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트워크 정보 서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트워크 정보 서비스(NIS)는 네트워크 상의 시스템 정보를 중앙에서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분산 디렉터리 서비스이다. NIS는 다양한 명령어와 데몬을 통해 작동하며, 사용자 계정, 호스트 정보, 암호 등과 같은 시스템 정보를 공유하고 관리한다. 주요 명령어로는 NIS 맵의 값을 출력하는 `ypcat`, 특정 키 값을 출력하는 `ypmatch`, 서버를 확인하는 `ypwhich`, 암호를 변경하는 `yppasswd` 등이 있다. NIS 데몬으로는 클라이언트 요청을 처리하는 `ypserv`, 맵을 슬레이브 서버로 전송하는 `ypxfrd`,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는 데 사용하는 `ypbind`, 암호 맵을 관리하는 `rpc.yppasswd`, 공용 키 맵을 업데이트하는 `rpc.ypupdated` 등이 있다. NIS는 보안 및 확장성 문제로 인해 NIS+와 LDAP과 같은 후속 기술로 대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디렉토리 서비스 - 액티브 디렉터리
    액티브 디렉터리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디렉터리 서비스로, 윈도우 도메인 네트워크의 핵심 기반이며, 사용자, 컴퓨터, 그룹 등 네트워크 리소스에 대한 중앙 집중식 관리, 인증 및 접근 권한 제어를 제공하고, AD DS, AD LDS, AD CS, AD FS, AD RMS 등의 서비스로 구성되어 포리스트, 트리, 도메인으로 구성된 계층 구조를 가진다.
  • 디렉토리 서비스 - X.500
    X.500은 ITU-T가 정의한 디렉터리 서비스 표준으로, 분산 환경에서 정보 접근을 위한 프로토콜과 데이터 모델을 제공하며, 경량 디렉터리 접근 프로토콜(LDAP)과 X.509 인증 프레임워크에 영향을 주었다.
  • 네트워크 관리 - 인터넷 트래픽
    인터넷 트래픽은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의 성장으로 동영상 사이트에서 주로 발생하며, 네트워크 효율성과 경제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국가별 사용세 정책 및 트래픽 분류 기술 등이 관련되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 네트워크 관리 - 방화벽 (네트워킹)
    방화벽은 네트워크 보안을 위해 트래픽을 검사 및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설정된 규칙에 따라 패킷을 필터링하며, 다양한 종류와 기능을 가지고 로그를 기록 및 관리한다.
  • 썬 마이크로시스템즈 소프트웨어 - 자바 데스크톱 시스템
  • 썬 마이크로시스템즈 소프트웨어 - 핫자바
    핫자바는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 기반으로 개발된 웹 브라우저이며, 1995년 TED 컨퍼런스에서 처음 시연되고 SunWorld 컨퍼런스에서 공식 발표되었다.
네트워크 정보 서비스

2. NIS 명령어

NIS 시스템 관리를 위한 다양한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명령어기능
ypcatNIS 맵 안의 값을 출력한다.
ypmatchNIS 맵 안의 특정 키를 가진 값을 출력한다.
ypwhich현재 호스트가 어떤 서버를 사용하는지 확인한다.
yppasswdNIS 도메인 암호를 변경한다.
ypclntYP 서브시스템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래머 제품군이다.
ypset특정 서버에 ypbind로 연결한다.
ypmake변경된 파일로부터 새로운 해시(hash) 맵을 만든다.
ypinit마스터나 슬레이브 서버로 호스트를 구성한다.
yppush슬레이브 서버를 자체 맵 버전으로 업데이트한다.


2. 1. 사용자 명령어

사용자가 NIS 정보를 조회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하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명령어기능
ypclntYP 서브시스템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래머 제품군이다.
ypset특정 서버에 ypbind로 연결한다.
ypmake변경된 파일로부터 새로운 해시(hash) 맵을 만든다.
ypinit마스터나 슬레이브 서버로 호스트를 구성하거나, NIS 서버 및 클라이언트를 초기화한다.[1]
yppush슬레이브 서버를 자체 맵 버전으로 업데이트한다.
ypcatNIS 맵 목록을 표시한다.[1]
ypmatchNIS 맵의 특정 항목을 검색한다.[1]
ypwhichNIS 서버 이름을 표시한다.[1]


2. 1. 1. ypcat

`ypcat`은 NIS 맵(map)에 있는 모든 값을 출력한다.[1]

2. 1. 2. ypmatch

NIS 맵에서 특정 키(key)에 해당하는 값을 출력한다.[1]

2. 1. 3. ypwhich

`ypwhich`는 현재 호스트가 어떤 NIS 서버를 사용하는지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2. 1. 4. yppasswd

yppasswd영어는 NIS 도메인의 암호를 변경한다.[1]

2. 2. 관리자 명령어

NIS 서버 및 클라이언트를 구성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 `ypcat`: NIS 맵 안에 있는 값을 출력한다.[1]
  • `ypmatch`: NIS 맵 안의 특정 키를 가진 값을 출력한다.[1]
  • `ypwhich`: 현재의 호스트가 어떤 서버를 사용하는지 확인한다.[1]
  • `yppasswd`: NIS 도메인의 암호를 변경한다.[1]
  • `ypclnt`: YP 서브시스템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래머 제품군이다.[1]

