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납줄개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납줄개속(Rhodeus)은 납자루아과에 속하는 속으로, 납줄개속(Acheilognathus)과 복잡한 분류학적 역사를 거쳐 현재는 분리된 것으로 간주된다. 납줄개속 물고기는 수명이 약 5년이며, 최대 11cm까지 자란다. 연못, 호수, 습지 등 유속이 느린 곳이나 흐르지 않는 물에서 서식하며, 민물 조개에 번식하는 특징을 가진다. 암컷은 산란관을 조개에 넣어 알을 낳고, 수컷은 조개의 출수공에 정자를 분사하여 아가미 안에서 수정이 이루어지는 특이한 번식 방법을 사용한다. 납줄개, 각시붕어, 유럽납줄개, 한강납줄개 등 23종이 납줄개속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납줄개속 - 각시붕어
    물살이 약하고 수초가 많은 곳에 사는 각시붕어는 납작하고 몸높이가 높은 물고기로, 민물조개에 알을 낳아 번식하는 독특한 생태를 보인다.
  • 납줄개속 - 흰줄납줄개
    흰줄납줄개는 몸 중앙에 청록색 가로줄이 있고 번식기에 수컷이 혼인색을 띠는 얄팍하고 몸 높이가 높은 물고기이며, 일본 고유 아종은 환경성 레드 리스트에서 위기종으로 지정되어 보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납줄개속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럽타나고
유럽타나고 Rhodeus amarus
학명Rhodeus Agassiz, 1832
명명자루이 아가시, 1832
이명Pseudoperilampus Bleeker, 1863
분류
동물계 Animalia
척삭동물문 Chordata
조기어강 Actinopterygii
상목골표상목 Ostariophysi
잉어목 Cypriniformes
잉어과 Cyprinidae
아과납자루아과 Acheilognathinae
바라타나고속 Rhodeus

2. 특징

납줄개속 물고기는 수명이 대략 5년 정도로 짧고, 몸 길이는 최대 11cm까지 자란다. 연못, 호수, 습지, 늪, 강의 후미와 같이 유속이 느리거나 흐르지 않는 물에서 산다. 무척추동물과 식물을 모두 먹는 잡식성이다. 민물에 사는 홍합류 조개에 번식하기 때문에 서식지는 제한적이다.

2. 1. 번식

납줄개속에 속하는 종들은 수명이 짧아 대략 5년 정도 산다. 몸 길이는 최대 11cm까지 자란다. 민물에 사는 홍합류 조개에 번식하기 때문에 서식지는 제한적이다.

석패과(Unionidae)나 마르가리티페라과(Margaritiferidae)에 속하는 담수 이매패류가 새끼 물고기를 보호하게 하는 특이한 번식 방법을 사용한다. 암컷이 산란관을 조개의 외투강(外套腔)에 집어 넣어 아가미의 조직 사이에 알을 낳으면, 수컷은 조개의 출수공에 정자를 분사하고, 조개의 아가미 안에서 수정이 일어난다. 알은 노란색의 타원형으로, 한 마리의 조개에 산란하지 않고 여러 마리 안에 각각 한두 개씩 낳는다. 유생은 알에서 깨어나 3-4주가 될 때까지 조개의 안에서 지낸다.

납줄개류는 말조개과나 민물조개과의 이매패에 산란하며, 조개 체내에서 자어가 성장하는 특이한 번식 전략을 가진다. 암컷은 조개의 외투강에 산란관을 삽입하여, 아가미 잎 안에 알을 낳는다. 수컷은 조개의 입수관에 방정하고, 알은 조개 체내에서 수정된다. 한 마리의 암컷이 다수의 조개에 산란하지만, 개별 조개에는 산란 행동 1회당 1~수 개만 산란한다. 부화 자어는 이매패의 껍데기에 의해 포식자로부터 보호받으며, 3-4주 정도에 어미 조개에서 헤엄쳐 나와 자유 생활을 시작한다.

3. 하위 종

납줄개속(鰟鮍屬중국어)에는 현재 23종이 속해 있다.[3]

학명명명자한국어 명칭
Rhodeus albomarginatusF. 리 & R. 아라이
Rhodeus amarus블로흐유럽납줄개
Rhodeus amurensis브론스키
Rhodeus atremiusD. S. 조던 & W. F. 톰슨큐슈납줄개
Rhodeus colchicus보구츠카야 & 콤레프조지아납줄개
Rhodeus cyanorostris[4]
Rhodeus fangiC. P. 먀오
Rhodeus haradaiR. 아라이, N. 스즈키 & S. C. 선
Rhodeus laoensis코틀라, A. 도이 & 무시카신턴라오스납줄개
Rhodeus meridionalisS. L. 카라만
Rhodeus monguonensisG. L. 리
Rhodeus ocellatus크네르납줄개
Rhodeus nigrodorsalis[4]
Rhodeus pseudosericeusR. 아라이, S. R. 전 & 우에다한강납줄개
Rhodeus rheinardti티란트
Rhodeus sciosemusD. S. 조던 & W. F. 톰슨
Rhodeus sericeus팔라스가시납줄개
Rhodeus shitaiensisF. 리 & R. 아라이
Rhodeus sinensis귄터라이트납줄개
Rhodeus smithii리건
Rhodeus spinalis오시마
Rhodeus suigensisT. 모리떡납줄갱이
Rhodeus uyekiiT. 모리각시붕어



이 속과 납자루속은 복잡한 분류학적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한때 서로 포함되기도 했다. 현재는 분리된 것으로 간주되지만, 과거 납줄개속(鰟鮍屬중국어)에 속했던 일부 종은 현재 납자루속에 속해 있다.

참조

[1] 뉴스 Deceptive Bitterling https://web.archive.[...] Time 1936-10-12
[2] 간행물 Bitterling Ovipositor Lengthening Produced By Adrenal Extracts
[3] 간행물 "''Rhodeus albomarginatus'', a new bitterling (Teleostei: Cyprinidae: Acheilognathinae) from China" https://www.biotaxa.[...]
[4] 간행물 Two new species of Rhodeus (Teleostei: Cyprinidae: Acheilognathinae) from the River Yangtze, China https://bioone.org/j[...] 2020-03-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