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만갑 선생 신도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나만갑 선생 신도비에 대한 정보입니다.


  • 정의: 나만갑 선생 신도비(羅萬甲先生神道碑)는 경기도 구리시 사노동 산 163번지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나만갑(1592~1642)의 신도비입니다. 신도비는 임금이나 고관의 평생 업적을 기록하여 그의 무덤 앞에 세우는 비석입니다.
  • 문화재 지정: 1985년 6월 28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26호로 지정되었습니다.
  • 건립 연도: 1658년(효종 9)에 건립되었으며, 1683년(숙종 9)에 나만갑의 둘째 손자 나양좌가 묘를 현재 위치로 옮기면서 내용을 추가했습니다.
  • 내용: 비문에는 나만갑의 조상, 청년 시절, 관직 생활, 병자호란 당시의 공적 등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좌의정 김상헌이 비문을 짓고, 송준길이 글씨를 썼으며, 비의 명칭은 김수항이 새겼습니다.
  • 형태: 네모난 받침돌 위에 비신을 세우고 옥개석(지붕돌)을 올린 형태입니다. 대좌는 4면에 안상문(코끼리 눈 모양의 무늬)을 조각하고, 그 위에 두 겹의 연꽃을 새겼습니다.
  • 나만갑: 조선 중기 문신으로, 본관은 안정, 자는 몽뢰, 호는 구포입니다. 1613년(광해군 5) 과거에 장원 급제하였고,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서 인조를 모시고 국난 극복에 힘썼습니다. 저서로는 『병자록』, 『구포집』 등이 있습니다.


나만갑 선생 신도비는 조선시대 신도비의 전형적인 양식을 보여주며, 비문에 기록된 내용은 나만갑의 생애와 업적뿐만 아니라 당시의 시대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합니다.

나만갑 선생 신도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나만갑 선생 신도비
나만갑 선생 신도비
나만갑 선생 신도비
일반 정보
이름나만갑선생신도비 (羅萬甲先生神道碑)
종류유형문화재
지정 번호126
지정일1985년 6월 28일
주소경기도 구리시 사노동 산163번지
시대조선 시대
참고구리 사노동
좌표37°38′04″N 127°08′09″E
문화재청 ID21,0126000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