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즈니노브고로드 지하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즈니노브고로드 지하철은 러시아 니즈니노브고로드의 지하철 시스템으로, 1985년 개통하여 러시아에서 세 번째로, 소련에서 10번째로 건설된 지하철이다. 현재 2개의 노선(1호선, 2호선), 15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연장은 21.6km이다. 1호선은 파르크 쿨투리 역에서 고리콥스카야 역까지, 2호선은 부레베스트니크 역에서 스트렐카 역까지 운행한다. 1호선과 2호선은 모스콥스카야 역에서 환승이 가능하다. 향후 오카 강 동쪽으로 노선을 확장할 계획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지하철 - 모스크바 지하철
    모스크바 지하철은 1935년 개통되어 현재 15개 노선, 263개 역, 총 연장 449km에 달하며, 하루 평균 약 700만 명이 이용하는 세계적인 대중교통 시스템으로, 사회주의 리얼리즘 양식의 화려한 역들과 현대적인 역들이 공존한다.
  • 러시아의 지하철 - 상트페테르부르크 지하철
    상트페테르부르크 지하철은 1955년 개통되어 5개 노선으로 확장되었으며, 깊이 건설된 역들과 지속적인 확장 및 현대화 계획을 통해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주요 교통망 역할을 하는 도시 철도 시스템이다.
  • 198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광역시를 운행하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1985년 개통 이후 단계적 연장을 거쳐 노포역과 다대포해수욕장역을 잇는 40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고 시설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198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3호선
    수도권 전철 3호선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고양시를 연결하는 49.6km 광역철도로, 1985년 개통 이후 일산선 직결, 구간 연장, 환승역 개통 등을 통해 확장되었으며 서울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출퇴근 시간 혼잡이 심하다.
니즈니노브고로드 지하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개요
니즈니노브고로드 지하철 로고
니즈니노브고로드 지하철 로고
공식 명칭러시아어: Нижегородский метрополитен
로마자 표기Nizhegorodsky Metropoliten
이전 명칭러시아어: Горьковское метро
로마자 표기Gor'kovskoye metro
위치러시아, 니즈니노브고로드
종류도시 철도, 지하철
노선 수2개
역 수15개
영업 거리21.6km
개통일1985년 11월 20일
운영 기관니제고로드스코예 지하철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통계
일일 수송량 (2018년)92,700명
연간 수송량 (2017년)2760만 명

2. 역사

니즈니노브고로드(소련 시절 이름 고리키)는 볼가강 중부의 주요 도시로, 1970년대 중반 인구가 백만 명을 넘어서면서 소련 정부는 신속한 대중교통 시스템 건설을 결정했다. 지하철 건설은 1977년 12월 17일에 시작되었으며, 1985년 11월 20일 첫 구간이 개통되어 러시아에서 세 번째, 구 소련에서는 열 번째 지하철 시스템이 되었다. 초기 노선은 모스콥스카야에서 프로레타르스카야까지 7.8km 길이의 6개 역으로 구성되었다.

건설 과정에서 1984년 모스콥스카야 역 공사 중 벽 붕괴 사고로 학생 노동자 2명이 사망하는 비극이 발생하기도 했다.[4]

소련의 해체 이후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노선 확장은 계속되었다. 1993년에는 소르몹스코 메셰르스카야 선(2호선)이 개통되었고,[5] 이후 단계적으로 연장되었다. 2012년에는 압토자보츠카야 선(1호선)이 오카강을 건너 도심까지 연결되었으며, 2022년부터는 추가 연장 공사가 진행 중이다.[7]

2. 1. 도시 배치

니즈니노브고로드는 볼가강오카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자리 잡고 있다. 20세기 동안 도시는 여러 중심지를 갖는 다핵적 형태로 발전했다.

