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은 청소년들의 과학적 꿈을 키우고, 일반 국민의 과학적 소양을 증진하기 위해 대전광역시에서 개최하는 과학 축제이다. 2000년부터 2019년까지 총 22회 개최되었으며, 지역 경제 활성화 및 과학 문화 관광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대전의 도시 이미지를 홍보하는 역할을 한다. 2000년부터 2007년까지는 주제와 개최 방식에 따라 1기부터 3기로, 2008년부터 2010년까지는 4기로 구분되며, 2014년부터는 '과학과 문화의 융합! 미래를 엿보다'를 주제로 다양한 세부 주제를 가지고 진행되었다.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은 2000년부터 개최되기 시작하여 올해로 21년째를 맞는 대전의 대표 축제이다. 청소년들에게 과학에 대한 꿈을 심어주고, 일반 국민들의 과학적 소양을 높이는 데 기여하며, 지역 특화형 축제로서 국내 관광산업 및 과학산업 발전의 촉매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3] 더 나아가 대전의 상징적인 축제로서 첨단과학도시를 표방하는 대전의 도시 이미지 및 특성을 국내외에 홍보함과 동시에, 지역 경제 활성화와 과학·문화 관광산업 육성, 엑스포과학공원 활성화 및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기관 간 연계 촉진 등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국내 최대의 과학 축제이다.[3]
2000년 제1회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이 시작된 이후 2019년까지 총 22회 개최되었고, 2020년에는 개최되지 않았다.[4]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은 여러 변화를 겪으며 발전해왔다. 2000년부터 2004년까지는 외부 전문가들이 축제 기본 계획을 수립했고(1기), 2005년에는 한국과학문화재단(현 한국과학창의재단)이 대한민국과학축전과 공동 주관했으며(2기), 2006년과 2007년에는 자체적으로 기본 계획을 수립했다(3기). 2008년부터 2010년까지는 개최 시기와 방법 등에 큰 변화가 있었다(4기).[5]
2. 축제 취지
3. 연도별 개최 현황
구분 2000년
(1회)2001년
(2회)2002년
(3회)2003년
(4회)2004년
(5회)2005년
(6회)2006년
(7회)2007년
(8회)축제명 대전사이언스
페스티벌 2000대전사이언스
페스티벌 2001대전사이언스
페스티벌 2002대전사이언스
페스티벌 2003대전사이언스
페스티벌 20042005 대한민국
과학축전대전사이언스
페스티벌 2006대전사이언스
페스티벌 2007주제 열려라! 과학천국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학 인간과 가까운 과학 전환&이동
'세상을 바꾼 10가지
과학이야기'조화와 소통
'미래로 가는 다섯 개의 문'과학 180° Multi-Sciencing영어
'7가지 시원한 여름과학세상'상상! 사이언스 탐구여행 기간 2000.8.11.~8.20.
(10일간)2001.8.11.~8.20.
(10일간)2002.8.9.~8.18.
(10일간)2003.8.7.~8.17.
(11일간)2004.7.30.~8.9.
(11일간)2005.8.12.~8.21.
(10일간)2006.8.11.~8.20.
(10일간)2007.8.15.~8.19.
(5일간)규모 35개 단체,
110개 프로그램37개 단체,
120개 프로그램45개 단체,
120개 프로그램45개 단체,
140개 프로그램42개 단체,
150개 프로그램국내외 142개 단체,
350개 프로그램46개 단체,
120개 프로그램56개 단체,
122개 프로그램주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한국과학문화재단,
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대전광역시,
CMB대전방송대전광역시,
CMB대전방송주관 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 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 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 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 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 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 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 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 입장료 어른 : 3000KRW
청소년 : 2000KRW
어린이 : 1000KRW어른 : 3000KRW
청소년 : 2000KRW
어린이 : 1000KRW어른 : 3000KRW
청소년 : 2000KRW
어린이 : 1000KRW어른 : 5000KRW
청소년 : 4000KRW
어린이 : 3000KRW어른 : 5000KRW
청소년 : 4000KRW
어린이 : 3000KRW대인 : 6000KRW
소인 : 4000KRW어른 : 8000KRW
청소년 : 6000KRW
어린이 : 4000KRW대인 : 9000KRW
소인 : 7000KRW관람 인원 유료 : 115,494명
무료 : 72,552명
연계 : 43,892명
합계 : 231,918명유료 : 146,384명
무료 : 98,954명
연계 : 58,111명
합계 : 303,449명유료 : 112,665명
무료 : 96,845명
연계 : 83,207명
합계 : 292,717명유료 : 141,644명
무료 : 9,591명
연계 : 225,974명
합계 : 377,209명유료 : 86,697명
무료 : 39,899명
연계 : 131,880명
합계 : 258,476명유료 : 69,034명
무료 : 77,119명
연계 : 137,180명
합계 : 283,333명유료 : 75,083명
무료 : 177,814명
연계 : 64,115명
합계 : 317,012명유료 : 103,281명
무료 : 49,648명
연계 : 42,322명
합계 : 195,251명구분 2008년
(9회)2009년
(10회)2009년
(11회)2010년
(12회)2010년
(13회)2011년
(14회)2012년
(15회)2013년
(16회)축제명 꿈돌이
사이언스
페스티벌 2008꿈돌이
사이언스
페스티벌 2009꿈돌이
사이언스
페스티벌 2009꿈돌이
사이언스
페스티벌 2010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2011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2012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대전엑스포
20주년기념
2013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주제 꿈돌이의 귀환 항공우주과학 우주특별시로 가는 세상
(우주여행"Space Tour")그린에너지를 찾아라
- 꿈돌이탐험대자연을 생각하는 과학 노벨상의 꿈을 향하여 신나고 재미있는 과학여행 응답하라 1993 상상하라 2033 기간 2008.4.19.~4.21.
