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딕과 캐리 모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딕과 캐리 모형(Dick and Carey Model)은 체제적 접근(Systems Approach)에 기반한 대표적인 교수 설계 모형입니다. 1978년 월터 딕(Walter Dick)과 루 캐리(Lou Carey)가 저서 "체계적인 교수 설계(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에서 처음 제시했습니다. 이 모형은 교수-학습 과정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만들기 위한 단계별 절차를 제공하며,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널리 사용됩니다.
딕과 캐리 모형의 특징:


  • 체제적 접근: 교수 설계의 모든 요소(교수자, 학습자, 내용, 교수 자료, 교수 활동, 전달 체계, 학습 환경 등)가 상호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원하는 결과를 도출한다고 봅니다. ([1], [3])
  • 절차적: 교수 설계를 위한 명확하고 구체적인 단계를 제시합니다. 각 단계는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이전 단계의 결과가 다음 단계의 입력으로 사용됩니다. ([6], [7])
  • 반복적: 필요에 따라 이전 단계로 돌아가 설계를 수정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형성 평가를 통해 지속적으로 교수-학습 과정을 개선합니다. ([3])
  • 학습자 중심: 학습자의 요구와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수 목표를 설정하고 교수 전략을 개발합니다. ([3])

딕과 캐리 모형의 10단계:딕과 캐리 모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10단계로 구성됩니다. ([9], [10])

1. 교수 목표 설정 (Identify Instructional Goals): 학습자가 학습을 마친 후 무엇을 할 수 있게 될 것인지, 즉 학습의 최종 목표를 결정하는 단계입니다. 요구 분석(needs assessment)을 통해 교수 목표를 도출합니다.

2. 교수 분석 (Conduct Instructional Analysis):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학습자가 배워야 할 하위 기능(subordinate skills)과 절차적 단계(procedural steps)를 분석합니다.

3. 학습자 및 환경 분석 (Analyze Learners and Contexts): 학습자의 출발점 행동(entry behaviors), 특성(prior knowledge, skills, attitudes) 및 학습 환경(context)을 분석합니다.

4. 수행 목표 진술 (Write Performance Objectives): 학습자가 학습 후 보여줄 수 있는 구체적인 수행 능력을 명확하게 진술합니다.

5. 평가 도구 개발 (Develop Assessment Instruments): 수행 목표의 성취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준거 지향 평가 도구(criterion-referenced assessment)를 개발합니다.

6. 교수 전략 개발 (Develop Instructional Strategy): 학습자의 특성과 학습 내용을 고려하여 가장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결정합니다. 여기에는 사전 학습 활동, 정보 제시, 연습, 피드백 등이 포함됩니다.

7. 교수 자료 개발 (Develop and Select Instructional Materials): 교수 전략에 따라 필요한 교수 자료를 개발하거나 선택합니다. 교과서, 워크북, 시청각 자료, 컴퓨터 기반 자료 등 다양한 형태의 자료가 활용될 수 있습니다.

8. 형성 평가 설계 및 실시 (Design and Conduct Formative Evaluation): 교수-학습 과정의 개선을 위해 형성 평가를 실시합니다. 일대일 평가, 소집단 평가, 현장 평가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합니다.

9. 교수 프로그램 수정 (Revise Instruction): 형성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 프로그램을 수정하고 개선합니다.

10. 총괄 평가 설계 및 실시 (Design and Conduct Summative Evaluation): 교수 프로그램의 최종 효과를 평가합니다.
딕과 캐리 모형과 ADDIE 모형의 비교:ADDIE 모형은 분석(Analysis), 설계(Design), 개발(Development), 실행(Implementation), 평가(Evaluation)의 5단계로 구성된 보다 일반적인 교수 설계 모형입니다. 딕과 캐리 모형은 ADDIE 모형의 설계 및 개발 단계를 보다 구체화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7])

  • ADDIE 모형은 전체 교육 과정 개발에 중점을 두는 반면, 딕과 캐리 모형은 개별 교수 단위의 설계에 더 초점을 맞춥니다.
  • 딕과 캐리 모형은 ADDIE 모형에 비해 더 상세하고 절차적인 단계를 제시하며, 맥락 분석, 수행 목표 진술, 형성 평가 등의 단계를 포함합니다.

요약:딕과 캐리 모형은 체계적이고 절차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효과적인 교수 설계를 지원하는 모형입니다. 10단계의 구체적인 절차를 따르며, 학습자 중심의 설계를 강조하고, 형성 평가를 통해 지속적인 개선을 추구합니다. 이 모형은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개선에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