도시의 구조는 오카강을 기준으로 크게 나뉜다. 강의 오른쪽 둑은 높고 언덕진 지형으로, 니즈니노브고로드 크렘린을 포함한 역사적인 구시가지가 위치하며 주로 행정, 문화, 교육 기능을 담당한다. 반면, 강의 왼쪽 둑은 낮고 평탄한 저지대로, 도시의 주요 산업 시설과 대규모 주거 지역들이 밀집해 있다. 대표적인 지역으로는 중앙 기차역과 주요 교통 환승지가 있는 카나비노(카나빈스키 구역)와 크라스노예 소르모보 공장 등 주요 산업 시설이 위치한 소르모보(소르모프스키 구역)가 있다.

2. 2. 지하철 배치

니즈니노브고로드(소련 시기 이름 고리키)는 볼가강오카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하며, 20세기 동안 여러 중심지를 가진 다핵 도시로 발전했다. 역사적인 도심( 니즈니노브고로드 크렘린 포함)과 대부분의 행정, 문화, 교육 시설은 오카강의 높고 언덕진 동쪽 둑에 자리 잡고 있다. 반면, 낮고 평평한 서쪽 둑에는 도시 산업의 대부분과 카나빈스키 시 구역(카나비노) 및 소르모프스키 시 구역(소르모보)를 중심으로 한 대규모 주거 지구가 형성되었다. 특히 카나빈스키에는 중앙 기차역과 주요 교통 허브가 있으며, 소르모프스키에는 크라스노예 소르모보 공장과 같은 주요 산업 시설이 위치한다.

1970년대 중반 도시 인구가 백만 명을 넘어서면서 신속한 대중교통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러한 도시의 독특한 지리적 배치 속에서 지하철 계획이 수립되었다. 초기 계획은 총 14개 역을 갖춘 2개의 노선을 4단계에 걸쳐 개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시스템의 중심 허브 역할을 할 모스콥스카야역은 중앙 기차역 옆에 위치하며, 두 노선 간의 원활한 환승을 위해 4개의 선로와 2개의 섬식 승강장을 갖추도록 설계되었다.

단계별 계획은 다음과 같다.

  • 1단계: 압토자보츠카야 선(1호선)의 핵심 구간 개발. 오카강 서쪽 둑을 따라 카나빈스키, 레닌스키, 아브토자보츠키 지역의 주거 및 산업 지구, 특히 고리키 자동차 공장 지역을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 2단계: 소르몹스코 메셰르스카야 선(2호선) 개발. 모스콥스카야역에서 서쪽으로 소르모프스키 구(소르모보) 방향으로 노선을 건설하는 계획이다.
  • 3단계: 오카강을 가로지르는 자동차-지하철 혼합 교량을 건설하여 압토자보츠카야 선을 강 동쪽의 시내 중심부(고리콥스카야 역 방면)까지 연장하는 계획이다.
  • 4단계: 소르몹스코 메셰르스카야 선을 북서쪽 볼가강변의 메쉬체르스코예 오제로 주거 지역까지 연장하는 계획이다.


이 전체 계획은 1990년대 후반까지 총 연장 25km, 20개 이상의 역을 갖춘 노선망 완공을 목표로 했다.

아브토자보드스카야역


고르코프스카야역


실제 개통 순서는 당시 소련 시대의 승객 흐름 패턴, 주요 산업 시설의 위치, 그리고 차량기지 부지 확보 문제에 큰 영향을 받았다. 당시에는 강을 건너는 교통량이 현재만큼 많지 않았고, 주요 고용주인 GAZ 공장이 위치한 아브토자보츠키 지역과 도시 북부 지역 간의 노동자 이동량이 많았다. 또한, 지하철 차량 기지를 건설하기에 적합한 부지가 GAZ 공장 근처에 한정되어 있었다는 점도 초기 노선 건설 방향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니즈니노브고로드 지하철은 다른 소련 도시들의 지하철과 달리, 도심에서 여러 노선이 교차하는 전형적인 삼각 배치 형태를 갖지 않게 되었다.

