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뇌테보리 화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뇌테보리 화약은 스웨덴과 노브고로드 공화국 간에 체결된 조약으로, 스웨덴-노브고로드 전쟁을 종결하고 '영구적인 평화'를 목표로 했다. 조약은 카렐리아 교구 3개를 스웨덴에 양도하고, 스웨덴은 에스토니아 공작령 관련 분쟁에 관여하지 않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국경은 비보르크 동쪽에서 시작하여 세스트라 강과 볼차 강을 따라 설정되었으며, 카렐리아 지협을 가로질러 퓌해요키 강 부근의 보트니아 만에서 끝나는 것으로 정의되었다. 조약 체결 후, 스웨덴은 노브고로드 측 지역에 요새를 건설하며 영토를 확장했고, 1595년 테우시나 조약에서 스웨덴의 주장을 인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세기 러시아 - 트베리 대공국
    트베리 대공국은 1247년 시작되어 볼가 강 상류의 유리한 위치를 바탕으로 번성하며 모스크바와 경쟁했으나 킵차크 칸국의 영향력과 모스크바의 부상으로 쇠퇴, 1485년 모스크바 대공국에 합병된 루스 공국이다.
뇌테보리 화약
조약 정보
이름뇌테보리 화약
다른 이름패흐키내사렌 라우하 (Pähkinäsaaren rauha, 핀란드어)
프레덴 이 뇌테보리 (Freden i Nöteborg, 스웨덴어)
오레호베츠키 미르 (Ореховецкий мир, 러시아어)
유형평화 조약
체결일1323년 8월 12일
장소뇌테보리 (패흐키내사리)
교전 세력
교전국 1스웨덴
교전국 2노브고로드 공화국
조약 내용
주요 내용스웨덴과 노브고로드 간의 국경 확정
핀란드와 카렐리야 지역 분할
영향핀란드 역사에 중요한 분기점
스웨덴의 동쪽 경계 설정
러시아의 서쪽 경계 설정
서명
스웨덴 대표불명
노브고로드 대표유리 다닐로비치 공작
추가 정보
관련 사건스웨덴-노브고로드 전쟁
비고최초로 스웨덴과 러시아 간의 국경을 규정한 조약

2. 명칭

당시 이 조약은 특별한 이름이 없었으며, 스웨덴노브고로드 사이의 "영구적인 평화" 해결책으로 여겨졌다.[5] "뇌테보리 조약"이라는 명칭은 스웨덴어 Nöteborgsfreden|sv을 직역한 것이다. 러시아어로는 Ореховский мир|오레홉스키 미르ru(Orehovskii Mir|la)라고 하며, 이는 "오레호프 평화"를 의미한다. 스웨덴어 '뇌테보리(Nöteborg)'와 러시아어 '오레호프(Orekhov)'는 모두 당시 요새가 있던 곳의 지명으로, 현재의 슐리셀부르크 요새를 가리킨다. 핀란드어 명칭은 Pähkinäsaaren Rauha|fi인데, 이는 "견과 섬의 평화"라는 뜻이다. 이 명칭은 요새가 건설된 섬의 핀란드어 이름인 Pähkinäsaari에서 유래했으며, '견과(nöt)'를 뜻하는 스웨덴어 단어와 동족어 관계에 있다.

3. 내용

원래 조약의 전문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러시아어, 스웨덴어, 라틴어로 부분적으로 남아 있으며, 현존하는 부분적인 텍스트는 서로 다소 차이가 있다.[6]

조약은 한자동맹의 도움을 받아 스웨덴-노브고로드 전쟁을 종결하기 위해 협상되었다. 선의의 표시로 노브고로드는 3개의 카렐리아 교구를 스웨덴에 양도했다. 스웨덴은 그 대가로 노브고로드와 덴마크의 에스토니아 공작령 사이의 어떤 분쟁에도 관여하지 않을 것을 약속했다. 양측은 또한 새로운 국경에 성을 건설하지 않기로 약속했다.

조약은 국경을 비보르크 성의 동쪽과 북쪽에서 시작하여 세스트라 강과 볼차 강을 따라 흐르고, 카렐리아 지협을 반으로 나누며, 사보니아를 가로질러 흐르는 것으로 정의했다. 전통적인 해석에 따르면 국경은 퓌해요키 강 근처의 보트니아 만에서 끝나는 것으로 보지만, 조약의 "북쪽의 바다"라는 문구는 북극해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여지도 있다.[7]

비보르크 근처의 남쪽 국경 부분은 조약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간주되어 명확하게 정의되었다. 반면, 주요 정착지에서 멀리 떨어진 북쪽 국경은 상대적으로 모호하게 정의되었다. 이 조약은 원래 스웨덴과 노브고로드에게 북부 오스트로보트니아와 라플란드에 대한 공동 권리를 부여했을 가능성이 있다.[8]

