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문자 ß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문자 에스체트(ẞ)는 독일어에서 에스체트(ß)의 대문자 형태로, 오랫동안 공식적인 독일어 정서법에서 사용되지 않았다. 독일어에서 에스체트가 단어의 첫머리나 대문자로만 표기되는 경우는 드물어, 대문자 에스체트가 필요한 경우 SS로 대체되었다. 1879년부터 대문자 에스체트 도입 논의가 시작되었고, 유니코드에 포함하려는 시도가 있어 2008년 유니코드에 등재되었다. 2017년 독일어 정서법 위원회의 개정안을 통해 공식 글자로 인정되었으며, 에스체트를 대문자로 쓸 때 SS 또는 대문자 ẞ를 사용하는 것이 허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어 - ß
    ß(에스체트)는 독일어에서 긴 s와 s 또는 z의 합자에서 유래한 문자로, 특정 조건에서 무성음 /s/를 나타내며, 사용 범위가 축소되었으나 대문자 형태(ẞ)가 추가되어 표준 독일어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 독일어 - 표준 독일어
    표준 독일어는 여러 지역 작가들이 폭넓게 이해될 수 있도록 발전시킨 문어에서 기원했으며, 마르틴 루터의 성경 번역과 요한 크리스토프 고체트의 문법 교본이 표준화에 기여했고, 현재는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에서 국가별 변이 형태로 존재한다.
  • 타이포그래피 - 팬그램
    팬그램은 특정 문자 집합의 모든 문자를 최소 한 번 포함하는 문장이나 구절로, 완전 팬그램, 자기 열거 팬그램 등 여러 유형이 있으며, 다양한 언어에서 활용되고 수학적 연구 주제로도 다뤄진다.
  • 타이포그래피 - ß
    ß(에스체트)는 독일어에서 긴 s와 s 또는 z의 합자에서 유래한 문자로, 특정 조건에서 무성음 /s/를 나타내며, 사용 범위가 축소되었으나 대문자 형태(ẞ)가 추가되어 표준 독일어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 로마자 낱자 - H
    H는 영어 알파벳의 여덟 번째 문자이며, 무성 성문 마찰음 /h/를 나타내며, 수소의 원소 기호이자, 인덕턴스 단위, 고기압, 음악의 음이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그 기원은 셈족 그림 문자에 있다.
  • 로마자 낱자 - S
    S는 활에서 유래한 라틴 문자로, 여러 단계를 거쳐 현재 형태가 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에서 치찰음을 나타내고, 화학 원소, 야구 용어, 약어 등 여러 분야에서 기호로 활용되며, 역사적으로는 긴 s가 사용되기도 했다.
대문자 ß
대문자 에스체트
대문자 에스체트
대문자 에스체트
유니코드 명칭LATIN CAPITAL LETTER SHARP S
유니코드U+1E9E
16진수 코드1E9E
10진수 코드7838
HTML 엔티티"ß" (소문자 에스체트)
사용독일어
관련 문자ẞ (소문자 에스체트)

2. 역사

에스체트(ß)는 원래 소문자만 있었고 대문자 형태는 없어 공식적인 독일어 정서법에서 사용되지 않았다. 독일어에서 에스체트가 단어 맨 앞에 나오는 경우가 없었기 때문에[4] 대문자 사용은 드물었다. 강조를 위해 모든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할 때는 에스체트를 'SS'로 대체했다.[4]

그러나 대문자 에스체트를 도입하려는 노력은 계속되었다. 1879년 전문잡지 《인쇄술 저널》(Journal für Buchdruckerkunstde)에서 관련 주장이 나왔고,[5] 1925년 두덴 대사전에서는 대문자 에스체트 규격 통일의 필요성을 제기했다.[6]

1957년 두덴 대사전에 쓰인 대문자 ß


2000년대에는 몇몇 타이포그래퍼들이 대문자 에스체트 도입을 시도했다. 유니코드에 해당 문자를 포함하기 위한 2004년 안은 기각되었지만,[9] 2007년 제출된 두 번째 안이 통과되어 2008년 4월 유니코드 버전 5.1.0에 "ẞ"(U+1E9E LATIN CAPITAL LETTER SHARP S)로 포함되었다.[10][11] 2017년 6월 29일 독일어 정서법 위원회(Rat für deutsche Rechtschreibungde)의 새 맞춤법 개정안에서 독일 문자를 구성하는 공식 글자로 인정되었다.[1]

2. 1. 대문자 도입 논의

에스체트(ß)는 본래 소문자만 있었고 대문자 형태가 없어 공식적인 독일어 정서법에서 사용되지 않았다. 독일어에서 에스체트가 단어 맨 앞에 나오는 경우가 없었기 때문에[4] 대문자 사용은 드물었다. 강조를 위해 모든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할 때 현대 독일어 철자법은 에스체트를 'SS'로 대체하도록 했다.[4]

그러나 대문자 에스체트를 도입하려는 노력은 계속되었다. 1879년 전문잡지 《인쇄술 저널》(Journal für Buchdruckerkunstde)에서 관련 주장이 공론화되었다.[5]

1925년 두덴 대사전에서는 대문자 에스체트 규격 통일의 필요성을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 "하나의 소리를 표기하기 위해 두 개의 글자를 사용하는 것은 임시변통일 뿐이며, 대문자 에스체트에 대한 적당한 인쇄활자가 성립되는 대로 중단되어야 한다."[6]

1957년, 1960년에 출간된 동독 두덴 대사전(제15판)에서는 제목에 대문자 에스체트를 사용했지만, 정서법은 이전 규정이 유지되었다. 1969년 제16판에서는 다음과 같이 전망하였다.