2. 2. 1. ypset

특정 서버에 ypbind를 연결한다.[1]

2. 2. 2. ypmake

변경된 파일로부터 새로운 해시(hash) 맵을 만든다.[1]

2. 2. 3. ypinit

`ypinit`는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서버로 호스트를 구성하고 초기화한다.[1]

`ypinit` 명령어
기능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서버로 호스트를 구성 및 초기화


2. 2. 4. yppush

슬레이브 서버를 최신 맵 버전으로 업데이트한다.[1]

3. NIS 데몬

NI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데몬은 다음과 같다.[1]


  • `ypserv`: NIS 서버 데몬이다.
  • `ypxfrd`: 맵을 슬레이브 서버로 전송하는 NIS 서버 데몬이다.
  • `ypbind`: 모든 NIS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데몬으로, 클라이언트에서 NIS 서버로 요청을 보낸다.
  • `rpc.yppasswd`: 암호(passwd) 맵을 관리한다.
  • `rpc.ypupdated`: NIS 마스터 서버에서 실행되며, 보안 "원격 프로시져 콜"을 사용하는 경우 공용 키 맵을 업데이트한다.

3. 1. ypserv

NIS 서버 데몬으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NIS 맵 정보를 제공한다.[1]

프로그램설명
ypservNIS 서버 데몬[1]
ypxfrdNIS 서버 데몬, 맵을 슬레이브 서버로 전송[1]
ypbind모든 NIS 시스템에서 동작하며, NIS 서버 위의 클라이언트에서 ypserv로 NIS 요청을 시도[1]


3. 2. ypxfrd

`ypxfrd`는 NIS 서버 데몬으로, 맵 정보를 슬레이브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1]

3. 3. ypbind

모든 NIS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데몬이다. 클라이언트에서 NIS 서버로 요청을 보낸다.[1]

3. 4. rpc.yppasswd

암호(passwd) 맵을 관리하는 데몬이다.[1]

3. 5. rpc.ypupdated

rpc.ypupdated영어는 NIS 마스터 서버에서 실행되며, 보안 "원격 프로시져 콜"을 사용하는 경우 공용 키 맵을 업데이트한다.[1]

4. 후속 기술

NIS는 설계상의 한계로 인해 다른 기술로 대체되고 있다. 원래 NIS 설계는 확장성과 보안에 제한이 있었다.

대규모 근거리 통신망(LAN)에서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 서버가 NIS나 경량 디렉터리 액세스 프로토콜(LDAP)보다 더 나은 네임서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클라이언트에 대한 넷마스크 정보 배포, 전자 메일 별칭 유지 관리와 같은 일부 기능은 NIS 또는 LDAP에서 여전히 수행될 수 있다. NIS는 NFS 데이터베이스 정보 파일과 소위 맵을 유지 관리한다.[2]

4. 1. NIS+

은 1992년 Solaris 2의 일부로 NIS를 대체하기 위해 NIS+(NIS Plus)를 도입했다. NIS+는 더 강력한 보안 및 인증 기능과 더 큰 확장성과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한 계층적 설계를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설정 및 관리가 더 번거롭고, 기존 NIS 환경에 통합하기가 어려워 많은 사용자들이 NIS+ 도입을 꺼렸다. NIS+는 Solaris 11에서 제거되었다.[2]

4. 2. LDAP

은 1992년 Solaris 2의 일부로 NIS+(NIS Plus)를 도입하여 NIS를 대체하고자 했다. NIS+는 더 강력한 보안 및 인증 기능과 더 큰 확장성과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한 계층적 설계를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설정 및 관리가 더 번거롭고, 기존 NIS 환경에 통합하기가 어려워 많은 사용자들이 NIS를 계속 사용하였다. NIS+(NIS Plus)는 Solaris 11에서 제거되었다.[2]

결과적으로 많은 사용자들이 NIS를 계속 사용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량 디렉터리 액세스 프로토콜(LDAP)과 같은 현대적이고 안전한 분산 디렉터리 시스템이 이를 대체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slapd (독립형 LDAP 데몬)은 일반적으로 비루트 사용자로 실행되며, 단순 인증 및 보안 계층(SASL) 기반 LDAP 트래픽 암호화가 기본적으로 지원된다.

대규모 근거리 통신망(LAN)에서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 서버가 NIS 또는 LDAP보다 더 나은 네임서버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NIS 마스터 및 슬레이브 시스템에서 사이트 전체 식별 정보만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클라이언트에 대한 넷마스크 정보 배포, 전자 메일 별칭 유지 관리와 같은 일부 기능은 NIS 또는 LDAP에서 여전히 수행될 수 있다. NIS는 NFS 데이터베이스 정보 파일과 소위 맵을 유지 관리한다.

참조

[1] 서적 Automating System Administration with Perl: Tools to Make You More Efficient https://books.google[...] O'Reilly Media
[2] 웹사이트 End of Feature Notices for Oracle Solaris 11 http://www.oracle.co[...] Oracle Corporation 2012-12-20
[3] 웹사이트 昭和53年版 通信白書 https://www.soumu.go[...] 総務省 2019-1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