(3일간)2009.4.10.~4.12.
(3일간)2009.10.9.~10.18.
(10일간)2010.4.23.~4.25.
(3일간)2010.10.7.~10.10.
(4일간)2011.10.6.~10.9.
(4일간)2012.10.26.~10.28.
(3일간)2013.8.9.~8.11.
(4일간)규모 40개 단체,
80개 프로그램80개 프로그램 65개 프로그램 46개 단체,
120개 프로그램53개 과학문화
체험프로그램127개 과학문화
프로그램130개 프로그램 114개 기관단체,
120개 프로그램주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교육청,
대한민국 공군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교육청,
대한민국 공군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교육청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대덕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대전마케팅공사 주관 꿈돌이사이언스존
발전협의회
(K-Zone)꿈돌이사이언스존
발전협의회
(9개 기관)꿈돌이사이언스존
발전협의회
(9개 기관)꿈돌이사이언스존
발전협의회
(6개 기관)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 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 대전마케팅공사 대전마케팅공사 입장료 무료입장 무료입장 무료입장 무료입장 무료입장 무료입장 무료입장 무료입장 관람 인원 유료 : 없음
무료 : 27,291명
연계 : 54,000명
합계 : 81,291명유료 : 없음
무료 : 71,669명
연계 : 63,500명
합계 : 135,169명유료 : 없음
무료 : 237,422명
연계 : 40,767명
(IAC행사)
합계 : 278,189명유료 : 없음
무료 : 130,000명
연계 : 46,920명
합계 : 176,920명유료 : 없음
무료 : 117,929명
연계 : 없음
합계 : 117,929명합계 : 153,024명 합계 : 84,252명 합계 : 151,878명 구분 2014년
(17회)2015년
(18회)2016년
(19회)2017년
(20회)2018년
(21회)2019년
(22회)2020년
(23회)2021년
(24회)축제명 2014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2015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2016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2017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2018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2019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2021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주제 생활 속 숨쉬는 과학 과학과 문화의 융합!
미래를 엿보다과학과 문화의 융합!
미래를 엿보다
- 우주 및 항공 -과학과 문화의 융합!
미래를 엿보다
- 새로운 물결, 4차 산업혁명 -과학과 문화의 융합!
미래를 엿보다
- 4차 산업혁명특별시! 대전은
미래로, 미래는 대전으로- 과학과 문화의 융합!
미래를 엿보다
- 우주 및 항공 -기간 2014.11.12.~11.16.
(5일간)2015.10.17.~10.21.
(5일간)2016.10.22.~10.25.
(4일간)2017.10.21.~10.24.
(4일간)2018.10.19.~10.22.
(4일간)2019.10.18.~10.21.