> "에스체트 문자는 불행히도 아직 대문자가 없다. 대문자형은 지금도 아직 SS로 대체되거나, 오해의 소지가 있을 경우 SZ로 대체된다. 에스체트의 대문자형을 만들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7]

1984년 제25판에서는 에스체트 대문자 관련 언급이 삭제되었고, "불행히도 아직"(leider noch), "지금도 아직"(jetzt noch) 같은 표현도 제거되었다.

> "에스체트 문자는 대문자가 없다. 대문자형은 SS로 대체되거나, 오해의 소지가 있을 경우 SZ로 대체된다."[8]

2000년도에는 몇몇 타이포그래퍼들이 대문자 에스체트 도입을 시도했다. 유니코드에 해당 문자를 포함하기 위한 2004년 안은 기각되었지만,[9] 2007년 제출된 두 번째 안이 통과되어 2008년 4월 유니코드 버전 5.1.0에 "ẞ"(U+1E9E LATIN CAPITAL LETTER SHARP S)로 포함되었다.[10][11]

2017년 6월 29일 독일어 정서법 위원회(Rat für deutsche Rechtschreibungde)의 새 맞춤법 개정안에서 독일 문자를 구성하는 공식 글자로 인정되었다.[1] 2017년 독일어 맞춤법(제25항 붙임3)에 따르면,[12] 에스체트를 대문자로 쓸 때 'SS'로 바꿔 쓰거나 대문자 'ẞ'를 쓰는 것 모두 가능하다.

> "(에스체트의) 대문자를 쓸 때 SS를 사용한다. 그밖에 대문자 ẞ의 사용도 가능하다. 예시: Straße – STRASSE – STRAẞE"[13]

3. 문제점 및 논란

에스체트(ß)는 소문자만 존재했기 때문에 대문자 표기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공식적인 독일어 정서법에서는 대문자 에스체트를 사용하지 않았고, 강조를 위해 모든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해야 할 때에는 에스체트를 'SS'로 대체했다.[4] 이는 독일어에서 에스체트가 단어 첫머리에 나오는 경우가 드물고, 흑자체를 사용한 전통적인 독일 인쇄물에서는 대문자 표기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문자 에스체트를 도입하려는 노력은 계속되었다. 1879년 《인쇄술 저널》(Journal für Buchdruckerkunstde)에서 이 문제가 공론화되었고,[5] 1925년 두덴 대사전은 대문자 에스체트 규격 통일의 필요성을 제기했다.[6]

3. 1. 정서법 상의 혼란

에스체트(ß)의 대문자 표기 문제는 오랫동안 논란의 대상이었다. 본래 에스체트에는 대문자가 없었기 때문에 공식적인 독일어 정서법에서도 대문자 에스체트는 사용되지 않았다. 독일어에서 에스체트가 단어 첫머리에 나오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4], 대문자 에스체트가 필요한 경우는 모든 글자를 대문자로 쓰는 강조 표기 시에 한정되었다. 전통적으로 흑자체를 사용한 독일 인쇄물에서는 대문자만으로 표기하는 방식을 쓰지 않았으므로, 에스체트는 대문자가 없는 몇 안 되는 라틴 문자 중 하나였다.

그러나 대문자 에스체트를 도입하려는 노력은 꾸준히 이어졌다. 1879년 전문잡지 《인쇄술 저널》(Journal für Buchdruckerkunstde)에서 에스체트 대문자 사용 주장이 공론화되었다.[5] 1925년 두덴 대사전은 대문자 에스체트 규격 통일의 필요성을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 "하나의 소리를 표기하기 위해 두 개의 글자를 사용하는 것은 임시변통일 뿐이며, 대문자 에스체트에 대한 적당한 인쇄활자가 성립되는 대로 중단되어야 한다."[6]

1957년과 1960년에 출간된 동독 두덴 대사전(제15판)은 제목에 대문자 에스체트를 사용했지만, 정서법은 이전 규정을 유지했다. 1969년 제16판에서는 대문자 에스체트 사용 전망이 다소 긍정적으로 제시되었다.

> "에스체트 문자는 불행히도 아직 대문자가 없다. 대문자형은 지금도 여전히 SS로 대체되거나, 오해의 소지가 있을 경우 SZ로 대체된다. 에스체트의 대문자형을 만들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7]

1984년 제25판에서는 에스체트 대문자 관련 언급이 삭제되었고, '불행히도 아직'(leider noch), '지금도 아직'(jetzt noch)과 같은 표현도 사라졌다.