2. 3. 연표

1982년 고리키 지하철 계획도


니즈니노브고로드 지하철 건설 계획은 1973년 10월에 시작되었다. 1977년 12월 17일에 착공하여 첫 번째 말뚝 박기가 시작되었고, 1978년 9월 레닌스카야( Ленинская|레닌스카야ru ) 역에서 터널 굴착이 시작되었다. 1979년에는 모스콥스카야 역의 기초 파일 공사가 진행되었으며, 1980년 6월에는 3개 노선으로 확장하는 계획이 제안되었다.[3]

1984년 7월 13일, 모스콥스카야 역 건설 현장에서 벽이 붕괴되어 학생 노동자 2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건과 관련하여 사망한 학생들의 유령이 나타난다는 도시 전설이 전해진다.[4]

1985년 11월 20일, 니즈니노브고로드 지하철(당시 고르키 지하철)이 개통되었다. 첫 구간은 모스콥스카야에서 프롤레타르스카야까지 7.8km 길이로, 치칼롭스카야, 레닌스카야, 자레치나야, 드비가텔 레볼류치를 포함한 6개 역과 차량 기지로 구성되었다. 1987년에는 프롤레타르스카야 역에서 아브토자보츠카야와 콤소몰스카야까지 2개 역이 연장 개통되었고, 1989년에는 키롭스카야와 파르크 쿨투리까지 연장되었다.

소련의 해체 이후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건설은 계속되었다. 1993년 12월 20일, 모스콥스카야 역에서 분기하는 소르몹스코 메셰르스카야 선(2호선)의 카나빈스카야와 부르나콥스카야 두 역이 개통되었다.[5]

2002년 9월 9일, 2호선이 부레베스트니크 역까지 연장 개통되었다.[5] 2012년 11월 4일, 오카강을 건너 도심으로 이어지는 압토자봇스코 미크로라욘 선(1호선)의 고리콥스카야 역이 개통되었다. (개통 전인 9월 22일에는 새 제어 시스템 전환을 위해 지하철 운행이 일시 중단되기도 했다.) 2018년 6월 13일, 2호선이 스트렐카 역까지 연장되었다.[6] 2022년 3월 1일, 1호선을 플로샤드 스보보디 역과 센나야 역까지 연장하는 공사가 시작되었다.[7]

구간개통일길이
모스콥스카야 — 프롤레타르스카야1985년 11월 20일7.8km
프롤레타르스카야 — 콤소몰스카야1987년 8월 8일2.4km
콤소몰스카야 — 파르크 쿨투리1989년 11월 15일2.2km
모스콥스카야 — 부르나콥스카야1993년 12월 20일2.6km
부르나콥스카야 — 부레베스트니크2002년 9월 9일1.3km
모스콥스카야 — 고리콥스카야2012년 11월 4일3.5km
모스콥스카야 — 스트렐카2018년 6월 13일3.1km
총합:15개 역22km


3. 운영

니즈니노브고로드 지하철 다리


지하철을 탈 때 이용하는 금속 토큰.


니즈니노브고로드 지하철은 총 2개 노선, 15개 역으로 운영되고 있다. 대부분의 역은 지하에 위치하며, 부레베스트니크 역만이 유일한 지상역이다.

주요 운행 차량은 81-717/714형 모델이며, 프롤레타르스카야 인근의 차량기지에서 관리된다. 열차는 일반적으로 4량으로 편성되어 운행하며, 낮 시간대의 운행 간격은 약 7분 30초에서 8분 정도이다.

3. 1. 역 구조

니즈니노브고로드 지하철은 총 15개의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14개 역은 지하에, 1개 역은 지상에 위치한다. 또한 스트렐카 역 건설을 우선하면서 공사가 중단된 유령역인 야르마르카 역이 존재한다.