(4일간)규모 40개 기관단체,
50여개 프로그램90개 기관단체,
130개 체험프로그램144개 기관단체,
187개 체험프로그램160개 기관단체,
323개 프로그램178개 기관단체,
343개 프로그램185개 기관단체,
352개 프로그램주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주관 대전마케팅공사 대전마케팅공사 대전마케팅공사 대전마케팅공사 대전마케팅공사 대전마케팅공사 대전마케팅공사 입장료 무료입장 무료입장 무료입장 무료입장 무료입장 무료입장 무료입장 관람 인원 48,000명 167,800명 170,210명 222,864명 234,900명 242,560명
3. 1. 2000년 ~ 2007년
2000년 제1회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이 시작된 이후, 2004년까지는 외부 전문가들이 투입되어 축제의 기본 계획을 수립했다. 이 시기를 사이언스페스티벌 1기로 구분한다.[5]구분 2000년(1회) 2001년(2회) 2002년(3회) 2003년(4회) 2004년(5회) 2005년(6회) 2006년(7회) 2007년(8회) 축제명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2000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2001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2002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2003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2004 2005 대한민국과학축전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2006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2007 주제 열려라! 과학천국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학 인간과 가까운 과학 전환&이동
'세상을 바꾼 10가지
과학이야기'조화와 소통
'미래로 가는 다섯 개의 문'과학 180° Multi-Sciencing영어
'7가지 시원한 여름과학세상'상상! 사이언스 탐구여행 축제 기간 2000.8.11(금)~8.20(일)
10일간2001.8.11(금)~8.20(일)
10일간2002.8.9(금)~8.18(일)
10일간2003.8.7(목)~8.17(일)
11일간2004.7.30(금)~8.9(월)
11일간2005.8.12(금)~8.21(금)
10일간2006.8.11(금)~8.20(일)
10일간2007.8.15(수)~8.19(일)
5일간행사 규모 35개 단체, 110개 프로그램 37개 단체, 120개 프로그램 45개 단체, 120개 프로그램 45개 단체, 140개 프로그램 42개 단체, 150개 프로그램 국내외 142개 단체,
350개 프로그램46개 단체, 120개 프로그램 56개 단체, 122개 프로그램 주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한국과학문화재단,
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대전광역시, CMB대전방송 대전광역시, CMB대전방송 주관 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 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 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 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 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 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 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 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 입장료 어른 : 3000KRW
청소년 : 2000KRW
어린이 : 1000KRW어른 : 3000KRW
청소년 : 2000KRW
어린이 : 1000KRW어른 : 3000KRW
청소년 : 2000KRW
어린이 : 1000KRW어른 : 5000KRW
청소년 : 4000KRW
어린이 : 3000KRW어른 : 5000KRW
청소년 : 4000KRW
어린이 : 3000KRW대인 : 6000KRW
소인 : 4000KRW어른 : 8000KRW
청소년 : 6000KRW
어린이 : 4000KRW대인 : 9000KRW
소인 : 7000KRW관람 인원 유료 : 115,494명
무료 : 72,552명
연계 : 43,892명
합계 : 231,918명유료 : 146,384명
무료 : 98,954명
연계 : 58,111명
합계 : 303,449명유료 : 112,665명
무료 : 96,845명
연계 : 83,207명
합계 : 292,717명유료 : 141,644명
무료 : 9,591명
연계 : 225,974명
합계 : 377,209명유료 : 86,697명
무료 : 39,899명
연계 : 131,880명
합계 : 258,476명유료 : 69,034명
무료 : 77,119명
연계 : 137,180명
합계 : 283,333명유료 : 75,083명
무료 : 177,814명
연계 : 64,115명
합계 : 317,012명유료 : 103,281명
무료 : 49,648명
연계 : 42,322명
합계 : 195,251명
2005년에는 한국과학문화재단(현, 한국과학창의재단)이 공동 주관하여 대한민국과학축전과 함께 개최되었으며, 이 시기를 사이언스페스티벌 2기로 구분한다. 2006년과 2007년에는 자체적으로 기본계획을 수립했는데, 이 시기를 사이언스페스티벌 3기로 구분한다.[5]
3. 2. 2008년 ~ 2013년
2008년부터 2010년까지는 개최 시기와 방법 등에서 큰 변화가 있던 시기로,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의 제4기로 구분된다.[5]
| 연도 | 축제명 | 주제 | 기간 | 행사 규모 | 주최 | 주관 | 관람 인원 |
|---|---|---|---|---|---|---|---|
