ''A. mogollonensis''
- ''A. neglecta''
- ''A. occidentalis''
- ''A. sachalinensis''
- ''A. vaginata''
- ''A. virescens''
- ''A. volcanica''
2. 1. 주요 종
학명 | 설명 |
---|---|
나도여로 A. sibirica | 한국에 자생하는 유일한 종이다. |
A. elegans | |
A. elegans var. glaucus | |
A. frigida | |
A. hintoniorum | |
A. mogollonensis | |
A. neglecta | |
A. occidentalis | |
A. sachalinensis | |
A. vaginata | |
A. virescens | |
A. volcanica |
참조
[1]
웹사이트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https://powo.science[...]
[2]
논문
Resurrection of Segregates of the Polyphyletic Genus Zigadenus s.l. (Liliales: Melanthiaceae) and Resulting New Combinations
https://www.biodiver[...]
[3]
웹사이트
Flora of North America, Zigadenus Michaux
http://www.efloras.o[...]
[4]
웹사이트
Flora of China, Vol. 24 Page 85 棋盘花属 qi pan hua shu Zigadenus Michaux, Fl. Bor.-Amer. 1: 213. 1803.
http://www.efloras.o[...]
[5]
논문
Generic circumscriptions and relationships in the tribe Melanthieae (Liliales, Melanthiaceae), with emphasis on Zigadenus: Evidence from ITS and TRNL-F sequence data
Botanical Society of America
[6]
논문
Resurrection of Segregates of the Polyphyletic Genus Zigadenus s.l. (Liliales: Melanthiaceae) and Resulting New Combinations
https://www.biodiver[...]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7]
웹사이트
Biota of North America Program 2013 county distribution maps
http://bonap.net/NAP[...]
[8]
웹사이트
Tropicos, specimen listing for Zigadenus hintoniorum
http://www.tropicos.[...]
[9]
웹사이트
Tropicos, Zigadenus neglectus Espejo, López-Ferr. & Ceja Search in The Plant List
http://www.tropicos.[...]
[10]
서적
Eine Enzyklopädie zu eponymischen Pflanzennamen
https://doi.org/10.3[...]
Botanic Garden and Botanical Museum, Freie Universität Berlin
2022-01-27
[11]
논문
Resurrection of Segregates of the Polyphyletic Genus Zigadenus s.l. (Liliales: Melanthiaceae) and Resulting New Combinations
[12]
논문
Generic circumscriptions and relationships in the tribe Melanthieae (Liliales, Melanthiaceae), with emphasis on Zigadenus: Evidence from ITS and TRNL-F sequence data
Botanical Society of Americ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