대부분의 지하역은 지표면에서 가까운 얕은 깊이에 건설되었다. 지하역의 구조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 모스코브스카야 역: 소련 시절에 지어진 독특한 5개 기둥 구조이다. 이 역은 1호선과 2호선이 평면 교차 방식으로 만나는 주요 환승역이며, 러시아 철도의 니즈니노브고로드 모스크바 역과도 연결되어 환승이 가능하다. 참고로 2호선은 전체 구간에 걸친 터널이 없어 모스코브스카야 역에서 선로가 갈라지며 좌측 통행 방식으로 운행된다 (1호선은 우측 통행).
  • 단일 아치형 구조: 치칼롭스카야 역, 레닌스카야 역, 파르크 쿨투리 역, 카나빈스카야 역이 이 구조에 해당한다.
  • 기둥 3경간 구조: 위에 언급된 역들을 제외한 나머지 지하역들은 표준적인 기둥 3경간 구조로 지어졌다.


유일한 지상역인 부레베스트니크 역은 승강장이 선로 양옆에 위치하는 측면 플랫폼 구조를 가지고 있다.

3. 2. 차량

니즈니노브고로드 지하철의 철도 차량은 프롤레타르스카야 인근에 위치한 프로레타르스코예 차량기지에서 관리 및 공급된다.

개통 초기인 1985년부터 주로 사용된 차량은 81-717/714형 모델이다. 이후 2009년부터는 개량형인 81-717.5/714.5형이 추가되었고, 2012년 신규 역 개통에 맞춰 최신형인 81-717.6/714.6형이 도입되었다.

2019년 기준으로 보유 차량 현황은 다음과 같다.

2019년 기준 보유 차량[9]
모델보유 량수
81-717/714형 및 81-717.5/714.5형64량
81-717.6/714.6형50량
총계114량



대부분의 열차는 4량으로 편성되어 운행하지만, 일부 현대화된 열차는 러시아워 시간대에 5량으로 증결하여 운행한다. 낮 시간대의 열차 운행 간격은 보통 7분 30초에서 8분 정도이다.

3. 3. 운행 시간 및 간격

오전 5시 15분부터 오전 12시(자정)까지 운행된다. 낮 시간대 열차 운행 간격은 7분 30초에서 8분 사이이다. 승차 요금은 50RUB이며, 토큰이 사용된다. 2012년에 예정된 신역 개업을 계기로 지하철 및 기타 대중교통 수단에 비접촉식 IC카드의 도입이 예정되어 있다.

3. 4. 요금

승차 요금은 50RUB이며, 토큰을 사용하여 지불한다.[1] 2012년에 예정된 신역 개업을 계기로 지하철 및 다른 대중교통 수단에도 비접촉식 IC 카드를 도입할 예정이다.[1]

4. 노선

(Автозаводская линияru)1985년2012년14.9km11]]소르모프스카야 선
(Сормовская линияru)1993년2018년7.1km5]]나고르나야 선
(Нагорная линияru)건설 중합계:22km15



소련의 해체 이후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노선 확장은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1993년 2호선 개통을 시작으로,[5] 2002년,[5] 2012년, 2018년에 각 노선의 연장이 이루어졌으며,[6] 2022년 3월부터는 1호선의 추가 연장 공사가 진행 중이다.[7]

4. 1. 압토자보츠카야 선 (1호선)

아브토자보츠카야 선( Автозаводская линия|압토자보츠카야 리니야ru)은 니즈니노브고로드 지하철의 첫 번째 노선으로, 1호선에 해당한다. 1985년 11월 20일에 개통되었으며, 파르크 쿨투리 역에서 고리콥스카야 역까지 총 14.5km 구간을 운행하며, 11개의 역이 있다. 전체 운행 시간은 약 18분이다.

모스콥스카야 역에서 2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이 노선은 오카강을 가로지르는 자동차-지하철 복합 교량을 통해 도시의 서부 저지대(하부 도시)와 동부 고지대(상부 도시)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르콥스카야 역은 2012년 11월 4일에 개통되어 오카강 동편의 시내 중심부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

초기 계획 단계(1980년 설계)에서는 오카강 서쪽 강변을 따라 카나빈스키 구와 레닌스키 구의 주거 및 산업 지역, 특히 고리키 자동차 공장 지역을 지나 아브토자보츠키 구를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당시에는 GAZ 공장이 주요 고용주였고, 많은 노동자가 도시 북부에 거주하여 이 구간의 건설이 우선시되었다. 또한, 차량 기지를 건설할 적합한 부지가 GAZ 공장 근처에 있었다는 점도 노선 계획에 영향을 미쳤다.