| 2008 | 꿈돌이사이언스페스티벌 2008 | 꿈돌이의 귀환 | 2008.4.19(토)~4.21(월) (3일간) | 40개 단체, 80개 프로그램 |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교육청, 대한민국 공군 | 꿈돌이사이언스존발전협의회(K-Zone) | 81,291명 |
| 2009 | 꿈돌이사이언스페스티벌 2009 | 항공우주과학 | 2009.4.10(금)~4.12(일) (3일간) | 80개 프로그램 |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교육청, 대한민국 공군 | 꿈돌이사이언스존발전협의회(9개 기관) | 135,169명 |
| 2009 | 꿈돌이사이언스페스티벌 2009 | 우주특별시로 가는 세상 (우주여행"Space Tour") | 2009.10.9(금)~10.18(월) (10일간) | 65개 프로그램 |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교육청 | 꿈돌이사이언스존발전협의회(9개 기관) | 278,189명 |
| 2010 | 꿈돌이사이언스페스티벌 2010 | 그린에너지를 찾아라 - 꿈돌이탐험대 | 2010.4.23(금)~4.25(일) (3일간) | 46개 단체, 120개 프로그램 | 대전광역시 | 꿈돌이사이언스존발전협의회(6개 기관) | 176,920명 |
| 2010 |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 자연을 생각하는 과학 | 2010.10.7(목)~10.10(일) (4일간) | 53개 과학문화체험프로그램 | 대전광역시 | 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 | 117,929명 |
| 2011 | 2011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 노벨상의 꿈을 향하여 | 2011.10.6(목)~10.9(일) (4일간) | 127개 과학문화프로그램 | 대전광역시 | 지방공사대전엑스포과학공원 | 153,024명 |
| 2012 | 2012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 신나고 재미있는 과학여행 | 2012.10.26(금)~10.28(일) (3일간) | 130개 프로그램 | 대전광역시, 대덕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 대전마케팅공사 | 84,252명 |
| 2013 | 대전엑스포20주년기념 2013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 응답하라 1993 상상하라 2033 | 2013.8.9(금)~8.11(일) (4일간) | 114개 기관단체, 120개 프로그램 | 대전마케팅공사 | 대전마케팅공사 | 151,878명 |
3. 3. 2014년 ~ 2021년
| 구분 | 2014년(17회) | 2015년(18회) | 2016년(19회) | 2017년(20회) | 2018년(21회) | 2019년(22회) | 2020년(23회) | 2021년(24회) | |
|---|---|---|---|---|---|---|---|---|---|
| 축제명 | 2014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 2015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 2016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 2017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 2018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 2019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 2021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 ||
| 주제 | 생활 속 숨쉬는 과학 | 과학과 문화의 융합! 미래를 엿보다 | 과학과 문화의 융합! 미래를 엿보다 - 우주 및 항공 - | 과학과 문화의 융합! 미래를 엿보다 - 새로운 물결, 4차 산업혁명 - | 과학과 문화의 융합! 미래를 엿보다 - 4차 산업혁명특별시! 대전은 미래로, 미래는 대전으로 | - | 과학과 문화의 융합! 미래를 엿보다 - 우주 및 항공 - | ||
| 축제 기간 | 2014.11.12(수)~11.16(일) (5일간) | 2015.10.17(토)~10.21(수) (5일간) | 2016.10.22(토)~10.25(화) (4일간) | 2017.10.21(토)~10.24(화) (4일간) | 2018.10.19(금)~10.22(화) (4일간) | 2019.10.18(금)~10.21(화) (4일간) | |||
| 행사 규모 | 40개 기관단체, 50여개 프로그램 | 90개 기관단체, 130개 체험프로그램 | 144개 기관단체, 187개 체험프로그램 | 160개 기관단체, 323개 프로그램 | 178개 기관단체, 343개 프로그램 | 185개 기관단체, 352개 프로그램 | |||
| 주최 | 대전광역시 | 대전광역시 | 대전광역시 | 대전광역시 | 대전광역시 | 대전광역시 | 대전광역시 | ||
| 주관 | 대전마케팅공사 | 대전마케팅공사 | 대전마케팅공사 | 대전마케팅공사 | 대전마케팅공사 | 대전마케팅공사 | 대전마케팅공사 | ||
| 입장료 | 무료입장 | 무료입장 | 무료입장 | 무료입장 | 무료입장 | 무료입장 | 무료입장 | ||
| 관람 인원 | 48,000명 | 167,800명 | 170,210명 | 222,864명 | 234,900명 | 242,560명 |
4. 행사 사진






참조
[1]
문서
대전은 과학도시로서의 이미지로 상징되는 과학행사가 많이 개최되고 있다. 국립중앙과학관의 '사이언스 데이', 대전광역시 유성구청의 '헬로 과학마을축제', 대전시민천문대의 '별축제 등이 그것이다.
[2]
뉴스
대전 대표축제에 사이언스페스티벌 등 9개 선정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0-02-11
[3]
논문
지역 축제이벤트 활성화에 대한 연구 ;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2002
[4]
문서
2009년과 2010년은 4월과 10월 두 차례 개최되었다.
[5]
논문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의 발전 방안 연구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