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랑소나무다람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랑소나무다람쥐는 몸 색깔이 어둡고 붉은색이며, 5개의 세로줄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의 일종이다. 암컷이 수컷보다 크며, 일부 지역에서는 작은다람쥐나 붉은꼬리다람쥐와 서식지가 겹쳐 구별이 어려울 수 있다. 동면하며, 씨앗을 저장하여 겨울을 난다. 14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0년 기재된 포유류 - 메리엄뒤쥐
    메리엄뒤쥐는 땃쥐과에 속하는 포유류의 일종이며, 현재는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
  • 1890년 기재된 포유류 - 멕시코여우청서
    멕시코여우청서는 다람쥐과에 속하는 설치류로, 나무의 싹, 열매, 씨앗, 꽃, 버섯, 곤충 등을 먹으며 11개의 아종으로 분류된다.
  • 다람쥐과 - 땅다람쥐아과
    땅다람쥐아과는 다람쥐과의 한 분류군으로 가시다람쥐족, 마멋족, 아프리카큰다람쥐족으로 나뉘며, 전 세계 다양한 서식지에서 프레리도그, 마멋, 칩먼크 등을 포함하여 발견되고, 서식 환경에 따라 사회적 행동이나 겨울잠과 같은 독특한 생태를 보인다.
  • 다람쥐과 - 검은머리마멋
    검은머리마멋은 꼬리가 짧고 몸길이 39.5~61.5cm, 무게 1.65~5.4kg 정도의 작은 마멋으로, 풀, 허브, 이끼 등을 먹고 군집 생활을 하며 9월부터 이듬해 5월 중순까지 동면하는 북극 툰드라 생태계에 영향을 주는 동물이다.
노랑소나무다람쥐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노랑소나무다람쥐
노랑소나무다람쥐
학명Neotamias amoenus
이명Tamias amoenus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설치류
다람쥐과
네오타미아스속
보전 상태
IUCN 적색 목록LC (관심 필요)
IUCN 평가 버전IUCN3.1
분포
노랑소나무다람쥐 분포 지도
노랑소나무다람쥐 분포 지역
아종
아종 목록본문 참조

2. 특징

(내용 없음)

2. 1. 외형

몸 색깔은 어둡고 붉은색이며 계피색과 섞여 있다. 등에는 5개의 어두운(검은색 또는 검은색 혼합) 세로줄이 있으며, 4개의 밝은 줄무늬로 구분된다. 바깥쪽 밝은 줄무늬 쌍은 크림색 흰색이고 더 좁으며, 중앙 쌍은 회색 또는 연기 회색이다. 머리 옆면에는 3개의 어두운 줄무늬와 그 사이 2개의 밝은 줄무늬가 있으며, 정수리는 검은색 또는 연기 회색이다.[2]

수컷과 암컷은 뇌 크기, 꼬리 길이, 귀 길이(귓바퀴 패인 곳부터 측정한 길이), 아래쪽 이빨 길이가 거의 같지만, 다른 신체 측정에서는 암컷이 더 크다. 평균 체중은 큰 수컷이 약 49.7g, 큰 암컷이 약 53.5g이다.[2] 포유류에서는 수컷이 더 큰 성적 이형성이 흔하지만, 노랑소나무다람쥐(''N. amoenus'')는 암컷이 더 큰 이형성을 나타낸다.[3]

일부 지역에서는 작은다람쥐 또는 붉은꼬리다람쥐와 서식지가 겹쳐 현장에서 종을 구별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 골격 구조에 대한 실험실 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다.[4][5]

2. 2. 신체 구조

몸 색깔은 어둡고 붉은색을 띠며 계피색과 섞여 있다. 몸에는 5개의 검은색 또는 검은색이 섞인 어두운 세로줄이 있으며, 이 줄무늬 사이는 4개의 더 밝은 줄무늬로 구분된다. 바깥쪽 한 쌍의 밝은 줄무늬는 크림색에 가까운 흰색이고 폭이 좁으며, 중앙의 밝은 줄무늬는 회색 또는 연기 같은 회색이다. 머리 옆면에는 각각 3개의 어두운 줄무늬와 그 사이 2개의 밝은 줄무늬가 있으며, 정수리는 검은색이나 연기 같은 회색이다.[2]