4. 2. 소르몹스코 메셰르스카야 선 (2호선)

소르몹스코 메셰르스카야 선( Сóрмовско-Мещéрская линия|ru) 또는 '''소르모프스카야 선'''( Сормовская линия|ru)으로 불리는 니즈니노브고로드 지하철의 두 번째 노선이다. 1993년 12월 20일에 첫 구간이 개통되었으며,[5] 현재 부레베스트니크역에서 모스콥스카야역을 거쳐 스트렐카역까지 운행한다. 총 길이는 7.1km이며, 5개의 역이 있다. 전체 운행 시간은 약 10분이다.

소련 시절 계획 단계에서는 모스콥스카야역에서 서쪽의 소르모프스키 구(소르모보)를 연결하는 2단계 계획의 일부였다. 1981년 계획 당시에는 '소르모프스코-나고르나야'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으나, 소련의 해체 이후 러시아가 겪은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건설이 여러 차례 중단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5]

1993년 12월 20일, 카나빈스카야역과 부르나코프스카야역이 개통되면서 2호선 운영이 시작되었다.[5] 이후 2002년 9월 9일에는 부레베스트니크역이 개통되었고,[5] 2018년 FIFA 월드컵 개최에 맞춰 니즈니노브고로드 스타디움 인근에 건설된 스트렐카역이 2018년 6월 12일에 개통되었다.[6]

향후 메셰라 지역의 볼가 역과 소르모보 지역의 바랴 역까지 노선을 연장할 계획이 있으며, 건설 중단된 야르마르카 유령역의 완공도 계획되어 있다.

5. 향후 계획

Metro map2025년 이후 니즈니노브고로드 지하철 노선도


오카강 동쪽의 상부 도시(구시가지)로 노선을 확장하는 공사가 진행 중이며, 향후에도 추가 연장이 계획되어 있다. 오카강을 건너는 지하철-자동차 혼합 교량은 1995년 건설을 시작하여 2009년 11월 4일 상층 도로 부분이 개통되었고, 이를 통해 2012년 11월 4일 구시가지 첫 역인 고리콥스카야( Горьковская|고리콥스카야ru ) 역이 개통되었다.[8]

현재 주요 확장 계획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Статистика. Пассажиропоток в метро Нижнего Новгорода http://www.rus-metro[...] 2019-02-12
[2] 웹사이트 МЕТРОПОЛИТЕНЫ РОССИИ за 2012 год http://www.nsk-metro[...] Novosibirsk metro 2013-09-03
[3] 웹사이트 Nizhny Novgorod Metro http://mapa-metro.co[...]
[4] 웹사이트 Interesting Facts You Should Know About Nizhny Novgorod https://theculturetr[...] 2018-05-17
[5] 웹사이트 Nizhny Novgorod Metro http://eng.asmetro.r[...] 2018-08-19
[6] 웹사이트 На станцию метро “Стрелка” прибыл первый поезд http://nntv.tv/?id=1[...] 2018-04-23
[7] 웹사이트 Часть улиц Студеная и Максима Горького в Нижнем Новгороде перекрыли из-за строительства метро https://www.nn.ru/te[...] 2022-03-27
[8] 웹사이트 Строящиеся станции Нижегородского метро http://metronom-nn.r[...] Metronom-nn.ru 2018-01-01
[9] 뉴스 Метровагонмаш завершил поставку вагонов модели 81-717.6/714.6 в метрополитен Нижнего Новгорода https://www.tmholdin[...] Метровагонмаш 2018-01-15
[10] 웹인용 Статистика. Пассажиропоток в метро Нижнего Новгорода http://www.rus-metro[...] 2019-0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