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불화엄경소 권48, 64, 83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는 대승경전의 하나인 화엄경(華嚴經)을 저본으로 하여, 당나라 징관(澄觀)이 주(註)를 달고 송나라 정원(淨源)이 주에 대한 해설을 한 불경입니다.
권 48, 64, 83
- 소장처: 청주고인쇄박물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713)
- 지정 번호: 보물 제1409호 (2004년 5월 7일 지정)
- 시대: 고려시대
- 판본: 목판본
- 형태: 절첩장(折帖裝), 3권 3책
- 내용:
- 권48: '丁巳七月日 南白寺 持任熙(수결) / 癸丑夏 大乘直智膺 侍奉覺圓'의 기록 (경남 창원의 남백사 주지에 의해 묵서)
- 권64: '丁巳七月日右道昌原地南浦寺持任熙(수결)' 묵서
- 권83: '嘉靖三十一年(1552)壬子九月日大乘直智膺侍奉覺圓' 기록 (각원覺圓에 의해 소장), '錢唐講華嚴經明義大師曇慧詳校 / 雲閒講華嚴經興敎大師常矩重校' 교정 기록 (정원, 담혜, 상구 등이 간행에 관련)
이 자료는 대각국사 의천(義天)의 불서 수집 상황과 송(宋)과 일본으로 이어지는 문화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1087년(고려 선종 4년)에 송나라 상인 서전(徐戩)이 대각국사 의천에게 보낸 목판으로 주본(周本) 화엄경을 주해한 120권 중 일부입니다.
| 대방광불화엄경소 권48, 64, 83 | |
|---|---|
| 서지 정보 | |
| 이름 | 대방광불화엄경소 권48, 64, 83 |
| 한자 표기 | 大方廣佛華嚴經疏 卷四十八, 六十四, 八十三 |
| 지정 번호 | 1409 |
| 지정 연월일 | 2004년 5월 7일 |
| 소재지 | 충북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713, 청주고인쇄박물관 (운천동) |
| 소유자 | 공유 |
| 수량 | 3권3첩 |
| 제작 시기 | 고려시대 |
| 비고 |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