> "에스체트 문자는 대문자가 없다. 대문자형은 SS로 대체되거나, 오해의 소지가 있을 경우 SZ로 대체된다."[8]

2000년대에는 일부 타이포그래퍼들이 대문자 에스체트 도입을 시도했다. 2004년 유니코드에 해당 문자를 추가하려는 제안은 기각되었으나,[9] 2007년 제출된 두 번째 제안이 통과되어 2008년 4월 유니코드 버전 5.1.0에 대문자 에스체트("ẞ", U+1E9E LATIN CAPITAL LETTER SHARP S)가 포함되었다.[10][11]

2017년 6월 29일, 독일어 정서법 위원회(Rat für deutsche Rechtschreibungde)의 새 맞춤법 개정안에서 대문자 에스체트가 독일 문자 구성 공식 글자로 인정되었다.[1] 2017년 독일어 맞춤법(제25항 붙임3)에 따르면, 에스체트를 대문자로 쓸 때 "SS"로 바꿔 쓰거나 대문자 "ẞ"를 쓰는 것이 모두 허용된다.[12]

> "(에스체트의) 대문자를 쓸 때 SS를 사용한다. 그밖에 대문자 ẞ의 사용도 가능하다. 예시: Straße – STRASSE – STRAẞE"[13]

4. 공식 인정 및 유니코드

에스체트(ß)는 본래 대문자 형태가 없어 공식적인 독일어 정서법에서 사용되지 않았다. 독일어에서 에스체트가 문장이나 단어 처음에 나오는 경우가 없었기 때문이다.[4] 대문자 에스체트가 필요한 경우는 모든 글자를 대문자로 표시하여 강조할 때뿐이었는데, 현대 독일어 철자법은 이 경우 에스체트를 'ss'로 대체하도록 규정했다.[4]

그러나 대문자 에스체트를 도입하려는 노력은 계속되었다. 1879년 전문잡지 《인쇄술 저널》(Journal für Buchdruckerkunstde)에서 대문자 에스체트 사용을 주장하며 공론화되었다.[5] 1925년 두덴 대사전에서는 대문자 에스체트 규격 통일의 필요성을 주장했다.[6] 1957년, 1960년에 출간된 동독 두덴 대사전(제15판)에서는 제목에 대문자 에스체트를 사용했지만, 정서법은 기존 규정이 계속 유효했다. 1969년 제16판에서는 "에스체트 문자는 불행히도 아직 대문자가 없다"라고 하며 대문자꼴을 만들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임을 언급했다.[7]

2000년대에는 타이포그래퍼들을 중심으로 대문자 에스체트 도입 시도가 있었다. 유니코드에 해당 문자를 포함하기 위한 제안이 2004년 기각되었으나,[9] 2007년 재차 제안하여 2008년 4월 유니코드 버전 5.1.0에 포함되었다.[10][11]

2017년 6월 29일, 독일어 정서법 위원회(Rat für deutsche Rechtschreibungde)는 새 맞춤법 개정안에서 대문자 에스체트를 독일 문자의 공식 글자로 인정했다.[1] 에스체트를 대문자로 쓸 때 'SS'로 바꿔 쓰거나 대문자 'ẞ'를 쓰는 것 모두 허용된다.[13]

4. 1. 유니코드 등재

위치유니코드
명칭명칭HTML
십진수U+1E9ELATIN CAPITAL LETTER SHARP SLATIN CAPITAL LETTER SHARP S|라틴 대문자 에스체트laẞ


참조

[1] 웹인용 독일 정서법 위원회 보도자료 http://www.rechtschr[...] 2017-07-17
[2] 웹사이트 Versal-ß nun offiziell genormt – dasauge http://www.dasauge.d[...]
[3] 웹인용 Empfehlungen und Hinweise für die Schreibweise geographischer Namen, 5. Ausgabe 2010 https://www.webcitat[...] 2014-03-07
[4] 웹인용 Empfehlungen des Rats für deutsche Rechtschreibung, Teil 1: Regeln und Wörterverzeichnis https://web.archive.[...] 2012-02-09
[5] 간행물 Beiträge zur Signographie http://www.signograp[...] Signa 2006
[6] 서적 Duden – Rechtschreibung 제9판 1925
[7] 서적 "Der Große Duden. Wörterbuch und Leitfaden der deutschen Rechtschreibung'' 제16판" 라이프치히 1969
[8] 서적 Der Große Duden 제25판 라이프치히 1984
[9] 웹인용 Proposal to encode Latin Capital Letter Double S (rejected) http://std.dkuug.dk/[...] 2017-08-14
[10] 웹인용 DIN_29.1_SCHARF_S_1.3_E http://std.dkuug.dk/[...] 2017-08-14
[11] 웹인용 유니코드 표 http://www.unicode.o[...] 2017-08-14
[12] 웹인용 독일어 맞춤법 https://web.archive.[...] 2017-06-29
[1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