수컷과 암컷은 뇌 크기, 꼬리 길이, 귀 길이(노치에서 측정한 길이), 아래쪽 이빨 줄의 길이가 거의 같지만, 다른 신체 측정에서는 암컷이 더 크다. 평균 몸무게는 차이가 있어, 큰 수컷은 평균 49.7g, 큰 암컷은 평균 53.5g이다.[2] 포유류에서는 수컷이 더 큰 성적 이형성이 흔하지만, 노랑소나무다람쥐는 암컷이 더 큰 이형성을 보인다.[3]

일부 지역에서는 작은다람쥐(Neotamias minimus) 또는 붉은꼬리다람쥐(Neotamias ruficaudus)와 서식지가 겹치기 때문에 현장에서 종을 구별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골격 구조를 실험실에서 검사해야 할 수도 있다.[4][5]

2. 3. 생식

수컷과 암컷 모두 생식 골격을 가지고 있으며, 수컷은 음경골을, 암컷은 바우벨룸을 가진다.[2] 동면 후, 4월 말이나 5월 초에 연 1회 번식한다. 이 시기에는 따뜻한 온도의 영향으로 수컷의 고환 크기가 커지고, 암컷의 난소와 자궁도 커진다.[2] 암컷은 하루 동안 발정기를 가지며, 짝짓기 3~5일 전부터 소리를 내어 수컷에게 번식 준비가 되었음을 알리고 수컷 간의 경쟁을 유도한다.[3] 암컷은 자신의 굴을 찾아온 수컷 중 한 마리 이상과 짝짓기를 한다.[3] 새끼는 보통 5월 말이나 6월 초에 평균 4~5마리를 낳는다. 만약 6마리의 새끼를 낳는 경우, 이는 어미에게 부담이 되어 새끼의 크기가 더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수유 기간은 약 2개월이며, 9월 초가 되면 새끼는 다 자란 개체와 비슷한 크기가 된다.[2] 암컷의 번식 성공률은 몸 크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수컷의 번식 성공률은 몸 크기와는 관계가 없다.[3]

3. 생태

노랑소나무다람쥐는 씨앗을 저장하는 동면 동물이다.[6] 겨울과 봄의 생존 가능성은 여름과 가을 동안의 먹이 확보와 섭취 행동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6] 이 다람쥐는 동면 전에 몸에 지방을 쌓아두는 대신, 모아둔 먹이 저장고에 의존한다. 따라서 겨울철 식량 저장량은 겨울 생존율과 봄철 번식 성공률을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6] 따뜻하고 활동적인 시기에는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씨앗을 모아 여러 곳에 나누어 저장해 두었다가 나중에 꺼내 먹는다.[6] 노랑소나무다람쥐는 저장 장소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하며, 각 저장소 사이의 평균 거리는 1.4m에서 4.9m 정도이다. 이 거리는 먹이가 있는 곳에서 멀어질수록 더 늘어나는 경향을 보인다.[7]

4. 분류

노랑소나무다람쥐는 설치목 다람쥐과 신대륙다람쥐속에 속하는 포유류이다.[1][2] 학명은 ''Neotamias amoenus''이다.

4. 1. 아종

14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9]

  • ''N. a. amoenus''
  • ''N. a. affinis''
  • ''N. a. albiventris''
  • ''N. a. canicaudus''
  • ''N. a. caurinus''
  • ''N. a. celeris''
  • ''N. a. cratericus''
  • ''N. a. felix''
  • ''N. a. ludibundus''
  • ''N. a. luteiventris''
  • ''N. a. monoensis''
  • ''N. a. ochraceus''
  • ''N. a. septentrionalis''
  • ''N. a. vallicola''

참조

[1] 간행물 Neotamias amoenus https://www.iucnredl[...] 2015-11-30
[2] 논문 Tamias amoenus 1992-06-05
[3] 논문 Female-Biased Sexual Size Dimorphism in the Yellow-Pine Chipmunk (Tamias Amoenus): Sex-Specific Patterns of Annual Reproductive Success and Survival 2002-12
[4] 서적 Rodents and Lagomorphs of British Columbia Royal BC Museum
[5] 서적 The Natural History of Canadian Mammals Canadian Museum of Nature and University of Toronto Press
[6] 논문 Linking summer foraging to winter survival in yellow pine chipmunks (Tamias amoenus) 2008-08
[7] 논문 Sequential Patterns of Scatter Hoarding by Yellow Pine Chipmunks (Tamias amoenus) 1995-04
[8] 간행물 Tamias amoenus 2015-11-30
[9] 문서 MSW3 Sciuridae
[10] 저널 Tamias amoenus 1992-06-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