피흐키새리 평화 기념비

4. 결과

핀족과 국경 양쪽에 살고 있던 핀족 부족은 이 조약에 아무런 발언권이 없었다. 스웨덴과 노브고로드 공화국은 이미 동부 펜노스칸디아 지역에서 각자의 ''사실상'' 지배권을 확립한 상태였다. 카렐리야인은 노브고로드의 지배를 받았고, 서부 부족들은 스웨덴의 지배를 받았다. 조약으로 확립하려 했던 "영구적인 평화"는 오래 지속되지 못했다. 국경 북쪽 부분의 광대한 황무지는 이후 스웨덴과 노브고로드 사이의 분쟁 원인이 되었다.

조약이 체결된 지 5년도 지나지 않아 스웨덴 식민지 개척자들이 북부 오스트로보스니아로 진출하기 시작했다.[9] 스웨덴은 1375년경 울레보리 성과 1475년 올로프스보리 성을 건설했다. 이 요새들은 확립된 국경의 노브고로드 공화국 쪽에 명백히 위치했다.[10]

1595년 테우시나 조약에서는 스웨덴 버전의 조약을 진본이자 정확한 것으로 인정했다. 하지만 그 훨씬 이전에 스웨덴은 노브고로드 공화국 쪽의 광대한 지역을 영구적으로 점령했다. 이 새로운 영토에는 오스트로보스니아와 사보니아가 포함되었다. 결국 스웨덴의 지배를 받게 된 이 영토는 현재의 핀란드가 되었다.

5. 영향

핀족과 국경 양쪽에 살고 있던 핀족 부족은 이 조약 체결 과정에서 아무런 발언권이 없었다. 스웨덴과 노브고로드는 이미 동부 펜노스칸디아 지역에 대해 각자의 실질적인 통제권을 확립하고 있었는데, 카렐리야 지역은 러시아의 영향 아래 있었고 서부 부족 지역은 스웨덴의 지배를 받았다. 이 조약으로 확립하려 했던 "영구적인 평화"는 오래 지속되지 못했다. 특히 광대한 황무지를 가로지르는 국경의 북쪽 부분은 이후 스웨덴과 노브고로드 사이의 분쟁의 중심지가 되었다. 조약이 체결된 지 5년도 채 되지 않아 스웨덴 식민지 개척자들이 북부 오스트로보스니아로 진출하기 시작했다.[9] 스웨덴은 나아가 1375년경 울레보리와 1475년 올로프스보리에 성을 건설했는데, 이 요새들은 명백히 조약으로 설정된 국경 너머 노브고로드 영토에 위치해 있었다.[10]

1595년 테우시나 조약에서는 스웨덴 측이 제시한 조약 문서가 진본으로 인정되었다. 그러나 그 훨씬 이전부터 스웨덴은 오스트로보스니아와 사보니아를 포함하여 노브고로드 쪽에 속했던 광대한 지역을 영구적으로 점령한 상태였다. 결국 스웨덴의 지배하에 들어간 이 영토들은 훗날 현재의 핀란드를 이루는 기반이 되었다.

참조

[1] 서적 Muinaisuutemme jäljet Gaudeamus
[2] 서적 Ristiretket Turun Historiallinen Yhdistys
[3] 서적 Ancient Karelia Suomen muinaismuistoyhdistyksen aikakausikirja 104
[4] 서적 Ristiretket Turun Historiallinen Yhdistys
[5] 웹사이트 Treaty's Swedish and Latin texts http://193.184.161.2[...]
[6] 간행물 Nöteborgsfreden och Finlands medeltida östgräns. Andra delen. http://www.historisk[...] Skrifter utgivna av Svenska litteratursällskapet i Finland
[7] 서적 Ruotsin itämaa Svenska litteratursällskapet i Finland
[8] 문서 Nöteborgsfreden och Finlands medeltida östgräns
[9] 서적 Tornionlaakson historia I. Birkarlit, 'pirkkalaiset' Malungs boktryckeri AB
[10] 문서 Archbishop Vasilii Kalika of Novgorod, the Fortress of Orekhov, and the Defense of Orthodoxy
[11] 서적 Muinaisuutemme jäljet Gaudeamus
[12] 서적 Ancient Karelia Suomen muinaismuistoyhdistyksen aikakausikirja 104
[13] 간행물 Nöteborgsfreden och Finlands medeltida östgräns. Andra delen. http://www.historisk[...] Skrifter utgivna av Svenska litteratursällskapet i Finland
[14] 서적 Ruotsin itämaa Svenska litteratursällskapet i Finland
[15] 서적 Tornionlaakson historia I. Birkarlit, 'pirkkalaiset' Malungs boktryckeri A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