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양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양선은 일제강점기부터 1960년대까지 여러 차례 계획되었으나, 실제로 건설되지 못한 철도 노선이다. 1943년 단양석탄공업주식회사가 도담역에서 고수리까지 8.1km의 협궤 철도 부설을 승인받았으나, 해방과 한국전쟁으로 공사가 중단되었다. 1940년대 말에는 단양탄광선으로 계획되어 도담역과 사평리를 13km로 연결할 예정이었으나, 한국전쟁으로 중단되었다. 1960년대에는 사평선이라는 이름으로 10.6km의 철도 계획이 수립되었으나, 도로 수송으로의 전환으로 건설이 취소되었다.
1943년 12월 30일, 단양석탄공업주식회사가 도담역에서 단양군 대강면 고수리까지 8.1km의 무연탄 수송을 위한 762 mm 협궤 철도 노선 공사를 승인받았으나, 1945년 해방으로 공사가 중단되었다.
2. 역사
1940년대 말 삼척탄광선, 영월탄광선과 함께 '''단양탄광선'''(丹陽炭鑛線)이라는 이름으로 계획되었다. 단양탄전 일대의 무연탄 매장량이 1억t으로 추정되어 철도 부설을 추진하였다.[1] 1949년 5월에 착공하여 1950년 말까지 완공할 예정이었으나, 한국 전쟁으로 공사가 중지되었고 종전 후에도 재개되지 않았다.
1960년대에는 도담역과 가곡면 사평리를 연결하는 10.6km 길이의 '''사평선'''(沙坪線) 계획이 등장하였다.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에 따라 계획되었으나, 1968년 육상 수송 수단을 철도에서 도로로 전환하며 건설이 취소되었다.[8]
2. 1. 일제강점기
1943년 12월 30일, 단양석탄공업주식회사가 도담역에서 단양군 대강면 고수리까지 8.1km의 무연탄 수송을 위한 762 mm 협궤 철도 노선 공사를 승인받았다. 그러나 1945년 해방으로 공사는 중단되었다. 전체 구간 가운데 30%가량이 부설되었고, 특히 3개 교각 중 270m 구간이 건설된 뒤였다.[1]
2. 2. 해방 이후
1945년 해방으로 공사가 중단되었다. 전체 구간의 약 30%가 부설되었고, 특히 3개의 교각 중 270m 구간이 건설된 뒤였다.[1]
1940년대 말 삼척탄광선, 영월탄광선과 함께 '''단양탄광선'''(丹陽炭鑛線)이라는 이름으로 계획되었다. 단양탄전 일대의 무연탄 매장량이 1억t으로 추정되었는데, 차량을 이용한 육로 수송이 쉽지 않아 철도 부설을 추진하게 되었다.[1] 보도에 따르면 이 노선은 일제 강점기 말기에 이미 설치된 노반을 활용[2]하는 760mm 협궤선으로, 도담역과 가곡면 사평리를 13km 거리로 연결하며, 총 500m의 터널 2개와 산지 절개가 예정된 난공사였다.[1] 세 노선은 각각 영암선, 영월선, '''단양선'''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단양선은 1949년 5월에 착공하였다. 1949년 8월 당시 공사가 70%가량 진행되었고,[3] 1950년 말까지 완공할 예정이었으나,[4] 한국 전쟁이 발발하며 공사가 중지되었다가 종전 후에도 재개되지 않았다.[5] 이때 건설되었던 남한강을 건너는 철도 교각 상단부는 1985년~1986년에 철거되었는데, 하단부는 강물 아래에 잠겨 있다.[6]
1960년대에는 도담역과 가곡면 사평리를 연결하는 길이 10.6km의 '''사평선'''(沙坪線) 계획이 등장하였다.[7]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에 따라 계획이 수립되었으나, 1968년에 육상 수송 수단을 철도에서 도로로 전환하는 것으로 계획이 바뀌어 결국 건설이 취소되었다.[8]
2. 3. 1960년대
1960년대에는 도담역과 가곡면 사평리를 연결하는 10.6km 길이의 '''사평선'''(沙坪線) 계획이 등장하였다.[7]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에 따라 계획이 수립되었으나, 1968년에 육상 수송 수단을 철도에서 도로로 전환하는 것으로 계획의 방향이 바뀌어 결국 건설이 취소되었다.[8]
2. 4. 연혁
참조
[1]
뉴스
매장탄량수억톤 단양,영월등철도부설시급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2020-05-17
[2]
문서
[3]
뉴스
삼신설선공사활발(三新設線工事活潑) 단양선(丹陽線)온명춘준공(明春竣工)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2020-05-17
[4]
뉴스
뻗어가는수송동맥 영월선래삼월까지완성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2020-05-17
[5]
뉴스
열차증발계획(列車增發計劃)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2020-05-17
[6]
뉴스
뱃길 교각 20년째 방치 유람선 대형사고 '아찔'
https://web.archive.[...]
충청일보
2020-05-17
[7]
서적
철도건설사
교진사
1969
[8]
뉴스
철도건설억제방향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2020-05-17
[9]
웹인용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전용철도부설면허
https://nl.go.kr/NL/[...]
2020-05-17
[10]
뉴스
영월선수개통제천송학간십일월부터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2020-05-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