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형난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난형난제(難兄難弟)는 "누구를 형이라 하기도 어렵고, 누구를 동생이라 하기도 어렵다"는 뜻으로, 두 사물이나 사람의 우열을 가리기 힘들 때 사용되는 고사성어입니다.
유래:난형난제는 중국 삼국시대의 학자 진식의 고사에서 유래했습니다. 진식에게는 진기, 진심이라는 두 아들이 있었는데, 이들은 모두 훌륭한 인물이었습니다. 어느 날 진기의 아들 장문과 진심의 아들 효선이 서로 자기 아버지가 더 훌륭하다고 다투게 되었습니다. 이들은 할아버지인 진식에게 누가 더 훌륭한지 여쭈었고, 진식은 "원방(진기)은 형이 되기 어렵고, 계방(진심)은 동생이 되기 어렵다(元方難爲兄, 季方難爲弟)"라고 답했습니다. 이는 두 아들 모두 뛰어나 우열을 가리기 어렵다는 뜻입니다.
현대적 의미:오늘날 난형난제는 본래의 뜻에서 확장되어, 사람이나 사물 간의 우열을 가리기 어려울 정도로 비슷하거나 뛰어날 때 널리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두 팀의 실력이 난형난제라 승부를 예측하기 어렵다"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유사한 표현:난형난제와 비슷한 의미를 가진 표현으로는 다음이 있습니다.
- 난백난중(難伯難仲): 누가 맏형이고 누가 둘째 형인지 구분하기 어렵다는 뜻.
- 막상막하(莫上莫下): 어느 것이 위이고 어느 것이 아래인지 분간하기 어렵다는 뜻.
- 백중세(伯仲勢) 또는 백중지세(伯仲之勢): 서로 형세의 우열을 가리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 호각지세(互角之勢): 역량이 우열을 가리기 힘든 상황임을 나타내는 말.
- 용호상박(龍虎相搏): 용과 호랑이가 서로 싸운다는 뜻으로, 강자끼리 승부를 겨루기 어려움을 비유하는 말.
이처럼 난형난제는 다양한 상황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는 표현입니다.
난형난제 | |
---|---|
기본 정보 | |
한자 | 難 형 難 弟 |
로마자 표기 | nan hyeong nan je |
영어 | difficult to tell which is the elder brother and which is the younger brother |
중국어 병음 | nán xiōng nán dì |
일본어 | 兄弟 伯仲 |
유래 | |
출전 | 세설신어 |
원문 | 陳元方子長文有英才, 與季方子孝先, 各論其父功德, 爭之不能決, 咨於太丘.太丘曰:[元方難爲兄, 季方難爲弟.] |
번역 | 진원방의 아들 장문은 재능이 뛰어났고, 계방의 아들 효선과 더불어 각자 자기 아버지의 공덕을 논하며 다투어 결정을 내리지 못하여 태구에게 자문을 구했다. 태구가 말하기를 "원방은 형이 되기 어렵고, 계방은 아우가 되기 어렵다." |
의미 | |
의미 | 누가 더 나은지 분간하기 어려울 정도로 서로 비슷비슷함. |
유사한 표현 | 백중지세 막상막하 용호상박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